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은 충모닉을 1370까지만 키우고 배럭으로 방치했지만,
계속 키웠으면 재밌었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비록 유물장비를 실제로 착용해보진 않았지만,
가정을 통해서 도출해낸 결과임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추천 유물셋 : 지배6셋
간단한 스킬 설명
충모닉 스킬트리는 대부분 똑같아서 굳이 설명할 필요가 X.
다만 쓰러스트 임팩트의 '잠식하는 힘'트포는 정말 효율이 구리기 때문에, 원혼 폭발을 채용하였음.
잠식 게이지 수급 3대장인 데몬비전, 하울링, 제노사이드에는 꼭 풍요룬을 박는 것을 추천.
실전에서 위 세 스킬 중 하나라도 빗나가면 딜사이클이 꼬여버림.
적중 난이도가 높은 기술들도 아니므로 신경써서 사용하기 바람.
특성특화 치명 (펫옵션 : 특화)→ 인간폼 1사이클로 게이지 수급이 가능할때까지만 특화를 올리고, 나머지는 치명 투자.
잠식 트포3렙작 기준으로 대략 특화 1000을 넘기면 인간폼 1사이클 후 변신 가능하며,
5렙작까지 하면 게이지 수급이 더 쉬워질 것.
기본적인 딜 사이클
인간폼 1사이클 → 악마폼 1사이클 후 변신 해제 → 무한 반복
인간폼 딜사이클
하울링 → 라이징 클로 → 데몬 비전 → 데몬 그랩 → 제노사이드
→ 데모닉 슬래쉬 → 데시메이트 → 쓰러스트 임팩트 → 데모닉 슬래쉬 → 악마화
KEY POINT
1. 가장 중요한 점은 파티 시너지 타이밍에 하울링을 맞춰서 사용하는 것. 따라서 하울링 위치는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
2. 인간폼의 주력기인 쓰임과 데시메이트가 돌대 효과를 받도록 데슬을 먼저 써줌.
3. 악마화로 넘어가기 전에 데슬을 한번 더 써줌으로써 이후 악마화 스킬들이 돌대 효과를 받을 수 있게 해줌.
악마화 딜사이클
W - E - R - S - A - Q - W - E - R
KEY POINT
1. 본인의 하울링 쿨타임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
2. 핵심은 쿨타임이 짧은 E와 R을 1사이클에 두 번씩 사용하는 것.
1사이클 변신&해제를 고집하는 이유
→ 순간 시너지인 하울링을 들고있는 이상, 충모닉은 결국 변신을 풀어야함.
파티원의 시너지 타이밍에 하울링을 맞추기 위해, 계산적으로 1사이클을 딱딱 맞추는 것이 효율적.
추천 각인 (3티어 유물 기준)
333321 (원한3 각성3 저받3 돌대3 정흡2 충동1)
원한3 : 기본적으로 깔고 감.
각성3 : 현재 최종 유물장비 세트인 '지배의 송곳니' 셋트 효과를 발동시키기 위해 채용
저받3 : 주기적으로 체력을 채우는 충모닉에게 이 정도 디버프 각인은 문제 없음.
돌대3 : 악마화 상태의 이속20% + 데모닉슬래쉬의 2트포 효과로 효율 뽑기 가능.
정흡2 : 기술을 쉴 세 없이 돌리는 충모닉에게 정흡은 매우 좋은 유틸.
충동1 : 충동은 1렙이 매우 효율적.
파티 시너지에 관해서
충모닉은 딜 사이클이 길다 보니 순간 시너지와 잘 어울리지 않음.
따라서 상시 시너지(ex.알카,스카,인파 등)와 파티를 짜는 게 효율적.
자체 치명이 전무해서 치명딜러와 궁합이 좋고, 리퍼(치피증)와 궁합이 좋지 않음.
백어택이 없다보니 백어택 시너지(블레, 워로드)와 어울리지 않음.
충모닉의 장점
1. 자유로운 포지션
헤드어택, 백어택 강제성이 없고, 이속이 빠르고 이동기도 많음.
필자는 충모닉을 플레이할 때 파티원의 반대편에서 주로 위치하는 편인데,
보스몹에게 어그로가 끌렸을 때 파티원들에게 딜각을 만들어주기 수월했음.
2. 높은 생존력
충모닉은 변신하면 최대 피통이 20% 늘어남. 이때 현재 HP양도 같이 늘면서 사실상 피회복이 됨.
피회복이 보장되니까, 자잘한 패턴들은 맞으면서 딜을 넣을 수가 있음.
3. 카운터
카운터 기술들이 쿨타임도 짧고 넣기도 쉬운 편인데, 이는 현재 군단장 레이드에서 유리한 부분.
또한 포지션이 꼭 빽각을 잡지 않아도 되서, 보스 머리 주변에서 카운터 각을 재기가 편함.
4. 기술 적중 난이도 최하
블래나 디트같이 기술 쓰면서 기도할 필요가 없음.
쓰면 죄다 즉발이라서 기복없이 딜을 넣는 것이 가능.
단, 사용 시간이 긴 편인 데몬 비전을 쓸 때만 조금 주의할 것.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