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마법사 : 굴단
Warlock : Gul'dan
덱 구성 20 9 0 1
직업 특화 40% (직업 12 / 중립 18)
선호 옵션 전투의 함성 (47%) / 죽음의 메아리 (10%) / 도발 (7%)
평균 비용 4.7
제작 가격 13860
두번째 전설달성 이세라리압배 (전설가는 팁) 작성자 : 초라라기 | 작성/갱신일 : 04-23 | 조회수 : 4507
카드 리스트카운팅 툴
흑마법사 (12)
1 압도적인 힘 x1
1 필멸의 고리 x1
2 검은폭탄 x1
2 어둠의 행상인 x1
3 악마의 격노 x1
3 임프 두목 x1
3 지옥의 불길 x1
4 암흑불길 x1
4 영혼 착취 x1
4 임프폭발 x1
8 군주 자락서스 x1
8 뒤틀린 황천 x1
중립 (18)
1 간식용 좀비 x1
2 산성 늪수액괴물 x1
3 대지 고리회 선견자 x1
3 무쇠부리 올빼미 x1
3 브란 브론즈비어드 x1
4 나 이런 사냥꾼이야 x1
4 누군가 조종하는 벌목기 x1
4 아르거스의 수호자 x1
4 황혼의 비룡 x1
5 낡은 치유로봇 x1
5 리로이 젠킨스 x1
5 썩은위액 누더기골렘 x1
5 얼굴 없는 배후자 x1
5 제왕 타우릿산 x1
6 리노 잭슨 x1
7 박사 붐 x1
9 이세라 x1
22 용암 거인 x1
덱 분석
비용 분포 (마나 커브)
  • 0
  • 110.0% (3장)
  • 210.0% (3장)
  • 320.0% (6장)
  • 423.3% (7장)
  • 516.7% (5장)
  • 63.3% (1장)
  • 7+16.7% (5장)
덱 구성
  • 하수인66.7% (20장)
  • 주문30.0% (9장)
  • 무기
추가 설명


안녕하세요. 인벤 눈팅만 하다가 처음 글 써보네요.

제가 이번에 전설등급에 갈때 제일 많이 사용한 리노 리압배(리압악배) 덱입니다.

필드싸움 하다가 리로이젠킨스, 압도, 악몽(이세라에서 뽑았다면)을 건 후 얼배자로 복사해서 깜짝킬각을 보는 덱이에요.

4카드중에 한 카드만 타우릿산으로 줄이면 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조건 만족하기는 쉬운 편입니다.


다른 리압배덱과 차이라면 무거운 코스트 카드들이 꽤 있다는건데요(이세라, 자락, 황천등)

이세라는 리압악배(30딜)을 넣을수도 있고, 이세라를 처리하기 힘든 직업(파마 등)과 상대할 때 힘을 실어주기 위해 넣었습니다. 


직업별 상대법 적어볼게요.

1. 전사

제일 상대하기 편한 직업입니다. 방밀이든 손님전사든..

지불에 암불, 황천까지 필드 정리기가 많은 이 덱에서는 손님전사는 정말 상대하기 쉽습니다.

상대가 손님인걸 파악하고 나면 광역기를 아껴주세요.

방밀전사도 상대하기 쉽습니다. 

마격 방밀, 난투등을 빼고 이세라로 압박을 넣어도 좋고, 도발 세운 후에 자락서스로 변신만 해도 방밀은 쉽게 이깁니다.


2. 주술사

명치만 달리는 주술사!

상대가 쉬운 편은 아니지만 아주 절망적인 상성도 아닙니다.

리노잭슨이 6코에 나가면 거의 무조건 승기를 잡기 때문에 멀리건 3장에서 리노잭슨을 찾아주세요.

무기파괴용 수액, 브란 힐봇등도 있기 때문에 리노잭슨까지 버티기만 하면 이길 수 있습니다.


3. 도적

로데브가 없어서 도적 상대가 어려울거 같지만, 전설 다는 도중에 만난 도적한텐 진 기억이 없네요.

리압배덱이 덱파워가 상당하기 때문에 본체 힐 하면서 유리한 하수인 교환 해주시면 도적이 제풀에 지쳐 쓰러집니다.

도적이 카드가 많으면 깜짝킬각을 낼 수 있으니 어느정도 피는 유지해주시구요, 무기 강화하고 있으면 수액으로 터트려주세요.


4. 성기사

제가 이 덱을 돌리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파마상대로 생각보다 승률이 엄청 잘 나옵니다.

초반에 병소, 단검, 보쓴꼬 등으로 성기사가 필드를 깔면 악격, 지불등으로 필드클리어를 해 주시구요,

영착 나이사 등으로 ㄴㄱㄴㄱㄴㄱ도 무난하게 상대하실 수 있습니다. 

정말 답이 안나올때는 황천을 쓰셔도 좋구요.. 

황천을 쓰거나 용거-지불 등으로 필드를 완전 날린 후에는 이세라를 내시거나 자락변신을 하셔도 좋습니다.

단 이세라를 내실때에는 울다만은 조심하셔야되요. 항상 울다만이 있다고 생각하시고 플레이하시면 됩니다.


5. 사냥꾼

사냥꾼도 주술사랑 상대법은 비슷합니다.

광역기에 각종 힐(브란 힐봇, 브란 선견자, 리노잭슨)등이 있기 때문에 패만 잘 풀리면 승률이 상당히 좋습니다.

초반 멀리건 잡을때 저코하수인+리노잭슨을 가져가면 베스트입니다. 


6. 드루이드

드루이드를 이기기는 쉽지 않습니다. 아마 가장 승률이 안나오는 상대인것 같네요.

드루이드를 상대할때는 평소 리압배 카드 모으는 식으로 플레이를 하면 승기 잡기가 힘듭니다.

얼배자는 전고정, 발드, 썩은위액골렘등을 복제해서 도발벽을 세우는 용도로 사용해주세요.

리로이도 리로이+지불등의 필드 클리어기로 사용하거나, 상대 고체력 하수인 정리용으로 사용해주세요. 

무조건 상대 필드에 하수인을 적게 남겨야 승기가 보입니다.

정리정리 또 정리하다 후반에 상대가 손에 자군야포만 있고 하수인없어서 영능 누르고 턴 넘기면 이세라를 띄워주세요.

제압기가 없는 드루이드는 이세라를 못잡기 때문에 그때부터는 이쪽으로 템포가 넘어옵니다.


7. 흑마

위니흑마 상대법만 적어두겠습니다. 위니흑마가 워낙 많아서..

광역기가 많아서 위니흑마 상대가 쉬울것 같으나, 그렇게까지 승률이 높게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위니흑마가 워낙 필드 까는 속도가 빨라서.. 광역기에 필드가 날라가도 순식간에 다시 채우더군요.

언제나 깜짝 바거가 나올수 있기 때문에, 나이사, 영착을 엄한데다 낭비하면 안됩니다.

필드 클리어에 집중하다보면 어느새 상대 체력이 20이하로 내려가고, 리로이 압도등으로 킬각을 보면 이기는 경우가 꽤 있었습니다.


8. 마법사

얼방/퍄퍄 모두 유리한 상성입니다.

퍄퍄는 하수인들 체력이 낮아서 지불만 잘 써도 필드가 완전히 날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퍄퍄 상대하실떄에는 거울상 의식해서 간좀을 아껴주시는게 좋습니다. 

얼방을 상대할 때에는 각종 힐 카드가 많아 힐만 적절히 해주시면 무난히 이깁니다.

얼회 종말이를 생각하셔서 부엉이/영착은 아껴주세요.


9. 사제

자락서스 변신만 제때 해주면 정말 쉽게 이깁니다.

사실 자락서스 뽑기 전에 리압배로 20딜 넣어서 이긴 게임도 많았어요.

다만 아키 간좀간좀 순치순치 치마 하면 순간 20딜이 나오기 때문에, 상대방 순치랑 간좀 갯수는 꼭 카운팅해주세요.



끝으로 전설을 달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는 분들을 위해 약간 팁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저도 아직 두번밖에 전설을 못달아봐서 이런 글을 올리는것도 좀 부끄럽지만요 ㅋㅋ


첫째, 구간별로 덱을 바꾸는게 좋습니다.

한 덱의 장인이 되어서 그 덱으로만 전설을 달겠다! 이런 마음가짐도 좋긴 한데, 그 덱이 현재 메타에 맞지 않는 덱이면 아무리 많이 돌려도 패만 쌓이고 5급 이상으로 가기는 힘듭니다.

저도 몇달 전에 파마 성기사가 좋다는 이야기만 듣고, 파마성기사면 거진 400판정도를 돌렸는데요, 결국 그 달에는 전설을 못찍었습니다.

만나는 덱들이 파마 카운터덱이거나 파마 미러전만 걸려서 2급 이상으론 도저히 올라가지 못하더군요. 아마 그때 파마 카운터덱을 돌렸으면 생각보다 쉽게 전설을 찍을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에 리압배흑마로만 전설을 단 것은 아니고, 위니흑마가 너무 계속 걸린다는 생각이 들 때 얼방법사를 돌려서 4~5판중 3판이상 흑마가 걸려 해당 구간을 쉽게 올라갔습니다.

둘째, 현재 메타가 어떤 메타인지 파악하는게 중요합니다. 

이번에 제가 이 리압배덱을 들고 간것도, 나름대로 메타를 파악해서 이를 적용한건데요, 현재 만나는 상대를 보면 노루, 위니흑, 명치(쓰랄,사냥꾼), 파마, 전사등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템포스톰 1위를 찍으며 인기를 끈 노루를 상대하기 위해 각종 위니흑, 명치덱이 늘어났고, 이를 또 카운터하기 위한 방밀이 여럿 보이는거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노루만 안 만나면 나머지 직업 상대로 승률이 좋은게 뭔가 생각해보니 리압배흑마가 좋을거 같더군요. 

예상대로 각종 명치덱, 파마, 전사등을 상대로 높은 승률을 보이면서 이번에는 100판정도 만에 전설가지 갈 수 있었습니다.


이것저것 쓰다보니 글이 좀 길어졌는데, 아무쪼록 전설 다시고 싶으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됬으면 좋겠네요.

각종 질문 환영하니 댓글 달아주세요~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