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사 : 빛의 수호자 우서 | |
---|---|
Paladin : Uther Lightbringer | |
덱 구성 | 12 16 2 0 |
직업 특화 | 66% (직업 20 / 중립 10) |
선호 옵션 | 전투의 함성 (17%) / 천상의 보호막 (7%) / 생명력 흡수 (7%) |
평균 비용 | 3.8 |
제작 가격 |
![]() |
신격기사 관련하여 정보가 많이 부족한것 같아 처음 이렇게 글올려봅니다.
6월에 다시 17급으로 복귀하여 현재 9급에 안착해 있는 유저입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신격기사는 광기 평등. 광기 축소 광기 신성과 등으로 필드를 정리해 나가고,
잠깐, 칸고르 빛의 섬광, 등으로 탈진전까지 버티다가
시르벨라, 불길한 은행원, 신격 콤보로 25딜을 넣고 마무리하는 현재 얼마 남지않은 OTK 덱입니다.
승률의 경우 17급 부터 10급 까지 55% 정도로 그리 높지는 않지만 OTK 덱이라는 점에서 다른 덱과 다른 재미가 있는 덱이라고 생각합니다.
OTK 덱만의 짜릿함, 매 턴마다 요구되는 판단력 등 기존 메타에 지겨우신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단 승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순수하게 등급을 올리고 싶으신 분들은 한번더 생각 후 플레이를 추천드립니다.
현 신격기사에 대해서 많은 덱리스트가 존재하는데 신격기사에서 필수로 요구되는 덱리스트 입니다.
총이렇게 26장 정도가 신격기사에 필수로 들어가는 카드 정도라고 생각되고
나머지 4장의 경우 플레이어 스타일, 현재 메타 추세에 따라 커스텀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커스텀될 수 있는 카드들로는 위 6장 정도가 제일 적당하다고 판단됩니다.
<탈노스> - 1장
탈노스의 경우 1드로우, 주문공격력+1 이라는 준수한 스텟에 수정학에서 나온다는 메리트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저의 경우 탈노스+ 신성화, 탈노스+ 망치각 잘 나오지 않아 덱리에서는 제외시켰습니다.
<엘프궁수> - 1 ~ 2장
현재 상위 랭커분들의 덱의 경우 엘프궁수 2장을 채용하여 플레이하고있습니다.
엘프궁수의 경우 여러모로 사용처가 다양한데,
1) 주술사, 드루이드의 체력 1짜리 카드들을 끊는용도
2) 고수사와 함께 사용 시 1드로우 용도
3) (전사제외) 진은검 + 엘프궁수 1딜 + 시르벨라 신격 = 30딜을 내는 용도
정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플레이 시 1 ~ 2장 정도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알렉스트라자> - 1장
알렉스트라자의 경우 코스트가 높아 사용하기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신격기사의 하드카운터인 전사를 카운터치기 위해서는 필수로 채용되어야 할 카드입니다.
알렉 후 체력이 15가 되기 때문에 방어도가 35이상 되지 않는 이상 시르벨라 신격 두방으로 총 50딜을 꼽아 이길 수 있습니다.
전사가 보이지 않을 시에는 채용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젋은 양조사> - 1장
젋은 양조사의 경우
1) 양조사 + 풋내기 기술자를 활용한 드로우
2) 시르벨라 + 양조사 를 이용한 체력회복
용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시르벨라 + 양조사 + 시르벨라 + 은행원으로 최소 14힐 칸고르 까지 사용시 최대 28힐까지 회복이 가능합니다.
현재 기계 냥꾼, 콩콩이 도적 등이 많아서 저의 경우 1장을 채용하였습니다.
<고통의 수행사제> - 1장
상황에 따라 최대 3드로우 까지 가능한 카드입니다.
엘프궁수와 활용하여 드로우 수를 올릴 수 있고 3코스트가 부족한 신격기사에게 3코스트 플레이를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과도한 드로우로 인하여 손패가 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고수사를 사용시에는 많은 판단력이
요구됩니다.
저의경우 1장 채용했습니다.
<제페토 조이비즈> - 1장
마지막 제페토 조이비즈 입니다. 제페토 조이비즈의 경우 확정 하수인 2드로우를 할 수 있으며
코스트를 1로 줄여주기 때문에 여러 응용이 가능합니다.
신격기사의 경우 시르벨라를 제외한 하수인들이 대체적으로 1/1스텟이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카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제페토자체가 코스트가 높아 쓰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회복이 필요한 상황에서 시르벨라를 1코 1/1로 줄이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여 덱리스트에선 제외했습니다.
이러한 6장 외 커스텀 가능한 카드에는 분광렌즈를 하나 빼거나 천벌의 망치를 하나더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대법입니다.
공통멀리건으로는
수정학, 풋내기 이 두장은 어떠한 덱이든 필수로 잡고갑니다.
<주술사, 드루이드> 승률 30% 매우 어려움
주술사와 드루이드의 경우 현재 제일 많이 보이는 멀록주술사, 토큰드루이드입니다.
저코 하수인을 푼 다음 야포, 피의욕망으로 한방의 킬각을 잡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저코 하수인들이 풀리기 시작하면, 멀록의 영혼, 숲의영혼등으로 필드제압이 어렵기 때문에
상대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상대방법으로는 하수인들이 깔리지 않게 광기의 화염술사, 신성화, 천벌의 망치, 진은검 정도 챙겨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도적> - 승률 50% 보통
도적의 경우 현재 콩콩이도적과, 훔치기 도적이 제일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둘다 상대하기 무난하다고 생각됩니다.
콩콩이도적의 경우 콩콩이를 계속 키워서 킬각을 잡는데 키우기까지 과정이 길고
훔치기도적의 경우 상어의 혼 + 잔악무도 후 졸개 + 토그왜글로 필드를 잡고 리로이로 킬각을 잡는데 이또한 과정이 길며 졸개 체력이 낮고 전개되는 하수인들이 적어 비교적 제압이 편합니다.
고수사,분광렌즈, 진은검 정도 챙겨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법사> - 승률 50% 보통
마법사의 경우 현재 가장 많이 보이는 마법사가 루나의 휴대용우주를 채용한 창조술사의 부름 덱입니다.
카드가 + 거인들 + 창조술사의 부름 으로 고코스트 하수인을 전개하거나
루나로 코스트를 줄인 후 말리, 안토니다스 를 활용한 염구 킬각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법사의 경우는 카드패를 모으면서 시작하고, 고코스트의 경우 축소 광기, 평등 광기 등으로 제압이 가능합니다.
단, 비전열쇠공을 넣는 덱이 많기 때문에 마법차단카드를 주의하셔야합니다.
고코스트를 제압하기 위한 평등,축소,엘프궁수, 진은검 정도를 챙겨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냥꾼,기계성기사> - 승률 50% 보통
현재 메타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사냥꾼입니다. 자주 보이는 덱은 기계냥꾼, 미드레인지 냥꾼, 비밀냥꾼
이 세가지 이며, 기계냥꾼 > 비밀냥꾼 > 미드레인지냥꾼 순으로 상대가 어렵습니다.
기계냥꾼의 경우 합체를 활용하여 딜을 계속 누적시키며
미드레인지 냥꾼의 경우 코뿔소 + 광포한 분노, 하이에나 + 개풀 등으로 야수들을 키워 필드를 장악합니다.
비밀냥꾼의 경우 쥐덫, 뱀덫, 저격등으로 필드를 잡은 후 야수를 풀어라나 줄진 등을 활용하여 킬각을봅니다.
기계냥꾼의 경우는 기계가 합체하지 못하게 최대한 필드를 정리하고 축소광선을 활용하여 받는 딜을 최소화시키면 되고
비밀냥꾼 같은 경우 쥐덫각을 최대한 피하면서 카드를 모으시면됩니다.
미드레인지 냥꾼의 경우 진은검 등로 하수인들을 끊어주면 플레이가 편하실거라 생각됩니다.
진은검, 천벌의망치 등을 챙겨가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기계 성기사의 경우도 기계냥꾼과 동일합니다.
<사제> - 승률 60% 보통
현재 정규전에서 제일 많이 보이는 사제는 기계 천정내열 사제입니다. 기계와 합체를 활용하여 체력을 키운 후
천상의 정신 + 내면의 열정 콤보로 킬각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제의 경우 체력을 키워야 하기 때문에 하수인들의 체력만 관리해 준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상대하실수 있을 실 거라 생각됩니다.
진은검, 축소, 평등 등을 챙겨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사> 승률 50% 보통 (운에따라 70%)
전사의 경우 방밀전사, 폭탄전사 두개의 덱으로 나뉘는데 신격기사의 경우 방밀전사 > 폭탄전사 로 난이도가 어렵습니다. 전사를 상대시 알렉이 없으면 빠르게 항복 후 다음판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사를 상대할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1) 은행원, 신격을 드로우나 다른 용도로 절대로쓰면 안된다는 것 (오로지킬각)
2) 알렉을 꼭 사용 하고 방어도를 35이상으로 올리게 하지 말것
3) 알렉 사용 전 질리악스를 항상 염두해 둘것
입니다.
전사의 경우 빠르게 드로우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고수사, 분광렌즈. 등을 챙겨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성기사 미러전의 경우는 드로우 승부이기 때문에 드로우카드를 우선적으로 집으시면 되고
흑마의 경우 상대한 적이 거의 없어 이번에 적지 못하였습니다.
-----------------------------------------------------------------------------
상대법 외에 신격기사 플레이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분이 계실 것 같아서 간단하게 설명해드리자면
드로우하고 막고, 버틴 후 마지막 25딜을 넣으시면 됩니다.
신격기사의 경우 상황에 따라 카드를 사용할지 말지 판단력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플레이방법은 구체적으로
적지 않았습니다.
신격기사를 하고 싶은 많은 유저들에게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