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메뉴
하스스톤
인벤
로그인
전체서비스
[덱 시뮬레이터]
마법사 : 제이나 프라우드무어
Mage : Jaina Proudmoore
덱 구성
20
9
0
0
1
직업 특화
50% (직업 15 / 중립 15)
선호 옵션
전투의 함성 (27%) / 도발 (10%) / 빙결 (7%)
평균 비용
4.3
제작 가격
9160
[
정규
]
버티면 이긴다, 빅법사 (04/17 덱 수정)
작성자 : 만능잡술사 | 작성/갱신일 : 04-17 | 조회수 : 11717
카드 리스트
카운팅 툴
마법사 (9)
1
비전 기술병
x2
2
까마귀 전령
x2
4
변이
x2
5
용의 분노
x2
6
눈보라
x2
6
유성
x1
7
불기둥
x2
8
신드라고사
x1
9
리치 여왕 제이나
x1
중립 (10)
1
빙하의 정령
x1
2
산성 늪수액괴물
x1
2
파멸의 예언자
x1
3
고통의 수행사제
x2
3
바위언덕 수호병
x2
3
부두 인형
x2
5
비전 폭군
x2
5
썩은 사과나무
x2
6
엄습하는 외눈깨비
x1
8
리치 왕
x1
덱 분석
비용 분포 (마나 커브)
0
1
10.0% (3장)
2
13.3% (4장)
3
20.0% (6장)
4
6.7% (2장)
5
20.0% (6장)
6
13.3% (4장)
7+
16.7% (5장)
덱 구성
하수인
66.7% (20장)
주문
30.0% (9장)
무기
장소
추가 설명
마녀숲 나오기 전부터 등급전에 사용했던 빅법사 덱입니다.
얼방이 야생으로 가면서 후반만 바라보는 빅법사가 약해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를 덱에서 뺄 수 있게 되어
오히려 더 강력해졌습니다.
얼음 방패와 화염구가 빠지면서
이 잘 나올 확률이 훨씬 높아졌습니다.
화염구를 썼던 이유가 바로
요놈들 때문이었는데
덱봐용은 야생으로 갔고, 산악 거인을 잡을 카드로 화염구보다 훨~~~~~~~씬 좋은
요놈이 나왔기 때문!
마법사의 영능과 너무 잘맞는 카드이며,
의 영능과
시너지도 너무 좋습니다.
빅법사가 원래 예전 메타 때부터 어그로 덱은 정말 잘 잡았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홀수 기사와 같은 어그로 덱 상대로 매우 강력 합니다.
다른 컨트롤이나 빅덱 같은 경우는 비등비등한 승률을 보여줬었고,
후반에 원킬 내는 덱 상대로는 약합니다. 빅법사가 초중반에는 이길 수가 없어서...
하드카운터였던 비밀법사는 요즘 아예 안보이던데 사라진 것 같습니다.
(다시 나타난 것 같은데 아직 상대해보진 못했습니다.)
--------------------------------------------------------------------------------
대체 가능 카드
눈보라는 어그로 덱 상대로 강하고, 유성은 컨트롤 덱 상대로 강합니다. 둘다 2장 넣어도 되긴 하는데... 취향
전설 카드는 진짜 취향 차이인거 같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해요.
아예 안넣어도 되긴 하는데, 그러면 뒷심이 조금 부족하고
너무 많이 넣으면 초중반을 못버팁니다. 적절하게 넣으세요.
예전 왕파 도적 같이 무기를 많이 쓰는 덱 상대로는 빙하의 정령이 좋습니다.
빙결을 그냥 필드 싸움 용으로 쓰는 것도 괜찮습니다.
덱 리스트에 일반 수액을 넣은 이유는 단순히 제가 나머지 둘이 없어서입니다.
Q : 홀수 빅법사는 어떨까요?
이 카드들을 못 넣는다는 이야기인데, 그러면 기존의 빅법사가 가지고 있던
훌륭한 제압기와 필드클리어라는 장점들을 전부 날리게 됩니다.
-------------------------------------------------------------------------------
18/04/14 23:07 추가
은 없어서 못써봤는데 있으면 필드 싸움에 좋을 거 같습니다!
만들어서 써보는 중입니다.
18/04/15 13:25 추가
대체 카드를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아서 답변드립니다.
Q :
등등
넣고 싶은데 뭘 빼면 되는가요?
을 빼주세요. 손에서 가장 많이 놀게 되는 카드입니다.
그 외에는
중에 마음에 안드는거 빼시면 됩니다.
운영법
후공 시 어느 덱을 만나든
은 1턴에 쓰지 마세요
동전을 쓰는 타이밍은
을
칼같이 내야 할 경우 입니다.
를
과
함께 써주세요. 필드 정리기가 같이 나가기 때문에 비전 기술병이 생존할 확률이 높아 방밀전사가 울고 갈 방어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어그로 덱 만났다고 절대 1턴에 내지 마세요!
이 둘로 빠르게 덱 압축을 해주세요. 특히 고통의 수행사제는 영능까지 써줘서 최대한 드로우 많이 보세요.
은 최대한 빨리 낼수록 좋습니다. 죽기가 나가는 순간 이 덱이 매우 강력해집니다.
필드가 먹힌 상태더라도 상대방의 버프기나 리로이까지 생각해도 죽지 않는다면 내주세요.
으로
를 계속 깔아주세요.
와 매우 시너지가 좋으며
각종 필드클리어기, 체력 1인 하수인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신병 기사 마냥 깔아주세요.
상대방의 영웅이 무기를 쓴다면 자신의 하수인을 억지로 처리해서라도 물의 정령을 생성,
적 영웅을 계속 얼려주세요.
덱 별 멀리건 및 상대법
큐브흑마, 컨트롤 흑마
(4/17 13:22 수정)
창과 방패의 싸움
신병 기사가 쌍검들고 달려오다가 필드 정리기에 녹는다면
이 놈은 정예병이 대검들고 달려드는 느낌입니다.
대검의 손잡이를 부수냐 못부수냐의 싸움입니다.
추가 : 하지만
때문에 손잡이를 부수기 어려워졌습니다.
따라서
으로 강력하게 나가야 합니다.
추천 멀리건
추천 멀리건은 전부 다 제압기입니다. 네.... 슬프게도요... 이것이 방패의 운명입니다.
을 꼭
로 처리해주세요.
는 많아도 정리할 수 있지만, 파멸수호병이 늘어나면 정말 답 없어집니다.
를 반드시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이녀석을
할 수 있습니다.
내다가
이 화르륵 하는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은
+
으로!
후공이라면
아꼈다가 4턴에
나오면 부두인형과 써주세요.
만아리를 못 자르셨더라도 꼭 해주셔야 하는 것이
을
입니다. *정말 중요합니다.
만약
콤보를 허용했다면 ㅈㅈ치고 나가시면 됩니다.
문제는 최근에 컨트롤, 큐브 흑마가
를 채용해서
외눈깨비만으로는 카운터를 칠 수 없게 됐습니다.
따라서 후반을 더 강력하게 가져갈 수 있게
을 넣었습니다.
덕분에 컨트롤/큐브 흑마 상대로 승률이 훨씬 올랐습니다.
어그로 기사 (신병기사, 짝수, 홀수)
웬 황건적들이 때거지로 달려듭니다. 하지만 손가락 하나로 모두 날려버리시면 됩니다.
추천 멀리건
신병 기사가 위협 적인 타이밍이 시작되는 것은
입니다.
1,2,3 턴은 여유를 가지면서 신병들을 정리해주시고,
긴급 소집이나 레벨업이 나오면
써주시면 됩니다.
만약 패에
이 추가로 더 있다면
레벨업 쓰기 전에 정리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도적
대부분의 도적 덱은
을 사용합니다.
으로 계속 드로우를 볼텐데, 굳이 죽일 필요가 없습니다.
도적 덱에서 자주 쓰는 대부분의 하수인 생명력은 4 이하이고,
가 아무리 많이 깔려봤자
이면
시원하게 필드클리어가 되며, 불기둥 1장은 아끼다가
로 시간을 끌면서 필드 위에 거미가 계속 깔리게 유도하고
마지막에 덱 다 뽑으면
써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열에 아홉은 서렌칩니다.
그런데 예외적으로
를 채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에게는
가 있습니다!)
그 외에 사용되는 카드들은
는
으로
은 별도로 신경 쓸 것이 없습니다.
는 별로 무섭지 않습니다. 굳이 잡을 만한건
정도인데
다시 깔면 그만입니다.
덱의 경우에는
로 카운터 치시면 됩니다.
후반가면 결국
VS
싸움이 됩니다.
발리라를 냉동인간으로 유지하기 위해 물의 정령을 항상 필드 위에 1-2개 깔으셔야 됩니다.
필드 위에 하수인이 없으면 자기 하수인 내고 변이해서라도 물의 정령을 만드세요.
요즘 직업 불문하고 켈레세스 쓰는 덱이 많이 보이는데, 그냥 어그로 덱 상대하듯이 평소대로 하시면 됩니다.
주술사를 만났다고요? 그러면 당장 빅법사 집어치우고 어그로 법사가 되세요.
멀리건으로 1,2,3,4 하수인 집으시고, 용의 분노 같은거 집어치우고 명치만 미친 듯이 달리세요
1코에 내지말라고 했던거, 두억시니는 예외입니다. 칼같이 내고 명치 달리세요.
은 나오면 바로 잘라주시고
는 최대한 드로우 못하게 변이 쓰세요
후반에 나오면
으로 녹이고 명치
8턴에
9턴에
로 템포 올려주세요.
죽기 나오면 필드 정리기를 쓰면서 동시에
으로
생성
두억시니 나오기 전까지 포기하지 마시고 무조건 달리면 이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의 경우에는 명치보다는 드로우를 하여 템포 유지할 수 있게 해주세요.
이 카드로 1뎀 주는거랑 영능으로 1뎀 더 치는 것보다 드로우 보는게 더 템포 유지에 좋을 수 있습니다.
사제
어느 덱이든 평소처럼 플레이 해주시면 됩니다.
천정내열
는
로 처리해주시고
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딱히 특이사항 없습니다. 평소대로 제압하면서 플레이하세요.
둘 다
반드시
로 처리하세요.
이것만 하면 저 덱들은 아무것도 못합니다.
하드로녹스 드루이드 같은 경우,
를 빠르게 내서
를 못쓰게 막으셔야 합니다.
외눈깨비가 안나오더라도
가 야수 이기 때문에 리치왕 같은 카드에 미리 써주면
이 매우 꼬입니다.
빅사제와 마찬가지로 평소대로 제압하면서!
쓰는 드루이드도 봤는데,
씁니다.
내구도 1만 남겨놨다가 후반에 직접 깨면서 원킬 내는 덱인거 같은데,
그냥 무기 못깨게 왕파도적 상대하듯이
무한 얼리기 하시면 됩니다.
(9~10 마나 때 수액으로 직접 무기 파괴해도 될 듯? ... 부작용 제보바람)
홀수 퀘스트 전사
로
갈아주세요. 그러면 힘 쫙 빠집니다.
이 외의 덱들은 무난하게 하면 되거나, 만나보지 못했거나, 아직 추가하지 못한 덱들입니다. 댓글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8/04/15 16:30 추가
제외,
2장 추가
18/04/16 13:01 추가
기본적인 덱의
를
으로 수정합니다.
예전에도 왕파도적 때문에 빙하의 정령을 썼었지만, 이번에 잠시 흐린빛 폭풍정령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다시 빙하의 정령이 활약할 수 있는 덱들이 많이 나와 변경합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변수 창출력
은 마법사의 주문을 추가로 가져와서 큰 변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그 주문이 정말 쓸모 없는 주문일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의 변수 창출력도 어마어마합니다.
이유는 상대 덱에 따라 1턴에 부담없이 나갈 수도 있고,
제압기가 잡히지 않았을 때 강력한 하수인을 상대로 버티게 도와주며,
이 덱들 상대로 적 영웅을 얼린다는 행동 자체가 상대방의 이득 교환과 템포를 심각하게 제한합니다.
위 영웅들이 아니더라도 상대방의 하수인을 얼릴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초중반을 버티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2. 코스트 차이
2코 2/1, 1코 2/1 입니다.
하지만 스텟이 비효율적이라고 말하고 싶은건 아닙니다. 애초에 체력 1인 하수인을 쓰는 이유가
때문이니까요.
하지만 이 1코와 2코의 차이는
와 같이 나갈 수 있냐 없냐입니다.
위 두 카드는 9코이기 때문에 한 턴을 쉬어야 하는 카드들입니다.
하지만 빙하의 정령이 같이 나가면서 생기는 틈을 매꿔주는 훌륭한 역할을 합니다.
18/04/17 13:22 덱 수정
->
->
한장을 ->
최근 메타에 맞게 변경했습니다.
이상입니다. 모두 즐겁게 하세요!
덱 평가
이 덱을
평가
해 주세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덱의
성능
은?
추천 :
13
/ 비추천 :
3
꽤나 승률이 보장되겠네요! 강추!
연구해볼만한 덱입니다. 추천!
조금만 개선하면 좋을 것 같네요.
이 덱으로는 조금 힘들지 않을까요?
이 덱을 평가해주세요.
코멘트
코멘트(
0
)
로그인
PC화면
퀵링크
설정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주)인벤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