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루페온의 워로드 유저입니다.
1. 필수 스킬
2. 감안하지 않아도 되는 스킬
3. 워로드의 방향성
4. 스킬 분류
5. 스킬 구성 가이드
6. 스킬 투자
마무리
순으로 글 작성하겠습니다.
1. 이견이 없는 필수 스킬은 [ 파이어 불릿, 버스트 캐넌 ] 입니다.
> 파이어 불릿은 마나 소모량만 제외하면 DPS 1위 무력화 1위 스킬입니다.
> 버스트 캐넌은 워로드 스킬 중 가장 강력한 스킬이며 DPS도 상당히 높습니다.
2. 감안하지 않아도 되는 스킬
> 날카로운 창 : 파이어 불릿, 라이징 스피어에 모든 면에서 부족합니다. 파불 라스 날창 세가지를 모두 마스터하는 컨셉이 아니라면 투자할 이유가 없습니다.
> 대쉬 어퍼 파이어 : 마찬가지로 압도적인 파이어 불릿, 라이징 스피어 때문에 투자할 이유가 없습니다.
> 가디언의 낙뢰 : 좋은 트포가 없습니다. 감전이라는 CC기가 큰 효율이 없기때문에 투자하지 않습니다.
> 갈고리 사슬 : 현재 로스트 아크는 몹몰이가 캐릭터 무빙 어그로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될 스킬입니다.
* 방패 돌진과 리프 어택은 성능은 좋지 않으나 이동기로 본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 가능하겠으며 아래에서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3. 워로드의 방향성
> 워로드는 기본적으로 탱커 컨셉의 직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 현 로스트아크에 탱커라는 포지션이 제대로 자리 잡진 못하였지만 기본적으로 스킬들의 컨셉이나 구성이 딜링 보다는 무력화, 팀원 버프, 탱킹에 치중되어 있기때문에 딜링 스킬에 많은 투자를 하는 것은 본인이 추구하는 방향과 다르며 타 클래스와 비교하였을때 경쟁력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4. 위의 감안하지 않을 스킬들을 제외한 나머지 스킬들의 분류
> 딜링 스킬 ( 무력화, 데미지 )
1. 파이어 불릿
2. 라이징 스피어
> 방패 스킬 ( 무력화, 방깎 )
1. 방어 밀치기
2. 배쉬
3. 방어 격동
> 필살기 스킬 ( 딜링 스킬에 비해 긴 쿨타임 & 차징 )
1. 차지 스팅거
2. 스피어 샷
3. 버스트 캐넌
* 카운터 스피어 ( 방어 & 딜링 & 무력화 )
> 버프 & 유틸리티
1. 증오의 함성
2. 넬라시아의 기운
- 총 11개이며 이중 3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스킬로 본인의 스킬트리를 구성하시면 되겠습니다.
> 취향에따라 위에서 제외한 2개의 이동기 구성 가능
5. 스킬 구성 가이드
본격적인 스킬 투자에 앞서 현재 로스트 아크는 총 300포인트의 스킬을 투자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260~280초반의 스킬포인트를 가진 유저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10 10 10 10 10 7 7 1 = 280포인트
10 10 10 10 10 7 4 1 = 264포인트
10 10 10 10 10 4 4 4 = 252포인트
10 10 10 10 7 7 7 7 = 272 포인트 등
본인의 스킬포인트에 맞게 스킬트리를 구성하여야합니다.
* 기본적으로 딜링 스킬 & 필살기 스킬은 마스터하지 않으면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 위의 5가지 딜링 스킬은 마스터하거나 OR 사용하지 않거나 ] 로 고려합니다.
* 유틸리티 스킬은 1 4 7 10 레벨 구간에서 스킬별로 효율적인 투자 레벨이 존재합니다.
> 방어 밀치기는 4 7 10 모든 레벨에서 효율이 괜찮은 스킬입니다.
> 배쉬는 7 레벨에서 효율이 좋은 스킬입니다.
> 방어 격동은 4 7 10 모두 좋습니다.
> 증오의 함성은 1 10 에서 효율이 좋은 스킬입니다.
> 넬라시아의 기운은 7 10 에서 쓸만합니다.
* 카운터 스피어는 7 10 에서 괜찮습니다.
* 현재 워로드 스킬중 가장 성능이 좋은 스킬은 1. 파이어 불릿 2. 라이징 스피어 입니다.
> 위의 두 스킬이 딜링뿐 아니라 무력화도 방밀, 배쉬, 방격과 비교하여 뒤쳐지지 않습니다.
* 방어력 감소가 중첩이 되지 않기 때문에 1~2개의 방어력 감소 스킬만 투자하는 것이 맞습니다.
* 카운터 스피어는 7레벨까지 찍을 경우 생존과 무력화 목적, 10레벨까지 투자할 경우 데미지 딜링을 위한 목적입니다.
> 7레벨 투자시 마나 소모면에서 단점이 생깁니다.
> 2트포 빠른 준비를 찍더라도 무력화딜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차지 스팅거, 스피어 샷의 데미지는 버스트 캐넌에 밀리며 무력화 성능도 좋지 않고 시전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보스몹 무력화 때는 단번에 딜링을 하기엔 유리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성능이 좋지 않습니다.
* 넬라시아의 기운은 고렙 던전으로 넘어갈 수록 [ 피해 감소, 디버프 해제 ] 라는 측면에서 워로드의 장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스킬 투자
> 기본적으로 파이어 불릿, 버스트 캐넌은 10
* 10 10 10 10 7 7 7 7 로 투자할 경우 272
10 파불 버캐 증함 / 라스 (or 차지스팅거나 스피어샷 취향 )
7 방밀 배쉬 카스 넬라
> 트포는 본인이 스킬 설명만 읽어봐도 뭘 찍어야할지 감이 옵니다.
> 올 딜링 스킬에 투자한 스킬트리를 제외하고는 딜링도 밀리지 않으며 무력화, 방깎, 팀원 버프도 모두 챙긴 스킬트리
> 이동기가 없다는 단점 & 파불 7카스로 인한 마나 부족
///
10 파불 버캐 증함 방밀
7 배쉬 방격 카스 넬라
> 방밀 3트포 추가타격 상당한 무력화
> 7배쉬 무력화 최상
> 7방격 트포2 방어준비 피해 감소 15% 무한
> 7카스 트포2 빠른준비 무력화 집중
> 가장 강력한 파불 버캐 외에 [ 무력화 최대 & 무한 방깎 & 팀원 버프까지, 가장 워로드스러운 스킬트리 ]
* 10 10 10 10 10 7 4 1 / 264
10 파불 버캐 라스 증함 카스
7 넬라
4 방격
1 리프 어택
> 10카스로 1번 스킬트리에 비해 강한 딜링과 편리한 마나 관리
> 다음으로 중점에 둔건 팀원 버프 [ 증함 & 넬라 ]
> 4방격으로 방깎 가져가며 7포인트 투자가 가능할 경우 방밀 OR 배쉬가 낫습니다.
* 10 10 10 10 10 7 7 1 / 280
10 파불 버캐 ( 라스 방밀 방격 카스 차지 스샷 중 택3 )
7 넬라 ( 10카스를 찍었다면 배쉬 & 10레벨 카스를 안찍었다면 7카스 )
1 증함
> 증오의 함성이라는 스킬이 도발 & 공격력 버프라는 효과로 [ 평상시와 무력화 두가지 상황] 에 사용할 경우 한쪽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합니다. 도발용으로 1 ( 물론 10증함 버프는 좋은 스킬 )
> 10방격 트포 두번째 격동을 찍을 경우 첫번째 방격 이후 5초간 한번의 방격을 더 사용할 수 있는데 두번의 방격에서 모두 방깎 효과가 발휘됩니다. ( 쿨타임은 두번째 방격을 사용해야 돌아감 )
> 10방밀은 워로드 전체 스킬 중 무력화DPS 가 두번째로 강하며 2트포에서 약점 포착을 찍을 경우 데미지 적인 측면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 증함을 10을 찍겠다면 카스를 1로 내리거나 이동기를 1찍으시면 됩니다. ( 개인적으로 카스는 10레벨이 좋다고 생각 )
마무리
> 파불 버캐는 무조건 10 찍는다.
> 방깎 스킬은 1개만 찍거나 최대 2개까지만 찍는다.
> 딜링 스킬은 10찍거나 안쓰거나
> 증함10 넬라7이 잘맞으며 워로드의 경쟁력이 될거라고 생각함. ( 넬라 10 넣을 경우 딜링기 하나 빼고 가능 )
> 파불 버캐 다음으로 성능이 좋다고 생각하는 스킬은
10라스 : 딜 + 무력화 파불 바로 다음 2위
10카스 : 차지, 스샷보다는 이게 나음, 손맛이 있음 3트포 폭격창 찍을 경우 무력화 데미지도 늘어남
10방밀 : 높은 무력화DPS, 2트포 약점 포착으로 나쁘지 않은 딜링, 3트포는 추가 타격 ( 무력화 데미지도 상승 )
10방격 : 3트포 두번째격동 찍을 경우 첫번째 방격 이후 5초 안에 한번 더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두번의 방격 모두 방깎 효과 적용되며 무력화도 2배로 적용됨. 첫 방격 이후 다른 스킬을 콤보로 사용 & 방깎 지속 시간 최대화 & 무력화도 두배 ( 약 8초 가능 ) 2트포 방어 준비 [ 15% 피해 감소 무한 ]
> 거르라는 스킬은 거른다.
> 오해하는게 방패 3종류 ( 방밀 배쉬 방격 ) 이 무력화가 높을거라고 생각하지만 파불이 넘사이다. 방패스킬은 방깎용
> 스피어 샷, 차지 스팅거는 찍을 칸이 없다.
> 딜은 데헌, 서머너가 할 것
> 시뮬레이터로 찍은 스킬트리가 본인 스킬트리
10 파불 : 넘사
10 라스 : DPS 파불 다음
10 버캐 : 순간 딜링 1위
10 카스 : 롤 피오라 모1
10 증함 & 7 넬라 : 팀원 버프
7 방격 : 방깎 & 무한 피해 감소
4 방밀 : 트포1 쿨감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