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이나 각인등을 고려해볼때
[피스메이커 각인서]는 마땅한 각인서가 부족한 건슬링어에게는 공통 필수 각인으로 보여집니다.
추가로 [사냥의 시간 각인서]를 채용하여 샷건을 뺄꺼냐 넣을꺼냐로 갈릴 것 같습니다.
따라서
라이플&샷건의 균형적인 운영을 통해 상황판단 플레이를 해야하는 난이도가 조금 있는 피스 건슬링어와
라이플 스킬이 주력으로 가는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사시 건슬링어로 나뉘게 됩니다.
제가 이번에 연구해 보려고 하는 쪽은 [피스메이커 각인서]를 단독으로 채용하는 건슬링어 입니다.
[피스메이커 각인의 효과]에 맞게
[핸드거너]=>공격속도 16% 증가를 활용하여 "빠른 이동기"로만 사용하고
[샷건]=>치명타 적중률25% 적절한 빽어택or치명타를 활용한 안정적이고 준수한 딜링과
[라이플]=> 피해10%+30%피해(50%이하인 대상) 을 통해 빽어택 불가능할경우 면상딜과 50% 이하 대상에게 강력한 피해를 주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I. 기본 개념은
"빽어택 가능시"=> [샷건]
(팁 : 퀵스텝 사용으로 공이속 자버프활용과 나선의 추적자를 미리 깔아놓음으로 단심으로 쿨감확보 빽잡기)
"빽어택이 힘들경우"=> [라이플]
(팁 : 썸머솔트샷 광분효과 활용과 나선의 추적자 사용)
[핸드거너]는 => 이동기&시너지로만 사용합니다.
메테오 스트림은 무력화가 부족할때를 위해 넣어놨습니다
.
II. 기본적인 딜 세팅(사전작업)을 설명 드리면
[핸드건]으로 돌아올경우
a.샷건사용시 : "나선의 추적자"를 던지고 피스키퍼or민첩한사격or썸머솔트샷 등으로 빽을 잡습니다.
퀵스텝을 사용하여 공이속 자버프를 활성화 시킵니다. =>이후 샷건준비
=>빽을 잡기 쉬운상황에서는 퀵스텝을 통한 자버프활성화와 동시에 뒤로 이동해 샷건을 준비합니다.
=>단심을 터트리지 않는경우나 마탄의 사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민첩한 사격이후 퀵스텝 자버프를 사용후 샷건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b.라이플 사용시 : 썸머솔트샷(광분활용)등을 활용하여 거리를 벌리고 "나선의 추적자"를 던집니다.
=>피스키퍼나 스페이스의 경우 회피기로 활용하는게 좋습니다.
[핵심]
샷건 사용시 : 1. 치명타시너지&빽잡기 2. 퀵스텝 공이속 자버프 활성 3. 단심활용
라이플사용시 : 1. 거리 벌리기 2. 나선의 추적자 깔기 3. 광분룬 활용
III. 기본적인 딜 싸이클과 연계는 두가지입니다.
1. [샷건] a or b
1-a. [샷건] 3스킬 연계 사용 : 최후의 만찬->샷건 연사->절멸의 탄환 (단죄심판 테크)
1-b. [샷건] 단독사용 : 마탄의 사수 (다른 스킬쿨 확보용으로 단독사용)
2. [라이플] a or b
2-a. [라이플] 3스킬 연계 사용 : 포커스 샷->퍼팩트 샷->스파이럴 플레임 (스파이럴 플레임1렙기준)
(스파이럴 플레임 10렙기준)=> 스파이럴 플레임->포커스 샷->퍼팩트 샷
2-b. [라이플] 단독사용 : 타겟 다운 (다른 스킬쿨 확보용으로 단독사용)
위의 스킬을 사용할때 II. 에서 언급한 사전작업을 하신뒤 샷건a or b를 쓰시고
사전작업을 하신뒤 라이플a or b를 쓰시면 됩니다.
예시) 상황에 따라 아래의 1과 2를 선택한 뒤 => 상황에 따라 1-1과 2-2중 선택하시면 됩니다.
아래를 계속 반복하시면 사이클과 쿨이 딱 맞게 떨어질 겁니다.(보석세팅으로 미세조정)
1. 나선의 추적자 사용->(피스키퍼 or 민첩한 사격으로 시너지&빽잡기) & 퀵스텝 공이속 자버프 활성 => (최후의만찬->샷건연사->절멸의탄환)
1-1 => 섬머솔트샷으로 거리를 벌림 => 나선의 추적자로 시너지 묻히기 => (포커스 샷->퍼팩트 샷->스파이럴 플레임)
1-2 => 섬머솔트샷으로 거리를 벌림 => 나선의 추적자로 시너지 묻히기 => 타겟 다운(다른스킬 쿨타임확보)
2. 나선의 추적자 사용->(피스키퍼 or 민첩한 사격으로 시너지&빽잡기) & 퀵스텝 공이속 자버프 활성 => 마탄의 사수(다른스킬 쿨타임확보)
2-1 => 섬머솔트샷으로 거리를 벌림 => 나선의 추적자로 시너지 묻히기 => (포커스 샷->퍼팩트 샷->스파이럴 플레임)
2-2 => 섬머솔트샷으로 거리를 벌림 => 나선의 추적자로 시너지 묻히기 => 타겟 다운(다른스킬 쿨타임확보)
기본 구조는 이렇습니다.
상황에 맞게 바꿔가면서 쓰시면 됩니다.
(응용)
1. 빽을 잡기힘들고 해드어택 가능한경우
나선의 추적자&퀵스텝->최후의 만찬(단죄심판) -스왑> (포커스샷->퍼팩트샷->스파이럴 플레임)
나선의 추적자&퀵스텝->최후의 만찬(단죄심판) -스왑> 썸머솔트샷(거리벌림) -스왑> (포커스샷->퍼팩트샷->스파이럴 플레임)
IV. 기타
1. 특성의 경우
피스메이커 단독 각인의 경우 샷건과 라이플의 균형이 중요한데
각인서 채용에 있어서 예리한 둔기 말고는 둘에 동시에 쓸만한 각인서가 마땅치 않습니다.
따라서 예리한 둔기를 채용해야 하기때문에 "치명위주"로 세팅을 해주시고
ex)유물기준 치명 1400 특화 700(목걸이+반지정도)
"특화"는 목걸이와 반지or귀걸이 1개 정도 세팅을 통해 특화를 조금 챙겨 주시고
특화를 챙기게 되면 딜이 어느정도 확보되기 때문에 특화로 "딜각인서"를 하나 때운다고 생각을 하시고
대신 신속을 챙기지 못하는 부분을 (유틸형 각인)정기흡수 각인서를 사용해서 상쇄하여 공이속을 확보해 주시면 됩니다.
건슬링어의 경우 비슷한 딜량의 메인 스킬이 많기 때문에 쿨감을 따로 확보하지 않아도 스킬을 계속해서 돌릴 수 있습니다.
=>
[주의]
1. 특화를 너무 많이땡기면 라이플 치명이 잘안뜨게됩니다.
2. 특화 안주고 신속가면서 정기흡수까지 채용하면 딜로스가 너무큽니다.
3. 특화를 많이땡긴 상태로 라이플에 치명 트포를 주게될경우 손실되는 딜트포 효율이 더 큽니다.
따라서 특화를 조금 줄이고 치명을 많이준상태로 라이플에 딜트포를 챙기는게 이득입니다.
2. 각인서의 경우
(1) 주요각인 : 원한,피스메이커,예리한 둔기,정기흡수
(2) 선택각인 : 기습,저주받은 인형,약자 무시,(각성)
=> 위에 특성을 설명하면서 어느정도 설명이 된것 같습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같습니다.
a. 1차적으로 [원한],[피스메이커],[예리한 둔기]는 고정으로 가주시고
b. 그후 [정기흡수]도 채용해 주세요 (신속을 가지않고 특화를 준이유 입니다.)
c. 샷건의 빽어택을 잘 적용 시킬 수 있는경우 [기습]을 채용할경우 절멸의 탄환 1트포를 재빠른 손놀림을 찍어줍니다.
d. 컨트롤에 자신이 있다거나 컨텐츠의 적정렙 보다 그 이상을 유지가 가능한 경우에는 [기습] 대신 [저주받은 인형]을 채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 3331이나 33331로 가게될 경우 마지막 1을 챙겨야 되는경우는 [약자무시]를 채용하시는게 효율이 좋습니다.
f. 유물장비착용시 지배세트 선택시 각성을 채용해야하며 이경우 기습을 빼줍니다. 기습을뺀경우 [절멸의 탄환 1트포]를 "사면초과"로 바꿔줍니다.
3. 룬의 경우
피스메이커의 경우 초중반 샷건 위주 플레이가 자주 나오기때문에 나선의 추적자와 최후의 만찬에 단심을 주었습니다.
5. 스킬의 경우
스킬포인트가 아주 조금 남을경우 민첩한 사격을 7레벨주고 탁월한 기동성을 찍어주시면 좀더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해집니다.
뭔가 스킬트리등이 딱 정해져 있는 느낌이 강합니다.
스킬 하나하나의 최종 트포적용시 딜량과 DPS를 뜻어보면서 파악해보니 플레이 스타일이나 트포가 조금 수정되었습니다.
확실히 건슬링어는 상황에 따라 어떻게 스킬을 적절하게 배분하고 활용하는지에 따라서 크게 갈릴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포인트인것 같습니다.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