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찍은 스샷입니다.
그동안 밸런스 패치가 많이 진행되었고, 도적이 메타를 선도하므로 기존의 덱에서 일부 카드가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도적은 기습, 낙인, 졸개 등으로 필드를 유지하므로 필드싸움에 유리한 하수인을 쓰는 게 좋습니다.
수액 → 사원 광전사
갈라크론드 5/1 무기는 부숴봤자 판도를 뒤집기 힘들고 죽메도적도 망했기 때문에 수액이 별 쓸모가 없습니다.
특히 도적이 넘치는 상위 티어에서 기습 한 방에 뻗는 건 너무 큽니다.
그래서 기습이나 낙인으로 정리가 안되고 1/1 졸개를 잡기도 좋은 광전사로 변경했습니다.
불페라 → 가르게
불페라는 고고학자와의 연계를 통해 변수를 창출해주는 좋은 카드지만 필드 싸움에 약합니다.
따라서 한번에 정리하기 힘들고 질리악스 등과 연계할 수 있는 가르게로 변경했습니다.
정배기술자 → 비늘기수
정배기술자는 3마나 하수인이지만 3턴에 내면 스텟 손해를 보는 하수인입니다.
게다가 졸개 혹은 용이 잔뜩 깔리는 요즘 메타에서는 그 중 하나를 가져와도 판세를 뒤집기 힘듭니다.
따라서 다른 3마나 하수인을 고민하던 중에 덱에 용족 하수인이 더 많아지게 되면서
3턴에 용족시너지로 즉시 필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늘기수로 변경했습니다.
물의 정령 → 융합체
물의 정령은 전사 메타에서 큰 활약을 하지만 도적 메타에서는 별로입니다.
졸개들은 어차피 1/1이라 빙결 효과에 의미가 없고 죽메도적이 아니면 명치도 얼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또한 이 덱의 플레이 방식 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게 2턴 제피 → 3턴 급속이기 때문에
4턴에 5마나가 되므로 굳이 4마나 하수인을 많이 쓸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3~5마나의 다른 카드를 찾아보던 중 융합체가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에 기용하게 되었습니다.
융합체는 거의 모든 종족값을 가지고 있기에 온갖 상황에 도움이 됩니다.
킨들의 효과를 받으면 1코 3/4 하수인이 되며 숨결, 말리고스, 비늘기수 등의 용족 시너지도 있으며
질리악스나 가르게로 합체할 수도 있고 정령퀘 같은 것도 연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3코 3/4 스텟은 낙인이나 장궁, 갈라 영능을 맞아도 살아남기 때문에 생존력이 뛰어납니다.
린첸 → 용아귀 화염용
린첸은 각종 전함 하수인들과의 연계로 게임을 터뜨리기 좋은 카드이지만
현재 말리도적이나 말리흑마처럼 필드를 정리하면서 원턴 피니쉬를 노리는 덱들이 주류가 되어가기에
후반에 가야만 도움이 되는 린첸은 손에서 노는 감이 있습니다.
따라서 1/1 졸개들을 정리하기도 쉽고 용시너지까지 노릴 수 있는 용아귀 화염용으로 변경했습니다.
또한 이 카드는 자신의 하수인까지 피해를 주므로 사원광전사와의 연계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카르투트 수호병 → 질리악스
카르투트는 혼자서 황폐의 후예 3마리를 막아내는 좋은 힐도발이었지만 메타가 변하면서 빼게 되었습니다.
혼절이나 사술, 슈팅딜에 취약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대신 가르게나 융합체를 합쳐 더 높은 포텐을 보여줄 수 있는 질리악스로 변경했습니다.
제페토 → 시아마트
제페토는 후반에 각종 전함 하수인을 서치해서 사기를 치게 도와주는 하수인입니다.
하지만 8턴에 나가도 즉시 필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효과의 무작위성이 크기 때문에
더 빠른 타이밍에 낼 수 있고 안정적으로 필드에 개입할 수 있는 시아마트로 변경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