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아시아와 북미에서 TeddyisHome 이라는 배틀태그로 겜하고 있는 일반인입니다.
아시아에서부터 왕파도적을 쭉 하다가 북미에서 황금왕파가 떠서 북미에서만 하고 있는데 승률이 괜찮아서
글 쓰게 되었습니다.
북미전설은 미라클로 갔고 달성한 뒤로는 거의 왕파만 했습니다.
메타가 격동하는 와중에 북미전설은 지금 비법이 거의 멸종했습니다 +_+
원맺사제, 천정내열사제, 컨사제, 큐브흑, 컨흑이 60프로가 넘습니다.
그 외엔 20프로정도가 멀록기사와 신병기사 나머지 20프로에 비법과 도적이 포진되어있습니다.
한 마디로 왕파가 굉장히 할만합니다.
직업별 상성, 멀리건

왕파도적의 주식입니다. 다만 아키타입이 다양해서 어떤 덱인지 초반에 갈피를 잡기가 어렵습니다.
원맺사제와 컨사제는 지기 힘들고 천정내열은 초반 북녘골, 광명만 잘 짤라주면 후반에 황혼사제광기보호막천천내
같은 각만 안 주면 이길 수 있습니다. 간혹 어떻게든 이겨보려고 역사가에서 노즈도르무를 뽑아서 내는 경우가
있는데 당황하지않고 날렵한 피지컬로 제압해줍니다. 염두해두고 있어야합니다.
또 간혹 어떻게든 이겨보려고 템퍼루스를 뽑아서 내는 경우도 있는데 2턴에 걸쳐 상대를 패죽이거나 그럴 수 없다면
죽기를 찾아서 내 2번째턴에 죽기를 쓰고 인사를 해줍니다.
아참. 빅사제도 있는데 꽁승입니다.
멀리건 1순위:
선공일 때 음악가와 맘가가 같이 잡히면 맘가도 들고 갑니다. 사제는 점쟁이로 크게 이득 보기는 어려운 직업이나
내 핸드를 돌리기위해 가져가줍니다.
점쟁이와 그밟이 같이 잡히면 그밟도 가져가줍니다.
2순위:
만약 상대가 어떤 덱인지 안다면
컨사제의 경우는 탐지꾼을 잡아도 굳이 맹독을 가져가지 않아도 됩니다. 음악가랑 점쟁이 찾는 게 더 좋습니다.
원맺사제나 천정내열은 맹독으로 초반하수인 짤라주는 게 중요합니다.
얘도 워낙 덱 타입이 다양하고 요즘엔 큐브와 컨트롤을 살짝씩 섞은 덱도 있기때문에 상성을 딱딱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산거2장 쓰는 큐브흑이면 6:4에서 5:5 정도로 조금 유리하거나 반반이고 컨흑은 지기 어렵습니다.
요즘엔 노움페라투나 밀고자도 잘 안쓰기 때문에 컨흑은 꽁승수준입니다.
만약 상대가 노움페라투를 쓴다면 왕파를 깨지자마자 뽑아버리면 됩니다. 시작하자마자 노움페라투를 던졌는데
왕파가 타면 놀랍군! 해주고 나가면 됩니다. 또한 죽기상태에서 왕파왕파를 해서 버프발린 왕파를 덱에 넣었는데 상
대가 노움페라투로 태웠다. 버프없는 왕파만 있어도 이깁니다. 탈진만 안되면 이깁니다.
상대가 밀고자를 쓴다면 그 밀고자에 하나 남은 점쟁이가 빠진다거나해서 점쟁이가 없어서 질 수가 있는데 없어도
왕파 돌려막기하면서 탈진싸움가면 이길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유리합니다.
어그로흑마는 힘듭니다.
멀리건1순위:
2순위
큐브흑은 내 핸드도 중요하지만 상대핸드도 중요합니다
베스트고 무기와 하수인으로라도 때려잡을 수 있다면 다행입니다. 내가 후공이고 종말이가 잡혔다면 3턴에 던져서
4턴 산거를 막아줍니다. 어차피 종말이는 이때 말고는 내지 못합니다. 이 플레이마저도 내가 선공이면 동전졸개때문
에 못합니다.
그리고
그러나 4코 5코를 무난히 넘겼다면 왕파입장에서는 한숨 덜었습니다.
혼절이 없고 다음 턴 얘에서 나온 둠가드콤보가 너무 무섭다면 그냥 먼저 죽메를 터뜨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물론 나
온 둠가드를 즉시 잡을 수 있어야합니다.
왕파를 상대해본 흑마라면 둠가드를 쌩으로 던지면서 달려올텐데 정리할 수 있으면 하고 혼절 있으면 써주는 것도
좋습니다. 상대 죽기타이밍에 둠가드 몇 개 나올 수 있는 지 세어주면서 킬각만 안 나오게 버티면 이깁니다.
2:8정도로 불리합니다. 그래도 미라클보다는 왕파가 비법상대로 그나마(?) 정말 그나마 조금은 낫다고 생각하는게
미라클은 체력회복수단이 아예 없어서 필드를 잡아도 얼방까지 쓰는 비법상대로 명치딜을 못 견딥니다만 왕파는 핸
드가 잘 풀리고 체력이 안정권으로 한 번 들어가고 나면 이길 수 있습니다.
퀘법은 몇 번 만난 적이 없어서 뭐라 말하기 어려운데 힘들다고 생각했는데 이긴 적도 있습니다.
점쟁이로 키카드를 태우는 것도 승리플랜이지만 그냥 하수인과 무기로 패죽일 수도 있으니 포기하지는 마세요!
컨법은 밀고자로 점쟁이 빠져서 지는 거 아니면 꽁승입니다.
멀리건 1순위
탐지꾼이나 왕파가 잡히지 않더라도 맹독은 들고 갑니다. 오른쪽을 믿는 수밖에 없습니다. 안 나오면 단검에라도
발라야합니다.
멀리건 2순위
왕파랑 맹독이 잡혔는데 착취독까지 잡혔다. 혹시 이길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한껏 부풀어오릅니다.
점쟁이 같은 경우는 비법 상대로 굉장히 내기 꺼려지는 카드입니다만 내가 초반에 왕파, 맹독, 착취독을 찾는 게
더 중요하기 때문에 나머지 손패에 따라 들고 갈 수 있겠습니다.
요즘 가장 악랄한 녀석입니다. 법사보다 더 힘든 것 같기도 합니다.
탐지꾼 못 잡으면 거의 지고 잡아도 뒷패까지 잘 붙어야 이깁니다.
컨기사는 동전만 안주면 꽁승입니다.
멀리건 1순위:
요즘 신병기사가 멀록기사보다 더 많아지는 듯해서 기습을 좀 고민해볼만합니다. 상대가 2코에 단검이나 늑대를 안
던지면 손에서 계속 놀고 선공이면 특히 기습 들고가는게 부담됩니다. 탐지꾼을 무조건 잡아야겠다싶으
면 과감하게 갈아줄 수도 있겠습니다.
2순위:
칼부와 맹독은 탐지꾼이 잡혔다면 함께 가져가볼만합니다. 점쟁이는 역시 내 카드를 찾기 위해 나머지 손패에 따라
들고 갈만합니다.
1. 왕파도적은 탈진에 기초를 둡니다.
무기강화하수인을 4장만 쓰는 이유는 그것입니다. 무기로 패겠다는 게 아니라 탈진으로 죽이겠다는 뜻입니다.
또한 음악가로 점쟁이와 탐지꾼을 제때 뽑아주기 위해서는 다른 하수인이 많아지는 게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 왕파도적이 가장 어이없게 지는 경우가 유리한 매치임에도 핸드가 안 돌아서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핸드에 그밟기습맘가소멸맹독착취독만 잔뜩 있는 채로 명치 터질때까지 음악가, 점쟁이가 안 나와서 지는 판이 종종 있습니다.
칼부 한 장은 그런 핸드를 풀어주고 어그로 상대로 부족한 1데미지를 채워주는 카드입니다. 독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3. 기습을 두 장이 아닌 한 장 쓰는 이유도 위와 일맥상통합니다.
4. 절개를 쓰지 않는 이유도 1,2와 일맥상통합니다.
5. 종말이 한 장은 어그로전에서 굉장히 큰 힘을 발휘합니다. 그 외에 소멸에 종말이로 한 턴을 번다던가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흑마전에서는 사실상 못 쓰는 카드고 천정내열사제 상대로도 후반엔 낼 수 없는 카드이고
2장은 패말림이 너무 심해서 한 장만 씁니다.
6. 그린스킨을 쓰지 않는 이유는 딱히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해서입니다. 아시아에서는 나가바다약탈자 한 장, 그린스
킨 한 장 쓰는 덱을 굴렸지만 그린스킨이 좋다는 생각은 전혀 안듭니다. 안 좋은 건 아닌데 딱히 좋은 지도 모
르겠습니다. 부셔메랑을 2장 쓰기 때문에 내구도가 부족할 일이 없습니다. 오히려 왕파를 빨리 깨버리고 싶은 경우에
못 깰수도 있습니다.
7. 회피는 하랜사제가 죽은 지금 왕파도적덱에서 큰 역할은 못할 카드로 보여집니다.
8. 위조된 동전은 충분히 채용할만한 카드입니다. 종말이나 기습 혹은 부셔메랑을 빼고 1장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9. 왕파도적은 후공인 경우 절대 동전을 섣불리쓰지않습니다. 초반에 어그로상대로 동전탐지꾼 같은 거 절대하지않
습니다. 동전아껴뒀다가 동전음악가나 더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