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 : 제이나 프라우드무어 | |
---|---|
Mage : Jaina Proudmoore | |
덱 구성 | 20 9 0 0 1 |
직업 특화 | 56% (직업 17 / 중립 13) |
선호 옵션 | 전투의 함성 (33%) / 도발 (10%) / 죽음의 메아리 (3%) |
평균 비용 | 4.7 |
제작 가격 |
![]() |
전설 인증 + 승률
대충 300 판을 해봤는데 55%의 승률이 나왔습니다. 현 메타에서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덱입니다.
1. 컨트롤 법사 또는 빅스펠 법사의 장단점
장점 - 현 메타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어그로(홀도적, 위니흑마 등등)들에게 상당히 유리합니다.
또한, 다른 컨트롤 덱들과도 비벼볼만 합니다.
단점 - 손패를 모아서 한방 콤보를 노리는 덱(두억시니, 토큰드루 등등)들에게는 불리합니다.
2. 카드 설명
어그로 덱들을 상대로 너무 좋은 카드입니다. 7코스트에 기술병 + 눈보라 콤보는 사기입니다.
주문 코스트힐 + 기술병을 정리하는 데미지흡수까지 절대 뺄수 없는 카드입니다.
주문 서치와 드로우를 동시에 하는 카드입니다. 어그로들을 상대로 보통 용의 분노를 가져가야 하지만 멀리건에 나오지 않을 경우 까마귀 전령으로 찾아오는 경우가 많았고, 어그로들은 보통 주문의 비용이 낮아서 주문들을 뽑아오기 어렵지 않았습니다. 컨트롤덱들과도 주문의 비용이 높아 잘 뽑습니다.
종말이는 어그로 덱들을 상대로 당연히 필수고, 8코 눈보라 종말이 이후에 9코 안정적인 죽기제이나콤보도 상당히 좋습니다. 또 컨트롤 덱들과의 매치에서도 뒤에 설명할테지만 너무 좋은 카드입니다.
넣으시는 분도 있고 빼시는 분도 있는데 취향차이입니다. 저는 홀도적이나 홀방밀때메 1장정도 넣었습니다.
이거 1장정도 넣는 컨트롤 법사덱도 많더라구요. 그런제 저는 2장을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미러전에서도 너무 좋고, 냥꾼들의 영능에서 나온 주문면역 하수인이나 짝흑들의 산거를 이거로 끊어버리는게 베스트입니다. 또한 죽기 제이나와의 연계도 상당히 좋습니다.
어그로들을 상대하기 조금이라도 편하게 하기 위해서 2장을 넣었습니다.
안넣는 덱도 1장 또는 2장넣는 덱도 있는데 저는 처음에 2장을 넣어봤습니다만... 제가 운이없어서 원하는 비밀이 나오지를 않아 1장을 뺐습니다만... 최소한 1장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직업상대법에서 설명합니다.
어그로와의 매치에서 중요한 비전 기술병을 서치하는데 너무 좋은 카드입니다. 1장은 필수고, 2장은 선택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2장을 썼지만, 탈진 까지 생각해야하는 매치에서는 손에서 자리만 차지하길래 1장 빼버렸습니다.
상대의 까다로운 하수인 정리 + 죽기제이나와 연계로 필수 카드입니다.
설명 안해도 아시겠지만 필수입니다.
다만, 한가지 설명하자면 덱카운팅을 정말 정말 잘하셔야합니다. 덱트레커를 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어그로 틀어막기 + 토큰드루 틀어막기 + 죽기 제이나와의 연계로 너무 좋은 카드입니다.
용의분노 연계 + 어그로 틀어막기 + 하수인 빙결 + 알라나 스텍쌓기로 필수 카드입니다.
용의분너 연계 + 큰 하수인 정리 + 알라나 스텍쌓기로 필수 카드입니다.
다른 덱들은 취향이지만 저는 현 메타에서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드루이드와 사냥꾼 상대법에서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용의분노 연계 + 어그로 틀어막기 + 알라나 스텍쌓기로 1장은 필수 카드입니다. 2장을 넣으면 손에서 많이 놀고 다른 전체기에 비해서 활용도도 적기에 1장만 넣었습니다.
급한경우의 전체기 담당과 죽기 제이나 이후의 대량힐도 가능해서 필수카드입니다.
한 가지 팁이라면 죽기제이나 이후에 게돈의 효과로 영웅의 체력이 0이되어도 죽지 않고 힐이 들어갑니다.
신드라고사는 취향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죽기제이나와의 연계도 너무 좋고 신드라고사 본체가 제압기도 빼주면서 아무튼 생성된 전설이 캐리하는 장면도 많이 나와서 쓰고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리치왕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상대의 제압기가 무조건 빠진다는 입장에서 죽기 제이나의 물정들에게 상대방은 좀 더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반대로 물정들이 제압기를 빼면 리치왕이 2턴 이상 사는 경우도 많이 나왔습니다. 무엇보다도 리치왕은 사랑입니다.
이 덱의 핵심이니 당연히 넣어야하는 카드입니다. 진짜 작정하고 안나올때는 갈아버리고 싶은데 또, 9코에 칼같이 나올때는 너무 좋은 카드입니다.
컨트롤 덱들과의 싸움에서 물정과 여러 하수인으로 제압기를 다 뺀 상태에서 나가는 최고의 피니쉬
3. 생각해 볼만한 카드
이거 쓰는 덱들이 많은데 저는 비추입니다. 이유는 일단 이득을 크게 볼 카드가 많이 없습니다. 요즘 같은 개사기치는 메타에서 리치왕을 5코에 낸다고 해서 사기는 아닌거같고, 죽기 제이나 하나정도 5코로 냈을 때 사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제가 써본 결과 은근히 비전 기술병이나 종말이가 많이 드로됩니다. 비전 기술병이 5코라면... 연계불가
그리고 탈진 싸움을 봐야하는 매치에서는... 거의 사용 불가
써봤는데 캐리할때도 있었지만 역시 랜덤이라서 손해를 볼 때도 있었습니다. 예를들어 드로우를 아껴야하는 매치에서 드로우 하수인을 소환해버린다든지... 또한, 손패에서 은근 많이 놉니다. 만약 쓰신다면 1장정도 추천드립니다.
알라나와 연계용으로 쓰는 덱들이 있는데 사실상 알라나가 나가서 1턴을 살아 남는 게임은 이긴 게임입니다.
그리고 컨트롤 법사 특성상 버티면서 이기는 덱이기 때문에 저는 알렉스트라자가 없어서 아쉬운 상황은 없었습니다.
4. 각 직업 상대법 (요즘 메타에 따른 멀리건과 운영법)
1) 전사
★ 멀리건 : 죽기제이나, 수액, 외눈깨비
ㄱ. 홀방밀 전사 (죽기제이나가 빠르면 빠를수록 유리)
요즘 가장많이 보이는 덱인데 무조건 탈진까지 가는 싸움이기에 드로우를 최대한 아끼고, 죽기제이나를 빨리 찾아야합니다. 외눈깨비와 물정으로 방밀과 난동, 난투를 빼면서 물정으로 하수인 교환싸움을 하다보면 자연스레 이기는 매치입니다. 하지만 제이나가 많이 늦게나오거나 아잘리나로 죽기제이나를 복사당하는 순간 힘들어집니다.
또한, 변이는 최대한 새끼공포뿔에게 써서 탈진싸움을 생각해야합니다.
ㄴ. 퀘스트 전사 (약간 불리)
가끔 보이는데 제이나 변신이 빨라서 하수인을 계속 전개를 한다면 해볼만한 싸움입니다. 하지만, 조금 불리한건 사실입니다.
ㄷ. 컨트롤 전사 (반반싸움)
망자의 손패와 붐지옥 함선을 쓰는 덱인데 상대법은 홀방밀과 비슷하나 붐지옥을 항상 생각하면서 대비책을 남겨두고 플레이 하다보면 할만한 매치입니다.
ㄹ. 메카툰 전사 (외눈깨비가 있냐 없냐 싸움)
정말 가끕보이는데 외눈깨비로 소용돌이를 태운다면 이기고 못태우면 집니다.
기본적인 콤보가 붐지옥으로 말리와 메카툰을 내고 내분과 소용돌이를 이용해 죽이는 콤보인데.
소용돌이를 태운상태에서 후반 상대의 메카툰 타이밍 때 필드에 하수인을 내지않는 다면 이깁니다.
만약 하수인을 내버린다면 자신의 하수인에 상대가 내분을 발라서 메카툰을 자살시켜버립니다.
필드에 하수인을 내지않고 기다린다면 상대가 저절로 말리와 메카툰을 던지는데 메카툰만 변이를 시켜주면 알아서 항복하고 나갑니다.
2) 주술사
★ 멀리건 : 종말이, 용분, 비전 기술병, 까마귀, 잿멍울
ㄱ. 두억시니 주술사 (극악으로 불리)
멀리건만 봐도 알겠지만 두억시니는 거의 못이기기에 짝술사를 상대로한 멀리건으로 가져갑니다.
유일하게 이기는 플랜이 2개가 있는데 1개는 상대의 두억시니가 실패하는거고 나머지 1개는 5턴부터 주문을 계속 사용하면서 알라나로 이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ㄴ. 짝수 술사, 어그로 술사 (유리)
기본적으로 어그로이기 때문에 많은 전체기들와 비전 기술병으로 버티다 보면 상대패가 마르거나
죽기제이나가 나오거나 해서 끝나는 매치입니다.
3) 도적
★ 멀리건 : 종말이, 용분, 비전 기술병, 까마귀, 잿멍울, 수액
ㄱ. 홀수 도적 (유리)
가장 많이 보이는 덱으로 5코부터 전체기와 비전 기술병으로 쓸기시작하면 알아서 상대가 항복하는 매치입니다.
제가 300판을 돌리면서 가장 많이 만난 덱 2개 중 하나인데 10판 중 8판은 이깁니다.
ㄴ. 퀘스트 도적 (극악으로 불리)
상대가 퀘깨고 무한 깔깔이하면 답이 없는 매치이기에 포기하는게 속편합니다. 다행히도 요즘 많이 안보입니다.
ㄷ. 왕파 도적 (반반싸움)
빠르게 죽기제이나로 변신하고 물정과 하수인들로 혼절, 소멸 등 제압기를 천천히 빼면서 물정으로 본체를 얼리기 시작하면 이기는 매치입니다. 설명한것처럼 제이나가 늦게나와 제압기를 많이 못 뺐다면 힘든매치입니다.
ㄹ. 죽메 도적 (반반싸움)
상대의 손패가 너무 잘풀린다면 힘들지만 적절한 변이 사용과 전체기로 죽기제이나까지 간다면 유리해집니다.
ㅁ. 미라클 도적 (유리)
44하수인이 많이 깔려도 전체기가 워낙 많은 덱이라 유리한 매치입니다.
4) 성기사
★ 멀리건 : 종말이, 용분, 비전 기술병, 까마귀, 잿멍울, 수액
ㄱ. 홀수 성기사 (약간 유리)
상대의 레벨업을 얼마나 잘 대처하느냐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많은 전체기로 유리한 매치입니다.
ㄴ. 원턴킬 성기사 (불리)
서로 느린 덱이라 상대가 파츠를 모으기 쉬워서 많이 힘들지만 상대의 원턴킬 타이밍에 비전 열쇠공으로 폭룬을 건다면 한턴을 더 벌어서 피니쉬를 노린다거나 가끔 멍청한 성기사들이 파츠를 그냥 던져서 폭룬에 죽어버리는 경우도 생기긴 합니다. 무엇보다도 거의 안 만납니다. 300판동안 2번 만나봄...
5) 사냥꾼
★ 멀리건 : 종말이, 변이, 용분, 외눈깨비
ㄱ. 죽메 사냥꾼 (약간 불리)
상대가 말도 안돼는 사기를 치거나 빠른 죽기 렉사르가 나오면 힘들지만, 변이와 부두 인형, 제이나빨로 충분히 할만한 매치입니다. 상대가 알을 던진다면 종말이를 던져서 죽메를 못터트리게하거나 외눈깨비로 1코주문들을 태우면 상대는 기본적으로 저의 리치왕이나 신드라고사같은 큰 하수인 정리가 힘들어집니다.
한 가지 팁이라면 부두 인형은 되도록 죽기 렉사르에서 나온 주문면역 하수인을 정리하는게 좋습니다.
ㄴ. 비밀 사냥꾼 (반반싸움)
상대는 죽기렉사르가 빠른데 죽기제이나가 느리다면 힘듭니다. 죽기 렉사르 빼고는 주문석을 전체기로 정리하면서 운영한다면 유리한 싸움입니다. 상대가 칼같이 죽기렉사르를 해도 죽기제이나가 빠르다면 반반싸움입니다.
6) 드루이드
★ 멀리건 : 외눈깨비
ㄱ. 토큰 드루이드 (불리)
불리한 매치이지만 못해볼 매치는 아닙니다. 외눈깨비로 주문석을 태운다면 상대의 속숲콤보를 깔깔이로 막고 다음턴에 전체기로 정리한다던가 10코스트에는 용분용분 콤보로 정리할수도 있고, 후턴이라면 동전+용분+눈보라로도 정리할수 있습니다.
ㄴ. 도발 드루이드 (반반싸움)
외눈깨비로 자연화를 태원서 맨땅에 던진 하드로녹스를 변이로 제압한다든가 리치왕이나 다른 고코스트 도발하수인을 변이로 끊어버려서 상대의 마녀의 시간에서 양이 나온다든가 하는 방법으로 비벼볼만한 매치입니다.
ㄷ. 말리드루이드 (반반싸움)
상대의 알렉 타이밍까지 비전기술병을 아끼다가 상대의 알렉이후 비전기술병과 주문으로 힐을해서 싸운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싸움입니다.
토그왜글 드루이드 (극악으로 불리)
상대가 파츠모으기가 너무 쉬워서 많이 불리한 매치입니다.
7) 흑마법사
★ 멀리건 : 종말이, 용분, 비전 기술병, 까마귀, 잿멍울
ㄱ. 위니 흑마 (매우 유리)
기본적으로 멀리건을 위니 흑마에 맞춰서 가져가는데 전체기와 비전기술병, 도발 하수인들로 버티다보면 상대의 손패가 다 마르거나 상대가 지치거나 2개중 하나입니다. 10판중 9판은 이깁니다.
ㄴ. 짝수 흑마 (유리)
만약 짝수 흑마가 많이 보이는 등급이라면 멀리건에서 부두 인형을 하나정도 가지고 갑니다.
기본적으로 갈고리때문에 상대의 명치를 때리지 않으면서 운영을 합니다.
짝수 흑마는 나오는 하수인이 정해져있습니다.
비룡, 산거, 갈고리, 지옥불정령, 리치왕, 젠 + 각종 저코스트 하수인 + 죽기굴단의 부활한 악마들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대의 산거는 왠만하면 변이가 아닌, 부두인형과 유성으로 정리하고, 변이는 되도록 리치왕이나 지옥불정령에게 쓰는게 좋습니다. 나중에 죽기굴단으로 악마들이 부활할깨 지옥불 정령이 부활하냐 안하냐의 차이는 상당히 큽니다. 그렇다고해서 설령 지옥불정령까지 부활한다해도 용분이나 눈보라가 있어서 충분히 정리가 가능합니다. 짝수 흑마는 하수인들 정리하다보면 스스로 탈진맞으면서 항복합니다.
또한, 산거 타이밍에 종말이를 던지는 센스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가끔가다가 2턴에 까마귀로 변이를 드로우해오면 상대는 변이에 쫄아서 변이가 빠질때까지 산거를 아끼면서 플레이를하는데 그러면 개꿀입니다.
ㄷ. 컨트롤 흑마 (변이가 있다면 유리)
변이의 유무가 정말 중요한데, 사도 린이과 파멸수호병을 변이로 제압하면 유리해지는 매치입니다.
너프로인해서 예전만큼 강력한 덱은 아닙니다.
8) 마법사
★ 멀리건 : 종말이, 죽기 제이나
ㄱ. 템포 마법사 (많이 불리)
저는 10판 중 2판정도 이겻던거 같은데 이겼던 이유가 상대의 폭룬을 종말이로 빼고, 마차를 동전으로 빼면서 비전기술병으로 힐을 해서 이겻던거 같은데 기본적으로 상당히 불리한 매치입니다. 멀리건에서 죽기제이나를 가져가는것도 템포전은 포기하고 미러전을 이긴다는 생각으로 가져갑니다.
ㄴ. 컨트롤 마법사 (반반싸움)
딱 4가지가 중요합니다.
첫째 드로우 절대 안보기, 둘째 빠른 죽기제이나, 셋째 제압기를 신중하게 쓰기, 넷째 알라나의 대비책입니다.
결국 서로 드로우 안보면서 누가 더 빠른 죽기제이나를 하는가 싸움인데 알라나의 사용도 중요합니다.
상대가 눈보라도 다 빠지고, 용분도 빠졌거나 무용지물(덱에 카드가 없음)이 됐다면 리치왕에서 나온 파멸의 서약이 아닌이상 알라나를 푼다면 이깁니다. 반대로 항상 알라나를 대비해야합니다. 보통 마지막의 마지막에 알라나가 풀리는데 저는 눈보라 + 종말이 콤보를 아껴주었다가 알라나를 막아주곤 합니다.
9) 사제
★ 멀리건 : 죽기제이나, 용분
ㄱ. 천정내열사제 (극악으로 불리)
예전에 내면의 열정을 사용하는 사제라면 모를까...
요즘은 전부 발라당 콤보이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버티는 덱인 컨트롤 법사는필드 전개가 느려서 상대가 파츠모으기에 많이 쉽습니다.
ㄴ. 원턴킬사제 (반반싸움)
상대의 말리고스나 벨렌 위주로 변이를 걸어주시면서 운영을 하다보면 상대가 운빨로 벨렌과 말리만 살려내는게 아닌 이상은 할만한 매치입니다.
ㄷ. 메카툰사제 (폭룬을 거냐 못거냐의 싸움)
비전열쇠공을 쓰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상대의 메카툰 타이밍(상대의 손패가 5장남았을때)에 비전열쇠공으로 폭룬을 걸면 이기고 못걸면 집니다. 폭룬을 걸었다면 상대는 메카툰을 한방에 죽이는 방법이 없어집니다. 때문에 메카툰을 변이로 제압한다면 이기는 매치입니다.
마치며...
장문의 허접한 글이였고 오타나 문법오류도 많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어그로가 많이보여서 돌릴수 있었던 덱입니다.
만약 컨트롤덱들이 많이 보인다면 돌리지 않는걸 추천드려요.
마지막으로 추가적으로 궁굼한 모든 내용과 피드백을 댓글로 달아주시면 확인해서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