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꾼 : 렉사르
Hunter : Rexxar
덱 구성 18 9 2 0 1
직업 특화 60% (직업 18 / 중립 12)
선호 옵션 전투의 함성 (30%) / 죽음의 메아리 (23%) / 돌진 (10%)
평균 비용 3.7
제작 가격 14160
[정규] 소들을 풀어라! 알냥 커스텀 가이드 작성자 : Elizabeth2 | 작성/갱신일 : 09-18 | 조회수 : 9745
카드 리스트카운팅 툴
사냥꾼 (13)
1 사냥꾼의 징표 x2
1 양초 화살 x2
1 죽은척! x2
1 추적 x1
2 공포비늘 추적자 x2
3 개들을 풀어라 x1
3 기워 붙인 추적자 x1
4 거친 날갯짓 x1
4 사냥개조련사 쇼 x1
4 측방 강타 x2
6 죽음추적자 렉사르 x1
8 카트레나 윈터위습 x1
9 왕 크루쉬 x1
중립 (9)
2 공작 켈레세스 x1
3 데빌사우루스 알 x2
3 잿멍울 괴물 x1
4 영혼노래꾼 움브라 x1
5 마녀숲 불곰 x1
5 육식 보물상자 x2
6 이끼투성이 거인 x1
6 케른 블러드후프 x1
7 감전된 데빌사우루스 x2
덱 분석
비용 분포 (마나 커브)
  • 0
  • 123.3% (7장)
  • 210.0% (3장)
  • 316.7% (5장)
  • 416.7% (5장)
  • 510.0% (3장)
  • 610.0% (3장)
  • 7+13.3% (4장)
덱 구성
  • 하수인60.0% (18장)
  • 주문30.0% (9장)
  • 무기6.7% (2장)
  • 장소
추가 설명
18/09/17 






얼왕기 팩 등장할때 처음 시작해서 늘 로 살아오다가 냥꾼의 멋짐에 눈을 떠  1년 조금만에 처음으로 전설을 달성하였습니다. ㅠㅠ  정말 감회가 새롭내요 ㅠㅠ

처음 글을 쓰는거다보니 조금 부족하더라도 양해부탁드립니다


카피덱을 플레이하는것 만으로는 재미도 없고 저만의 플레이 스타일을 성립해야겠다 싶어서 지난달에 처음 구상한 냥꾼덱입니다. 
육식 보물상자를 보자마자 생각했던  + 콤보를 생각만 하고 있었는대 기무기훈님이 방송에서 성공하시는 것을 보면서 거기서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ㅡ  이후  or 로 이어지는 필드잡기의 강력한 콤보의 위력은 정말 강력역겨합니다. 뽕맛 오집니다. 구와아아아ㅏㄱ


우선 궁금해하실 승률입니다.
중간에 모바일로 하다보니 데이터에 기록안된 승패를 포함해서 계산하면  45승 21패로 70퍼를 살짝 상회합니다.



중간에 데이터가 초기화되어 기록에는 없지만 개체수를 불리는 속도를 따라갈 수 없는 홀수 기사, 짝수 술사에 다소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반면 템포법사, 위니흑마 등의 덱에 높은 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홀수도적과는 반반을 가져가고 있으며,그 외에 컨트롤&콤보 계열 덱들에게도 아주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전사,사제,법사 는 만나면 그냥 신이 납니다. 알만 집어오면 이깁니다.




덱의 운영법에 앞서,
최근의 죽메냥은 크게 두갈래로 나뉜다고 봅니다.(*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요놈과 함깨  등을 체용하여 기계뽕을 보는 기계알냥

그리고 이 둘을 섞어놓은 혼종이 있습니다.

기계냥의 장점은 위니덱들을 상대로 더욱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며, 가볍고 빠른 템포로 필드를 빠르게 가져와 명치를 후리기 좋습니다. 단점은 냥꾼의 특성상 손패가 빠르게 떨어지다보니 오른쪽  가 아니면 손패소모가 심해 필드가 뒤집힐 경우 역전할 길이 없습니다. 또한 강력한 한방도 부족한 편입니다.

반면 빅야수냥은 초반을 버티다 중후반의 ,   등으로 필드를 확 잡고 그대로
찍어 눌러 이기는 식의 플레이가 장점입니다. 단점은 멀리건이 똥망할경우 초반을 넘기지 못하고 너무 허무하게 게임을 져버리곤 합니다.





커스텀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 (    ,    )<<입맛대로? 란 의미이며 필자는 체택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사용한 소감이 나쁘지 않아 적어놓습니다.



 저코라인 ,   ,   , or

잿멍울은 위니가 득실거리는 시간대에 덱에 투입하면 안정적으로 초반을 넘길 수 있게 해줍니다.


는 전혀 다른 타입의 서치카드입니다.
덱압축을 원하시면 추적을, 하수인 위주의 뒷심 플레이를 원하시면 추적자를 추천드립니다.

추적의 경우 1코로 가볍게 쓸 수 있지만 압축효과가 있어 게임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눈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당장 쓸수있는 알or 죽메효과 카드와 상자 혹은 죽기 등의 뒷심카드중 한장을 고르게 만드는 경우가 많고 탈진을 빠르게 가게 만들어서 컨트롤전에서는 안쓰니만 못한 카드가 될 수 있습니다.
추적자를 쓰게되면 위니전을 하게 됬을 시 탬포가 늦어져서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한 이후 필드를 따라가지 못해 허무하게 져버리곤 합니다.




 방어용   ,  
, ( or )

마녀숲 불곰을 2장 채용할 경우 체력관리가 매우 수월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불곰-상자 + 죽메발동시 명치신경안쓰고 역으로 공세로 나갈 수 있습니다.  와 비견될만한 튼실함을 자랑합니다.

특히 홀돚의 9/9 기사를 만나게 되면 두장의 사냥꾼의 징표 없이는 제압할 수단이 전무하기 때문에 그대로 게임이 뒤집히기 쉽습니다.  
또한 미러전매치시의 킹갓거인을 당할 경우, 혹은 죽기등의 존재로 명치딜이 누적되어 허무하게 골로 가버립니다.
그래서 저는 채용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좋은 카드임은 분명하며, 투입하셔도 충분히 밥값하는 사기카드입니다.
이 둘을 고려하는 이후는 급할경우or 탬포를 올리기 위해 알을 상자로 먹는 경우가 생기는대, 이덱에서는 
이외에 알을 스스로 깰 수단이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알들이 필드만 차지하고 있다가 개풀자리도 먹어버려서 손해를 보기도 하고,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플레이를 하게 되기도 합니다. 위의 카드들을 체용할 경우 아르거스는 좀더 방어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해주며 곰팡이술사는 깜짝 킬각을 만들어내는 조커 카드로 기용할 수 있습니다. 두장 다 충분히 고려해볼만한 카드입니다.




*예외


두장 다 체택해본 소감으로는 



두장 다 장단점이 있어 고려해볼만한 카드라 생각합니다. 



*09/18 추가


케른과의 장단점을 비교해보자면, 
기계 새끼용의 경우 2/2라는 스텟으로 죽메 효과를 보기 쉽고 7/7의 큼직한 하수인이 뒤에 깔리는 것이 매력적입니다.







생각보다 좋습니다. 케른 자리를 완전히 대채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사바나를 2장 기용하고 빅 하수인들을 뺀 뒤 와 를 투입한 신댁 운영의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조금 더 테스트 할 예정입니다.












공통 운영법

공통 추천 멀리건으로는 선후 관계없이 우선적으로 >>  를 들고가주세요.
   이후 우선순의 1 
,  (알 잡혔을 시)

무기, 주문이 우선된다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베스트 흐름은 선턴시   or  >>  >>   
                    후턴시  or  >> +  >>  = (구아악)



핵심 카드로는 초중반에는 , 중후반에는  입니다.











직업별 운영법






게임이 길게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죽기를 멀리건에 들고가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깔깔이를 생각하여 조금 늦게 쓰셔도 무방합니다.
자충망이 매우 엿같습니다만, 하수인 사이사이에 알을 넣어주면 너무 좋아합니다.
주의하시면 좋은 카드로는 가 있습니다.








두덕시니 술사의 경우도 를 들고가셔도 좋습니다. 빠르게 필드를 전게하여 명치만 보고 달리시면 이깁니다만 가 매우 짜증납니다.
초반에 알을 이용하여 필드를 먹지 못하였을 경우 돌진-빅-야수를 상자로 먹어 막대한 대미지를 입히는 방향을 노리시는 것도 좋습니다.

를 항상 염두해두시고 특히 빅하수인 소집시 각을 조심하세요.






을 + 와 함깨 멀리건으로 추천드립니다.

퀘돚의 경우 아주 조랄같습니다. 무슨일이 있어도 빠르게 알을 깨서 명치를 후리세요. 달려야 이깁니다.
퀘스트를 빠르게 달성했을 경우 정말 힘듭니다. 특히 + 콤보는 구역질을 자아냅니다. 
무엇보다 달성이후 튀어나오는 4/4 3마리의 는 정말 역겹습니다.
















비밀냥의 경우 만 신경써주시고 5코 풀강 주문석을 당했을 경우  를 툭 던져주세요. 교환비 환장합니다.
후반 뒷심은 빅알냥이 훨씬 좋기 때문에 파마한거만 조심스럽게 풀어주고 명치 후리시면 됩니다. 비밀만 잘 읽으시면 7-3정도로 이기는 것 같습니다.


알냥 미러매치의 경우 필드잡는 쪽이 무조건 이깁니다. 상대가 알을 낼 경우 될수있으면 깨주세요. 5/5하나 튀어나올게 둘, 셋 나오면 답이 없습니다. 














초반 탬포는 어차피 느리니 중반에 상자를 이용한 사기로 필드를 압도적으로 먹어 찍어 누르시면 쉽게 이기실 수 있습니다. 퍼역의 경우를 대비하여 멀리건에  을 가져가는 것도 진지하게 고려할만 합니다. 앵간하면 쉽게 이기실 수 있습니다.
요즘 도발하수인을 깔아둔 뒤 등으로 키워서 후리는 덱이 있더군요.
소들을 풀어서 쉽게 이겼습니다만, 쉬운 상대는 아니였습니다. 초반보단 중반 큐브를 이용한 사기를 노리시는게 좋습니다.






행복한 구울과 2코 켈레서스는 운빨ㅈ망겜을 절로 외치게 만듭니다.
2-3코가 승부를 나누는 갈림길인대,를 이용해 필드를 빠르게 잡아와야 합니다.
4~5코 무렵 하수인이 3 이상 깔렸을 경우 를 이용하여 필드를 가져와야 합니다.








비법의 경우 만 꺼내놔도 쉽게 이깁니다. 비밀이 걸렸을 경우 알을 내서 부화시키는 플레이도 정말 좋습니다.  를 빠르게 끊어주면서 얼마나 데미지를 안누적당하는가가 관건입니다.는 특히 무슨일이 있더라도 나온 턴에 잡아내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컨법의 경우 알을 필드위에 톡톡 던져만 놔 주셔도 광역기들을 못써 너무 좋아합니다.







메카툰덱의 경우 해멧이 튀어나오면 시간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명치에 당신의 혼을 쏟아주세요.










이상 공략글이였습니다.
처음 적다보니 쓸대없는 말도 많고, 부족한 필력임을 실감합니다.
재미있게 봐주셨음 좋겠고, 
오타 지적 및 조언은 달게 받겠습니다.
맘에 드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등급전 건투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덱 평가
이 덱을 평가해 주세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덱의 성능은?
추천 : 8 / 비추천 : 4
연구해볼만한 덱입니다. 추천!

코멘트

코멘트(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