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꾼 : 렉사르 | |
---|---|
Hunter : Rexxar | |
덱 구성 | 17 10 2 0 1 |
직업 특화 | 73% (직업 22 / 중립 8) |
선호 옵션 | 죽음의 메아리 (27%) / 전투의 함성 (17%) / 면역 (3%) |
평균 비용 | 3.3 |
제작 가격 |
![]() |
인벤에서 2년 넘게 눈팅만 하다가 오늘 가입해서 처음으로 글 써봅니다.
알과 큐브를 쓰는 죽메냥꾼입니다.
2018년 5월 7급에서 시작해 이 덱으로만 전설에 왔습니다. (두 번째 전설)
이 덱을 분류하자면 컨트롤 경향이 있는 미드레인지 덱입니다.
죽메 하수인으로 필드 사기를 쳐서 이기는 사냥꾼 덱입니다.
이 덱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카드는 다음의 카드들입니다.
초반 필드 사기를 책임지는 핵심 카드입니다.
공포비늘 추적자나 죽은척!이 손에 있으면 2턴 동전+알을 내기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주파자를 맞지 않고 안정적으로 다음 턴에 5/5가 소환되기 때문입니다.
폭룬 카운터, 광역기 카운터로도 쓸 수 있고 단검 딜도 대신 맞아줍니다.
멀리건에서 보통 들고 갑니다.
제가 이 덱을 처음 만들 때, 이 카드를 쓰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얼왕기 시절)
알이나 큐브와의 시너지가 엄청납니다.
컨흑과는 후반 죽기 변신 후 독성 팽창박쥐+죽은척!으로 필드를 뒤집을 수도 있습니다.
멀리건에서 알이나 추적이 집히면 함께 들고 갑니다.
알, 전리품과 궁합이 아주 좋은 카드입니다.
알이 있으면 3~4턴 필드에 3/3, 0/3, 5/5가 깔립니다.
3턴에 낼 카드가 없으면 3/3으로 던지세요.
멀리건에서 웬만하면 들고 갑니다.
사기의 시작을 알리는, 정말 강력한 카드입니다.
5턴에 칼같이 던지면 체력이 높아 잘 죽지 않습니다.
그러면 6턴에 2가지 사기가 가능해집니다.
* 큐브(3코)로 과부거미를 먹고 죽은척!(1코) 쓰고 사바나(2코) -> 4/6, 4/6, 4/6, 6/5
* 카트레나(6코) -> 4/6, 6/6, ?/?(사바나, 과부거미, 왕 크루쉬)
보너스로, 과부거미를 내면 전리품이 0코가 되어 함께 나갈 수 있습니다.
멀리건에서는 뺍니다.
이 덱의 강력한 뒷심 카드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과부거미+큐브+죽은척 콤보에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5/5 데빌사우루스로 이득교환 후 데빌사우루스를 먹습니다.
알을 먹는 플레이는 당장 필드 강화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좋지 않습니다.
30판에 1판 정도 왕 크루쉬를 먹어서 한 턴 24딜이 나오기도 합니다.
멀리건에서는 빼고, 뒷심이 필요할 때 추적에서 뽑습니다.
강력한 뒷심의 카트레나입니다.
이 덱의 야수는 과부거미 2장, 사바나 2장, 왕 크루쉬 1장뿐입니다.
따라서 야수 카운팅이 되면 죽은척!을 잘 사용하여 왕 크루쉬 킬각을 볼 수도 있습니다.
필드에 과부거미가 있었다면 6턴에 나갈 수도 있습니다.
컨사제가 영절을 들고 있는 것 같다면 이 카드를 아끼세요.
카트레나는 대체 불가능입니다.
마녀숲에서 추가된, 만들 가치가 충분히 있는 카드입니다.
이 카드가 필드에 나오는 순간, 상대는 쇼를 정리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상대가 쇼에 하수인과 카드를 소모하는 동안 필드를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필드에 알이 있다면 5턴에 쇼+죽은척!으로 5/5 속공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템법, 기사 상대로 아주 좋고 흑마 상대로도 쓸 만합니다.
멀리건에서 상황 보고 들고 가기도 합니다.
가루가 없다면 살상, 아르거스 등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마녀숲 나오기 전에 이렇게 넣고 돌렸어요.)
이번 마녀숲부터 죽기의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생흡과 속공이 잘 나오기 때문입니다.
기사 상대로 다 진 게임을 역전해 주는 카드이고,
흑마 상대로 탈진전까지 비비게 해 주는 카드입니다.
대체 카드는 없습니다.
상대가 기사이면 멀리건에서 들고 갑니다.
카트레나와 함께 떡상한 둘리입니다.
추적에서 나오면 항상 고민에 빠지게 되는 카드입니다.
카트레나에서 나오지 않더라고 즉발 8뎀으로 이기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큐브로 이거 먹을 생각은 보통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체 카드는 피카츄(감전된 데빌사우루스)가 있지만 둘리가 훨씬 좋습니다.
덱을 부드럽게 굴리기 위한 카드는 다음 카드들입니다.
양초 화살
기사 상대로 무조건 1턴에 들고 가야 합니다. 흑마의 사서도 잡을 수 있고 징표와 연계도 가능합니다.
떠도는 괴물
기사, 템포법사, 빅주문드루, 사제(북녘골) 상대로 좋습니다. 중후반에는 둠가드, 산거, 티란투스 딜을 한 번 맞아줍니다. 멀리건에서 1장은 거의 들고 갑니다.
사냥꾼의 징표
흑마(산거, 공허군주) 상대로 좋습니다. 그 외에는 들고 가지는 않습니다. 양초 화살이나 치명적인 이빨과의 시너지가 좋습니다.
치명적인 이빨
2급까지는 1장 넣었고, 1급에서 2장 넣었습니다. 기사 하드 카운터입니다.
치명적인 사격
징표로 잡을 수 없는 티란투스를 잡을 때 씁니다. 상대 필드에 리치왕+신병이 있을 때는 쓰지 마세요. (절대 리치왕 안 맞습니다.)
주문파괴자
메타에 따라 넣었다 뺐다 합니다. 요즘 발아니르 때문에 한 장 넣었습니다. 흑마 상대로 들고 갈 만합니다.
살상 명령
흑마를 잡을 때 좋습니다. 코볼트 때까지 한 장 넣었습니다.
아르거스의 수호자
남은 알을 처리하는 수호자입니다. 코볼트 때까지 한 장 넣었습니다. 요즘 광기의 물약이 없어서 좋을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안 써봄)
거친 날갯짓
3, 4체력이 많은 빅주문드루를 잡을 때 좋습니다. 이 카드는 서브 타겟을 잡는 용도로 써야지, 메인 타겟을 잡는 용도의 카드가 아닙니다.
단단한 딱정벌레
쓰지 마세요. 카트레나에서 튀어나옵니다. 카트레나가 없다면 넣을 만합니다.
감전된 데빌사우루스
사바나, 둘리보다 안 좋습니다. 그러나 넣어볼 수는 있습니다.
공주 후후란 (야생)
카트레나 없는 덱에서는 놀랄 만큼 강력한 카드입니다. 얼왕기 때 사용했습니다. 3턴에 알 내고 4턴에 동전+후후란 -> 6/5, 0/3, 5/5
뇌피셜이지만 제 경험상 다음과 같은 상성을 갖습니다.
2018.5.20, 즉 밸런스 패치 전 기준입니다.
내가 상당히 유리: 모든 종류의 전사, 정령술사
내가 유리 : 템포법사, 홀수기사, 빅주문드루, 빅주문사제, 두억시니술사
반반 : 짝수기사, 멀록기사, 컨트롤흑마
내가 살짝 불리 : 큐브흑마, 컨트롤사제, 죽기법사
내가 불리 : 홀수도적
판 수가 적음 : 주문냥꾼, 짝수흑마, 짝수술사
전적으로 상대의 손패에 달려 있음: 퀘스트도적
제가 얼왕기(템돚), 코볼트(컨흑, 하랜사제) 때도 죽메냥꾼 덱을 굴려서 5급 주차하고 했습니다.
따라서 패치 후에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는 덱이 될 것이라고 저는 말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사제와의 매치업입니다.
큐브를 이용해 사바나를 5마리까지 불렸더니 필드 딜이 30딜이 넘습니다.
다음은 컨트롤 흑마와의 매치업입니다.
죽기로 탈진전까지 버텨서 이겼습니다.
추적 덕분에 보통 아자리가 나오기 전에 30장을 다 볼 수 있습니다.
짝수기사와의 매치업입니다.
상대가 안일하게 쇼에 침묵을 건 것을 큐브로 먹어서 이겼습니다.
쇼가 2마리 이상이면 쇼도 속공을 갖습니다.
다음은 빅주문드루와의 매치업입니다.
3턴에 상대 필드에 요마가 있었고 제가 알을 냈는데 상대가 잡지 않았습니다.
4턴에 죽은척!+공포비늘 추적자로 5/5 두 마리를 소환하니 상대가 나갔습니다.
마지막은 홀수도적과의 승급전입니다.
마지막 네 턴 동안 상대는 딜 카드를 뽑지 못했고 저는 도발, 생흡, 돌진을 뽑지 못했습니다.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