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우터 관찰일지(상세설명) 빨간홀
조회 : 1757 추천 : 1
2021-05-25 15:16:35
스카우터 사용 스킬 포인트 382

스킬

트라이포드

유산스카우터의 트라이포드, 변신하고 난 뒤의 스킬순서, 룬과 장비셋팅, 마지막으로 각인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거 제 기준이니까 다른 분들도 많다는 점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기동타격
보통 다른 분들은 1단계에서 빠른 준비를 하시던데, 결론을 보자면 기술스카우터는 필수여도 유산스카우터는 취향입니다.
입체기동의 거리체감이 너무 커요.
게다가 변신 풀려도 곧바로 변신하기 때문에 굳이 쿨감을 넣어서 몇번 더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여 입체기동을 채용했습니다.
두번째 트포도 날렵함 필수같아 보이는데, 어차피 변신하고 나면 지속시간 거의 끝나서 데미지에 기여 안해요.
세번째 트포인 추가 기동은 필수입니다. 강인함 왜있는지 모르겠는 데다가, 한번 더 구르는 메리트가 엄청 커요.

2. 백플립 스트라이크
사실 이거 카운터용으로 채용하는거긴 한데, 제 예상이긴 한데 초고스펙에서는 방무용으로 쓰지 않을까 싶어요.
먼저 첫번째 트포는 탁월한 기동성이나 넓은 폭발은 선택인데, 숙련된 움직임은 절대 찍지 마세요.
저거 찍는 순간 자체 하드코어 되요.(제 개인적인 기준)
두번째는 집중 공격을 하시면 되고, 세번쨰도 선택입니다.

사실 이 스킬 계속 봐도 모르겠더라구요. 틀린 점이 있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3. 펄스 파이어
공격력 증가 때문에 첫번째 트포에서 투지 강화 필수입니다.
지속시간때문에 10까지 찍고 펄스차지를 채용하여 하는 경우도 변신 후에 남아있는 지속시간을 생각해보면 채용할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
스킬포인트 넉넉하신 분들은 채용할 생각 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명령 : 플레어 빔
첫번째 트포는 상관 없고,
두번째 트포는 무조건 코어 에너지 충전이고,
세번째 트포가 약간 갈릴 수 있다고 봅니다.
근데 제 생각에는 스킬을 빨리빨리 돌려서 변신해야 하는 유산스카우터 특성상 레이저 커팅이 더 좋아 보입니다.

5. 명령 : 베이비 드론
첫번째 트포에서 빅 베이비를 채용하는게 좋아 보이지만, 애초에 베이비 드론 범위 자체가 나쁘진 않아서 급소 공격을 채용하는 편입니다.
두번째는 무조건 코어 에너지 충전, 세번째도 빨리 변신해야 하기에 일제 공격을 채용합니다.

6. 명령 : 레이드 미사일
사실 이 스킬 많이 골때리는 스킬입니다.
시전속도가 늦고, 레이드 미사일을 다 맞췄을 때 게이지 충전이 많이 되긴 하는데, 사실 실전에서 그럴 확률이 높진 않다 보니 안맞는 순간 변신 속도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우선 첫번째 트포는 무조건 코어 에너지 충전이고, 두번째 트포도 게이지 채우는거에 특화된 오르간 미사일이고, 세번째 트포 역시 기술스카우터가 아니기에 대형 미사일을 채용하는 편입니다.

7. 이스케이프
변신하지 않았을 때 보호막을 제공해주는 스킬입니다.
첫번째 트포는 다른 할 게 없어서 날렵한 착지를 채용하긴 했는데, 얘 어떻게 쓰는지 도저히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그래서 이스케이프 쓸 때 갈겨서 날렵한 착지를 발동시킵니다. 혹시나 이거 사용하는 방법 아시는 분 댓글 부탁드립니다.
두번째는 장거리 비행을 채용했습니다.
이건 취향일 수 있겠지만, 저같은 경우 드론스킬을 다 썼는데 게이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거 쓰고 채웁니다.
홀딩이 아니면 잘 차지 않아서 장거리 비행으로 했습니다.
세번째 트포는 무조건 응급 보호 입니다.
이거 아니면 쓰는 이유가 없어요.

8. 에너지 버스터
게이지 채우는 스킬 중에서는 딜이 가장 좋은 놈입니다.
그래도 결국 게이지 채우는 것이 우선이기에 첫번째 트포는 숙련된 움직임을 채용했습니다.
두번째와 세번째 트포는 선택인 것 같습니다.

번외)
이스케이프에서 말씀드렸듯이 저는 게이지가 조금 부족할 때 이스케이프로 채우는 편이지만, 액티브 펄스나 블록케이드로 채우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백플립이나 이스케이프를 빼면 되는데, 카운터스킬이 필요한 레이드 같은 경우 이스케이프 대신 쓰고, 아니면 백플립 대신 쓰는 것 같아 보입니다.(전 그런 적이 없기에 확신이 없네요.)

---------------------------------------------------------------------------------------------------------------

이번에는 변신 후의 스킬순서입니다.
이론상 최고의 딜을 뽑아내기에는 허수아비가 아닌 이상 거의 불가능입니다.
그리고 초고스펙 기준에서는 다를 수 있다는 점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먼저 Q-E-W 입니다.

변신하고 맨 처음에 쓰는 순서로, 직각에 있는 1중첩당 데미지 퍼센트 증가 때문에 필수입니다.
그리고 Q에 단죄, E에 심판을 넣는게 좋아 보이지만, Q가 한틱인 데다가 맞추지 못하면 발동 자체가 되지 않기에 E에다가 단죄, W에다가 심판을 넣는 편입니다.
그리고 남은 Q에다가는 광분을 넣어 주어서 필수가 아닌 선택적인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물론 광분이 돌대때문에 필요하긴 한데, 이건 이따가 설명 드리겠습니다.

Q-E-W를 쓰고 3스텍을 채운 다음에는 보통 S를 많이 하시던데, 저는 비추입니다.
초고스펙에서는 쿨감을 두둑하게 챙겨서 잘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S를 한 뒤, R를 하고 나머지 스킬들을 돌려 주면 어느새 전부 쿨타임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되더라도 스킬들이 전부 꼬이게 됩니다.

Q를 쓰고 E를 써야 E에 대한 효율적인 딜이 나오기에 정말 비추입니다.

그럼 어떻게 하느냐,
Q-E-W를 쓴 다음 R를 씁니다. 그리고 난 뒤에 S를 쓰세요.
그래야 스킬들이 정상적으로 돌아갑니다.
W가 조금 노는 느낌이 있으실 수도 있는데, 얘 딜 안나와요.
쿨타임 3초 짜리가 딜이 나오는게 말이 안되니깐요.
스킬 다 쓰고 W만 남았거나, Q는 있는데 E가 없을 때 써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진짜 중요한거, W는 나머지 스킬들 다 쓰고 맨 마지막에 써주세요.

Q-E-W-R-S-A를 하면 점점 쿨타임들이 돌아옵니다.
그럼 쿨타임 끝난 스킬들 쓰시면 됩니다.
변신 지속시간은 배신셋을 채용하지 않는 이상 일정한 데다가, 변신셋 하시면 전체 쿨들이 대폭 줄어들게 되서 그때는 그냥 쎈 스킬 위주로 막 써도 되는 걸로 압니다.

---------------------------------------------------------------------------------------------------------------

이번에는 룬입니다.

변신을 했을 때 E와 W에 각각 단죄, 심판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Q에는 광분을 넣었습니다.
출혈은 다른 룬과 효과를 보지 못하는 A에다가 넣었고, S에는 무력화가 겁나게 쎄기 때문에 압도를 넣었습니다.
그리고 R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습니다.
나머지 드론스킬에서 풍요로 확실하게 변신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특화가 1600이상이면 풍요2개를 고려해 볼 만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웬만해선 3풍요가 확실합니다.

그리고 광분을 얘기해야 하는데, 이거 쿨감보석이 없으면 진짜 무쓸모입니다.
마침 제 캐릭에 쿨감보석이 없어서 영웅 광분 채용을 해 봤는데, 스킬들쿨들이 너무 남습니다. 게다가 스킬들 전부 꼬여요.
심지어 이거 채용 안해도 쿨타임이 간당간당하게 될까 말까 합니다.
그걸 단죄심판으로 매꾸는 것이구요.
광분을 채용하면 결국 평타를 해야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전설 광분으로 돌대효과를 받는 것이 아닌 이상 차라리 계속 스킬 쿨을 돌리면서 무호흡딜을 넣는게 더 좋습니다.(제발 전설 광분좀...)

초중반에는 최대한 영웅 단심을 모으는 목적으로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제 개인적인 점이니 다른 분들 많을겁니다.

---------------------------------------------------------------------------------------------------------------

다음에는 장비셋팅입니다.

1415되기 전에는 치명타때문에 무조건 예정 챙겨주시는게 좋습니다.
스카우터에겐 마수셋보다 효율적입니다.

1415이후에는 유물셋을 맞출 수 있습니다.
장신구는 목걸이 치특, 나머지 전부 특화 해주세요. 이건 고정입니다.

방어구는 유산스카우터라서 매혹셋은 비추드립니다.
대부분 지배나 배신셋인데, 전 지배셋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배신셋으로 잭팟을 터뜨리면 단심을 빼도 되고, 광분이랑 출혈, 압도만 넣어서 엄청난 딜을 넣을 수 있지만, 이거 확률 꽤 낮은걸로 알아요.
그렇다고 배신셋이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굳이 지뱃세으로 옮길 필요 없어요.

지배셋에서는 안정적인 데미지 증가로 많이 채용하는 세트입니다.

그리고 다른 곳에서는 언급 잘 안해주던데, 이동기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이거 엄청 큽니다.
변신했을 때 원래는 7초인데, 지배셋 채용했을 때 5초로 내려갑니다.
이동기 재사용 대기시간 30%감소가 드럽게 큽니다.
건슬이나 슈샤이어같은 경우 이동기를 사용하면 시전속도가 느린 편이고, 애니츠는 두번 가능하지만 짧은 데다가 근딜캐릭터이고, 암살자같은 경우도 근딜인데도 불구하고 비슷하고, 마법사같은 경우도 비교해 보면 스카우터가 스킬쿨이 낮습니다.
같은 아르데타인 직업군들도 비교해 보면 스카우터가 이동기에 대한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유산스카우터가 이동기 0티어입니다.

단점은 각인에서 각성을 무조건 채용해야 한다는 점으로 볼 수 있을 것과 변신스킬에 단심을 채용해야 하는 점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지배셋가고 각성채용 안하실거면 차라리 배신셋으로 가서 잭팟 터뜨리는게 더 좋습니다. 2배는 딜이 더 나올 겁니다.
각성기 쓰고 받는 버프 끝나는 순간 예정셋보다도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각인과 장비를 맞추셨다면 각인을 바꾸기보다는 장비를 바꾸는걸 추천드립니다.
제가 각인 바꾸다가 골드 엄청나게 날렸어요...

---------------------------------------------------------------------------------------------------------------

마지막으로 각인에 대해 설명드리기 전에 축하드립니다.
여기까지 전부 읽고 오셨다면 당신은 스카우터유저입니다.

유산스카우터는 33333기준으로 '원한, 바리케이드, 돌격 대장, 진화의 유산'이렇게 셋트로 묶어서 필수입니다.
이유는 스카우터유저이시면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지배셋 갈거면 각성, 배신셋 갈거면 안정된 상태나 저주받은 인형을 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상이나 저받, 둘 다 취향이긴 한데, 저같은 경우 안상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배신셋에서 잭팟을 터뜨리지 못하면 뜰때까지 버텨야 하는데, 그 사이에 딜은 저받이 있든 없든 잭팟되는 순간 차이 없어집니다.
굳이 물약값 더 소모하기보다는 안상으로 잭팟을 터뜨릴때까지 적절하게 버티면서 딜하다가 터뜨리시면 될 것 같아보입니다.

33331을 해야 한다면 1에는 무조건 진화의 유산입니다.
스텍관리가 생각보다 빡세기 때문입니다.
진화의 유산이 좋은 이유는 데미지보다는 변신해제를 할 때 게이지의 40%를 돌려받는게 더 크기 때문에, 이게 바뀌지 않는 이상 1은 무조건 진화의 유산입니다.

만약 유물이 아닌 전설악세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333으로 원한, 바리케이드, 진화의 유산을 추천드립니다.
전설악세를 끼고 계신 상태면 1415가 되지 않은 데다가 유물셋도 없고, 내실도 완벽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돌대같은 경우 스펙이 올라갈수록 더 좋아지는 것이라 1415전에는 돌대보다는 고정되어 있는 바리케이드를 추천드립니다.
만약 전설인데 굳이 3331을 가신다고 한다면, 1은 진화의 유산, 그리고 원한, 바리케이드, 돌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

거의 2시간 반을 쓴 것 같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혹시나 일개 유저의 의견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이렇게 남겨 봅니다.

그리고 기술스카우터는 물몸이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유산스카우터, 약코하지마세요. 제발 부탁드립니다.

그 어디서도 룬 없이 거의 상시 보호막을 적용할 수 있는 캐릭터 워로드빼고 거의 없는 걸로 압니다.

코멘트

코멘트(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