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메네스용 스킬트리(무력화/생존) 쓰랄성님
조회 : 1068 추천 : 0
2018-11-29 04:26:42
워로드 사용 스킬 포인트 268

스킬

트라이포드

안녕하세요 기에나서버 워로드 유저 C호석두입니다.


0. 들어가며

  ㄱ. 고인물, 선발대의 입장이 아니라 저같은 후발주자를 위한 스킬트리 공유하고자 또 스킬시뮬에 글을 싸러 왔습니다.

  ㄴ. 이 스킬트리는 저와 같이 손이 느리신 분들을 위해 작성되었으며, 진정 [전쟁군주]로서 워로드가 어떤 식의 플레이를 해야하는지에 대한 저의 고민의 결과입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오늘부로 루메를 졸업했고(레이드셋을 맞췄습니다), 제가 아닌 후발주자들을 위한 피드백을 부탁드립니다.


1. 방패돌진(7)과 리프어택(4)

  ㄱ. 포지션을 잡기 위해 사용합니다. 루메네스는 엉덩이만 집요하게 물고늘어지면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지만 워로드의 스킬 딜레이가 긴 편이기 때문에 아차하는 순간 누워야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딱 제가 그랬거든요. 루메네스의 공격에 노출되었을 때에 해당 위치를 이탈하고, 다시 거리를 좁히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ㄴ. 방패돌진은 7포인트를 주어 생존에 주안점을 둔 스킬로 사용합니다. 아예 포인트를 주지 않아도 매우 효율이 좋은 스킬입니다. 리프어택을 아예 빼버리고 방패돌진만을 이동기로 사용하시는 유저분들도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ㄷ. 리프어택으로 루메를 넘지 못합니다. 루메네스와 마주봐야하는 상황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탈 후 백어택 포지션으로 들어가는 용도와 거리가 벌어진 루메네스에게 순간적으로 다가가기 위한 용도로 사용합니다. 마스터할 것이 아니라면 4포인트만 투자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했습니다.


2. 방패격동(M)과 발패밀치기(M)

  ㄱ. 무력화와 방깍을 위해 사용하는 스킬입니다. 기존에 저는 배쉬(7)와 방밀(M)을 사용했으나 헛손질을 하는 경우가 왕왕있었고, 안정적으로 무력화를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배쉬를 버리고 방격을 선택했습니다.

  ㄴ. 방패스킬들은 백어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쿨이 될 때 마다 사용하면 됩니다.

  ㄷ. 방패격동의 사거리를 생각보다 넓고, 콤보를 입력하기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긴 편입니다. 방격-딜-방격 을 통해 방어력 감소를 유지함과 동시에 무력화를 쌓습니다.

  ㄹ. 방패 밀치기의 1타는 방어력 감소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2타를 모두 때려넣어 무력화를 쌓는 것이 베스트이지만 1타로 거리를 좁히고 2타만 넣어도 무방하다 생각합니다.


3. 카운터스피어(4)

  ㄱ. 방패돌진과 리프어택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카운터스피어를 누를 일이 별로 없고, 루메네스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Z아덴과 함께 사용합니다. 헤딩팟을 짯을 당시에는 데미지감소 특성을 주었으나 어느 정도 숙련된 후에는 뇌진탕을 통해 무력화를 쌓는 용으로 사용했습니다.


4. 파이어불릿(M), 라이징스피어(M)

  ㄱ. 기본적으로 워로드는 약합니다. 돌겜의 노루나 크보의 김재환* 선수처럼 약하지만 강한 것이 아니라 그냥 약합니다. 딜은 버스트캐논에게 몰아주고 이 두 스킬은 버캐의 쿨타임동안 사용한다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ㄴ. 라이징스피어의 첫번째 특성으로 원래는 공속증가를 주었으나 별 차이가 없다 생각해 조금이나마 딜을 누적하고자 쿨감을 주었습니다. 루메 발뒤꿈치에 창을 꽂아넣는다는 이미지로 사용하시면 거의 풀힛을 넣을 수 있습니다.

  ㄷ. 파이버불릿 3번째 특성으로 공격창출과 한방포격을 고민했으나 답답함보다는 호쾌함을 선택해 공격창출을 선택했습니다.

  ㄹ. 라이징스피어는 루메네스가 땅에 코박죽하고 번개를 떨굴 때에 원거리에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5. 버스트캐논(M)

  ㄱ. 정밀한 포격... 솔직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못맞추겠습니다. 과충전... 너무 오래걸립니다. 제가 슈퍼차지 각인을 했다면 과충전을 선택했겠지만 슈퍼차지 각인박은 사람이 루메네스를 잡기 위한 스킬트리를 보러올 것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ㄴ. 확실히 딜은 정밀이나 과충전보다 약하지만 100의 대미지를 확실하게 10번 꼽는게 (1000) 140의 대미지를 5번 꼽는것보다 (700) 낫다고 판단했습니다. 명중률은 제 기준입니다. 손느려요...


6. 아이덴티티와 각성기

  ㄱ. Z아이덴티티는 카운터스피어와 사용하거나 코박죽번개에 맞으며 딜할 때 사용합니다. 방돌에 슈퍼아머가 있기 때문에 Z아이덴티티를 많이 사용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ㄴ. X아이덴티티를 그동안 많이 무시하고 저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코박죽번개 패턴이나 슈퍼노바(세번 울부짖고 넉백시키는 패턴) 패턴에서 노출된 딜러진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실드량이 부족하면 각성기를 활용해 실드를 충전했습니다. 또한 X아이덴티티는 생존기로 활용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나와 파티원 모두에게)


7. 증오의 함성(0)과 넬라시아의 기운(0)

  ㄱ. 루메는 정말 맛보기 레이드이고 공버프를 진하게 쏟아부어야 클리어가 되는 보스가 아닙니다. 증오의 함성 때문에 제 옆에 있는 애꿏은 딜러까지 같이 누울 수 있다는 판단에 제외시켰고, 넬리시아의 기운을 쓰는 핵심적인 이유인 클린즈를 사용할 패턴이 없어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8. 마치며

  ㄱ. 저는 풀3D 형식의 게임에서는 원거리 딜러를 (블소의 기공사, 아이온의 궁성) 쿼터뷰 형식의 게임에서는 근거리 탱커를 선호합니다. (롤의 신지드, 디아3의 수도승, 히오스의 레오릭) 게임에 재능이 없어 거리감이 약하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안전한 플레이를 지향하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ㄴ. 이 스킬트리 역시 그런 안전지향성 때문에 완성되었고, 이 스킬트리를 완성하기 전 루메에서 가장 많이 눕는 사람에서 완성한 이후 가장 안정적으로 딜링과 탱킹을 전담하는 전쟁군주로 탈바꿈할 수 있었습니다.

  ㄷ. 저처럼 손이 느린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이제 막 루메네스에 진입해서 스킬세팅에 고민을 가지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코멘트(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