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대신 이후 정규, 야생 나뉜 직후 전설을 달성하고 그 이후로 처음 전설 달성했네요.
사실 중간중간 접기도 했고 12월 말부터 다시 복귀했는데 개인적으로는 메타가 굉장히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덱은 보시다시피 어그로냥꾼입니다.
진짜 극단적으로 명치만 달리는 사냥꾼과는 다르게
초반 필드를 잡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버프를 활용해서 최대한 이기적인 교환을 하고 나머지는 명치로 달리시면 됩니다.
흑마법사
가장 상대하기 쉬웠던 것 같습니다. 컨트롤 흑마법사같은 경우는 주요 카드가 6코스트 이상부터 있고,
그 전까지는 광역기로 정리하기 급급해서, 필드를 적당히 전개해주면서 영웅능력을 계속 눌려주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필드가 적당히 전개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영웅능력 코스트가 남으면 무조건
눌러줬습니다.
위니흑마같은 경우는 초반에 공허방랑자 꿈틀거리는 공포 등으로 필드를 잡히면 조금 힘듭니다. 그런데 요새
위니흑마가 자해를 좀 많이해서 필드 꺼내서 딜 줄여주고 영웅능력도 잘 눌려주면 킬각이 잘 보입니다. 그리고 초반
에 깜찍한 침략이나 드워프 명사수 등으로 필드도 정리가 쉬워서 사냥꾼이 필드를 먹는 경우도 자주 있었습니다.
주술사
예상외로 주술사 상대가 굉장히 좋습니다. 주술사는 저코스트에는 무기 드로우, 졸개 등으로 필드를 전개하
는데, 저코스트 하수인이 적어 멀리건에 잘 안잡혀 초반을 자주 넘어가고, 만약 졸개와 무기 드로우하는
하수인을 냈다한들 사냥꾼이 필드전개가 훨씬 좋기때문에 정리하면서 4턴까지 딜 욱여넣기가 가능합니다.
물론 12시 주술사는 3턴에 개화 무기 공포해적 두개내고 때리는데, 그러면 전 직업이 못이기니까 나만
운없다 생각하지말고 빠르게 서렌 눌러주시면 됩니다.
도적
만날 때마다 미간이 찌푸려지는 직업입니다. 주술사보다 얘가 더 싫었습니다.
항상 저코스트로 드로우, 필드전개를 모두 하며 가끔 나오는 벤클리프나 퀘스트 중인 모험가는 숨이 턱턱 막힙니다.
그런데 이친구는 냥크나이트 앞에서는 빌빌 기어야죠. 진짜 사기치지 않는 이상은 하수인 정리하다가
맞아죽습니다. 버프를 줄 때 기습 각을 피하게 발라주시고 빙결의 덫과 무리전술을 적극 활용해야하는
직업입니다. 영웅능력 꾸준히 눌러주는 편입니다.
은신도적은 폭발의 덫이나 드워프 명사수로 조금 정리해주셔야하고 차원의 추적자와 드워프 명사수,
견학 안내자를 빨리 뽑아야 합니다.
냥꾼의 장점이 여기서 나오는게 현 1티어 덱들을 상대하기가 굉장히 쉽다는 점입니다.
12시가 사기치면 지긴 하는데, 나도 사기칠때 있으니까 빠르게 다음판으로 갑니다.
멀리건 잘 잡히고, 필드전개만 잘 해놓으면 악상성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멀리건
처음에 잡히는 카드로 조합을 생각하며 가져갑니다.
위에 말한것처럼 견학 안내자와 드워프, 견학 안내자와 차원의 추적자 같이 나오면 항상 가져가줍니다.
그리고 1코스트 하수인과 깜찍한 침략이 같이 잡히면 들고가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린링의 소총은 대체 가능합니다. 원하시는 카드로 커스텀 하시면 됩니다.
용학살포는 대체 불가능입니다. 못 이길판도 이긴 적이 많아서..
그리고 위에서 설명을 안드렸는데
공략글..이라고 해야할진 모르겠지만 오랜만에 적다보니 두서없이 적었네요. 잘 설명했
는지도 모르겠고ㅎㅎ.. 아무튼 항상 달초에 전설찍는게 목표였는데 나름 빨리 찍은 것
같아서 만족스럽습니다.
이제 공부에 집중할 수 있겠네요 혹시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