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제 : 안두인 린
Priest : Anduin Wrynn
덱 구성 18 12 0 0
직업 특화 66% (직업 20 / 중립 10)
선호 옵션 전투의 함성 (23%) / 침묵 (7%) / 도발 (7%)
평균 비용 3.5
제작 가격 5880
[정규] 첫 전설 천정내열 사제. 작성자 : 대다수 | 작성/갱신일 : 04-29 | 조회수 : 9119
카드 리스트카운팅 툴
사제 (12)
0 침묵 x1
1 내면의 열정 x2
1 북녘골 성직자 x2
1 신의 권능: 보호막 x2
2 광명의 정령 x2
2 암흑의 환영 x2
2 어둠의 권능: 고통 x1
2 천상의 정신 x2
3 암흑의 광기 x1
3 황혼의 수행사제 x2
4 대규모 무효화 x1
4 황혼파괴자 x2
중립 (6)
4 황혼의 비룡 x2
5 푸른비늘혈족 맹독전사 x1
6 이끼투성이 거인 x2
7 고룡수호병 x2
8 태고의 비룡 x2
9 알렉스트라자 x1
덱 분석
비용 분포 (마나 커브)
  • 03.3% (1장)
  • 120.0% (6장)
  • 223.3% (7장)
  • 310.0% (3장)
  • 416.7% (5장)
  • 53.3% (1장)
  • 66.7% (2장)
  • 7+16.7% (5장)
덱 구성
  • 하수인60.0% (18장)
  • 주문40.0% (12장)
  • 무기
  • 장소
추가 설명




일단 전설 인증 입니다. 



마녀숲 이후 

이 네 장의 카드가 야생으로 가면서 천정내열 사제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더 이상 필드 압박과 동시에 천정내열로

마무리를 한다는 승리 플랜이 불가능해 졌네요. 요즘 라이라 천정내열은 광역기의 부족으로 인해 하린이가

하기엔 너무 실력덱이라 하다 포기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천정내열사제와 비취드루가 실종되다보니  

를 덱에 넣는 경우가 거의 없어진 고로,  다시 천정내열을 굴릴 수 있는 덱을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이게 의외로 잘 돌아가서 어그로와 컨트롤 덱들을 전부 잡을 수 있습니다. 덱 컨셉은 '일단 한번 막고 천정내열로

러 죽인다.' 입니다. 
기본

 초반에 
로 드로우를 땡긴 후, 상대방의 저코스트 필드는 로 밀어버리고


 에 천정내열을 발라 게임을 끝내는 게 이 덱의 핵심입니다.


생명력이 높은 하수인들로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의 하수인에 천정내열을 걸 수 있습니다. 방어도를 쌓는 직업들을


상대하거나 패가 꼬여 상대방의 체력이 후반에 30이라해도 

  

를 넣은 것은 용족을 하나라도 더 넣어서 황파자를 발동시키고 상대방 카드를 빼네기 위함입니다. 
대 성기사 전
 
 현재 성기사는 대부분 짝홀 성기사로 어그로에 충실하고 있습니다. 이걸
 

으로 계속 막으면서 천정내열을 찾는 게 핵심입니다. 성기사는

기본적으로 필드에 저코스트 하스인이 쌓이고 버프를 발라가야 무서운 직업인데
이 나오기 전에 필드 하스인을 줄여 버리면 힘이 뚝 떨어집니다. 설령 필드를 다 정리 못했

다고 해도 성기사 유저분들은 요즘 천정내열 사제가 없어서 그런지 제 필드에 있는 체력 높은 하수인 한 마리 무시


하고 명치를 때리던데 이러다 천정 내열 맞고 훅 갑니다.



을 필드에 내놓면 상대는 부엉이로 도발 뚫고 달리는 성기사가 많은데 여기에 천정

내열이 발리면 22딜이 나오면서 대부분 게임이 끝납니다.


대체로 7코스트까지 가면 성기사는 무기껴서 내 하수인 정리하느라 체력이 22 이하인지라..

잘하는 짝수 성기사 분들은 천정내열 덱이 의심되면 왕축으로 필드를 무겁게 가져 가면서 정리각을 안주시던데

 

을 쓸거라고는 상상도 못합니다.
애초에 요즘 사제들은  

를 가지고 다녀서 성기사들은 저코스트 하수인들로 사제 패 죽일 생각밖에 없습니다.


일단 초반 


가 첫패에 나오면 가져가는 게 좋습니다.
 
의 카운터가 될 수 있겠죠.

만약 패에 수행사제가 안들어 왔다면 기존에 필드에 있던 하수인들과 황파자로 교환해 주시면 됩니다.


그것도 안되면 최대한



같은 하수인을 필드에 내서 다음 턴부터 천정내열로 끝낼 수 있는 각을 봐주시면 됩니다.

보통 흑마는 산악거인으로 기회 있을 때 명치를 때리려 하지 하수인 정리하려고 안 합니다. 


흑마의 산악거인 턴을 넘기면 중반  

 가 튀어나옵니다.

파멸수호병은 필드딜과 황파자 혹은 황혼의 수행사제를 통해 미리 정리해서 큐브각을 주지 않는 게

좋습니다. 문제는  

가 나올 경우인데 여기엔 여러가지 대응방법이 있습니다.


을 써서 무시하고 달리는 방법과,

2. 후반을 바라보고 한번 참고 천정내열을 쓸 수 있는 필드만 늘려주는 방법,

3. 혹은 필드딜로 죽인 다음  
 

를 전부 정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는 방법을 써주시면 됩니다.

이제 후반이 되면 상대는  
으로  을 대량으로 늘립니다.

이 때  


를 쓰고 천정내열로 상대를 떠뜨립니다. 지금까지 참은 것은 이 한방을 위해서 입니다.
만약 적 도발이 공허군주 하나만 있다면   

콤보가 9코스트에 가능합니다.

흑마의 체력이 아무리 높아봤자 35이므로 공허군주를 뺐어오면 확정킬각이 나옵니다.
 
  

이 있으면 7코스트에 이 플레이가 가능해 빨리 끝납니다. 소설 같지만 흑마전은 패가 어지



간히 꼬이지 않는 한 거의 이겼습니다. 게다가 위에 서술된 경우는 흑마법사 패가 최고로 잘 풀렸을 때 이므로 그 이


전에 천정내열로 끝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 드루이드 전

요즘 드루는 어그로에 빅스펠 드루, 도발드루로 나뉩니다. 일단 빅스펠 드루는 성기사전처럼 해주시면 됩니다.

  
를 활용해서
 

를 저격해 주세요.

그리고 가장중요한 턴인 6코와 8코를 의식해야 합니다. 
  에서 나오는 고코스트 하수인과    를
     로 저격해 주세요.
이것만 되면 상대가 부엉이나 주파자로 내 도발하수인    을 뚫고 명치치려고 

할 때 저희는 천정내열로 게임을 끝내면 됩니다.

도발 드루의 경우 대 흑마전처럼 해주시면 됩니다.   

콤보가 나오는 10코스트 까지 내 필드에 천정내열을 걸 수 있는 하수인을 남

겨 놓을 수 있느냐가 중요한데 쉽게 됩니다. 도발드루는 덱 특성상 10코 이전에 필드가 그리 쌔지 않는 덱입니다.
중요한 건 내가  


콤보를 칼같이 쓸 수 있느냐 인데 쓸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자연화가 제 패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죠.


결론적으로 빅스펠드루는 어그로 덱을 상대할 때처럼, 도발드루는 큐브흑마를 상대할 때처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기타


남은 어떤 덱이건 어그로냐 컨트롤이냐로 나뉘므로 위와 비슷하게 흘러갑니다. 상성상 굳이 불리한 덱을 꼽으라면


컨트롤 마법사가 되겠네요. 천정내열 사제가 필드에 내는 하수인 하나와 마법사의 제압주문이 하나씩 교환당하면


나중에 천정내열사제가 더 이상 필드에 천정내열을 바를 수 있는 하수인이 없어져서 gg칩니다. 물정을 가져와서


천정내열로 때려봐야 최대딜이 24인 고로 죽이기가 쉽지 않죠... 하지만 못이기진 않습니다.


로 체력을 깎으면 킬각이 나오는 고로 승률로 따지면 4대 6 정도 되겠네요...


이상으로 글 마치겠습니다. 처음으로 전설달고 처음으로 글쓰느라 부족해도 이해바랍니다.
 

덱 평가
이 덱을 평가해 주세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덱의 성능은?
평가중
추천 : 3 / 비추천 : 0
이 덱을 평가해주세요.

코멘트

코멘트(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