또한 정부는 원전에 중대사고가 났을 때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사고 저항성 핵연료’를 2031년부터 사용하도록 했다. 유럽연합이 사고 저항성 핵연료 적용 시기로 못박은 2025년보다 6년이나 늦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건설을 위한 세부계획과 이 계획의 실행을 담보하는 법률이 제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고준위 방폐장은 주민 반대와 지역 갈등으로 수십년째 부지 선정조차 못한 환경 난제다. 세계에서 처음 고준위 방폐장을 마련한 핀란드에서도 부지 선정에 18년이 걸렸고, 프랑스와 스웨덴도 각각 16년, 17년씩 소요됐다. 환경부는 2050년까지 고준위 방폐장을 가동하도록 한 유럽연합과 달리 시한을 정하지 않았다. 고준위 방폐장 세부계획이 이미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12월 총리실 주재로 확정한 ‘고준위방폐물 관리기본계획’이 그것이다. 이 계획을 보면, 부지 선정 착수부터 처분시설 가동까지 37년 안에 마치도록 했고, 환경부는 이날 발표에서 구체적인 가동 목표 연도를 못박지 않았다. 당장 올해 부지 선정에 들어간다 해도 2057년이 목표 연도가 되는 셈이다. 유럽연합 기준보다 7년이나 늦다.
atf가 지금 어느 단계에 있는 기술인지도 모르고
조건부니까 다되는줄아는 멍청이네
수준인데 당연한건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건설을 위한 세부계획과 이 계획의 실행을 담보하는 법률이 제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고준위 방폐장은 주민 반대와 지역 갈등으로 수십년째 부지 선정조차 못한 환경 난제다. 세계에서 처음 고준위 방폐장을 마련한 핀란드에서도 부지 선정에 18년이 걸렸고, 프랑스와 스웨덴도 각각 16년, 17년씩 소요됐다. 환경부는 2050년까지 고준위 방폐장을 가동하도록 한 유럽연합과 달리 시한을 정하지 않았다. 고준위 방폐장 세부계획이 이미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12월 총리실 주재로 확정한 ‘고준위방폐물 관리기본계획’이 그것이다. 이 계획을 보면, 부지 선정 착수부터 처분시설 가동까지 37년 안에 마치도록 했고, 환경부는 이날 발표에서 구체적인 가동 목표 연도를 못박지 않았다. 당장 올해 부지 선정에 들어간다 해도 2057년이 목표 연도가 되는 셈이다. 유럽연합 기준보다 7년이나 늦다.
자기가 보고싶은 부분만 보는 양반이신가? 헛소리만 하시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