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킬 트리
트라이포드 1순위/2순위/1렙충분(검정) 으로 색깔을 나눴습니다.
운명의 부름 10 +
속행(3.날렵한 움직임/1.퀵 드로/1.연속 공격)
설명 : 20%로 너프먹어도 최고의 카뽑기입니다. 이녀석으로 딜을 뽑느니 카드를 한장이라도 더 뽑아서 황제로 때리는게 더 아플겁니다.
리턴 10 +
출혈(1.급소 노출/3.집중된 카드/2.노출된 어둠)
설명 : 쿨이 될 때마다 난사해서 출혈+치확시너지+치피증 3가지를 무한유지합니다.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카운터인 세렌디피티를 채용하여 추가로 보완해줍니다.
언리미티드 셔플 M +
영웅 질풍(3.퀵 드로/3.얼티밋 셔플/2.파멸의 폭풍)
설명 : 이번 패치로 사용할만한 서브딜링기입니다. 그러나 사용 시간이 길기 때문에 우선 순위가 이보크와 다크리저보다 후순입니다.
이보크 M +
풍요(1.빠른 준비/1.집속 마법진/1.분할 마법진)
설명 : 메인 딜링기입니다. 쿨마다 써주세요
다크 리저렉션 M +
압도(2.궤뚫는 일격/3.강렬한 카드/2.분노의 일격)
설명 : 메인 딜링기입니다. 쿨마다 써주세요. 룬은 취향입니다만 압도가 제일 무난한 것 같습니다.
플라워 10 +
질풍(2.격렬한 춤/3.밤에 피는 꽃/2.백 플립)
설명 : 이번에 패치먹었으나 셔플과 비슷한 이유로 주딜기로 쓰긴 아깝습니다.
스트림 10 +
속행(2.가속 스트림/3.다크니스 엣지/2.퍼펙트 스트림)
설명 : 치명타율 27.6%를 주는 완소 스킬입니다. 달 카드 사용 시엔 상시로 써주시면 되고, 그 외에는 이보크나 다크리저 쿨 타임이 돌아올 즈음에 써주시면 좋습니다.
세렌디피티 10 +
질풍(1.궤뚫는 일격/1.우연한 일격/2.의도된 우연)
설명 : 서브딜 + 카운터. 아낌없이 카운터 패턴일 때 사용하면 됩니다. 혹은 4중첩일 때 터트려주면 서브 딜로 간간합니다.
궁극기는 1각(프리즈매틱 미러)를 추천드립니다.
6악은 궁딜까지 챙기려면 2각을 쓰셔도 좋습니다.
세팅
고신속(치명반지1개)과 극신속(모두 신속) 두 가지의 세팅이 있으며, 고신속의 경우엔 6악몽, 극신속의 경우엔 2지4악 또는 2악4지가 추천됩니다. 6지배는 포텐셜이 높지만 마나관리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 서머너 마나회복 슈르디가 있지 않는이상은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최소 3333은 원돌아황 고정이며, 이후 타격의 대가, 질량 증가, 저주받은 인형, 각성 등을 기호에 맞게 추가하시면 됩니다.
돌대 채용이기 때문에 이속40%가 되어야 풀효율 딜증 18%를 받아가며, 아드는 거의 상시유지 되기 때문에 치명타율 15% 공6%가 유지된다고 전제합니다.
공통적인 부분
-치명타율 : 스트림27.6% + 치적시너지10% + 아드15% = 52.6% + 재상카드 20% = 72.6%
기본적으로 52.6%를 가져가며 재상 사용 시 72.6%
-치명타 피해 : 리턴의 3트포 노출된 어둠으로 기본 77.5%. 추가로 다크 리저는 80%, 플라워는 135%의 치명타 피해가 추가가 됨.
스텟 + 세트효과
-고신속 + 6악몽
치명 700~800(25%~28%) + 신속 1350~1450(공이속23%~25%, 쿨감29%~31%)
ㄴ치명타율 : 기본 52.6% + 25% = 77.6%정도는 확보되며 재상 사용시 97.6%가 됨
ㄴ공이속 : 신속 23% + 악몽6세트 강끝마 15% = 약 40% 확보
ㄴ쿨감 : 신속 29% + 악몽6세트 강끝마 35%/40%/43% = 54%/57%/59.5% 쿨감
ㄴㄴ5레벨홍염 스킬 기준 58%/61%/63%, 10레벨 홍염 스킬 기준 63%/66%/67.6%
※달이랑 환희까지 감안하지 않은 수치
24초 쿨다운인 스트림 오브 엣지를 끝마 발동 시 8초 수준으로 끌어내립니다. 이는 5초지속+3초 치확증 버프를 끝나기도 전에 스킬을 사용해서 버프 무한유지를 시키며, 빠른 준비 5레벨 이보크의 경우 16*0.66 = 5.33초가량 되게끔 하는 이보크 난사가 가능하게 합니다. 대신 한방한방의 딜량이 낮습니다.
장점 : 세팅비가 낮아짐. 처음 유물단계 돌입할 때 좋은 성능을 내기 편함. 초심자 추천
단점 : 끝마 유지가 핵심이라 끝마 도중 별 카드가 뜨면 아덴 한자리가 봉인되는 수준이며, 마나 중독일 때 DPS가 많이 낮아짐. 달카드나 환희카드때 너무 남아도는 쿨다운.
-극신속 + 2지4악
치명 500~600 (18%~21.5%) + 신속 1650~1800 (공이속28%~31%, 쿨감 35.5%~39%)
ㄴ치명타율 : 기본 52.6% + 18% = 70.6%로 확보되며 재상 사용 시 90.6%가 됨
ㄴ공이속 : 신속 28% + 악몽4세트 끝마 12% = 약 40% 확보
ㄴ쿨감 : 신속35.5% + 지배2세트 내면의 각성 18% + 악몽 4세트 끝마 20%/22%/23% = 57%/58.7%/59% 쿨감
ㄴㄴ 5레벨 홍염 스킬 기준 62%/62.8%/63.3%, 10레벨 홍염 스킬 기준 66%/67%/67.4%
※달이랑 환희까지 감안하지 않은 수치
쿨감의 수치가 크게 차이는 안나지만 고신속6악에 비해서 조금 더 우위에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스킬 피해가 6악몽일때보다 끝마시 10% 더 높고, 마나중독때엔5%/8%/10% 씩 손해봅니다.
단, 마나중독일 때에도 내면의 각성 쿨감 18%가 건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이득이 더 큽니다.
단점으로는 내면의 각성 버프 관리 난이도가 추가됩니다. 또한 정비소궁 포함 각성기가 5회밖에 안되기 때문에 내면의 각성을 달고 때릴 수 있는 최대 시간이 10분이며, 각성기 또한 끝마나 달카드를 뽑았을 때 사용해야 120초 가까이의 궁극기 쿨다운을 가집니다.
- 극신속 + 2악4지
치명 500~600 (18%~21.5%) + 신속 1650~1800 (공이속28%~31%, 쿨감 35.5%~39%)
ㄴ치명타율 : 기본 52.6% + 18% = 70.6%로 확보되며 재상 사용 시 90.6%가 됨
ㄴ공이속 : 신속 28%
ㄴ쿨감 : 신속 35.5% + 내면의 각성 18% = 47%
ㄴㄴ 5레벨 홍염 스킬 기준 52%, 10레벨 홍염 스킬 기준 57.6%
※달이랑 환희까지 감안하지 않은 수치
쿨감을 조금 깎았지만 고품질 극신속에 10레벨 홍염까지 하면 60%까진 기본 확보하는 셋팅입니다.
그 외에 공이속 보충을 만찬이나 갈망세트효과 등으로 보충해야하므로 고점이 제일 높은 셋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점 : 높은 딜량. 6악몽에 비해 25%/28%/30%, 2지4악에 비해 15%/18%/20%나 되는 스킬피해의 차이
위의 두 세팅에 비해서 없다시피한 카드들이 효과가 좋아짐.
예를들어 광기, 유령이 보충해주는 공이속, 낮은 쿨감으로 인해 효율이 더 좋아지는 달, 환희, 운수 카드, 보다 낮은 치명타율로 재상, 도태의 효율도 올라갈 뿐더러 끝마 유지할 필요가 없어 별 카드를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심룬 채용 가능.
2지4악에 비해 궁횟수가 1회 더 높아 전투 지속력 상승
단점 : 파티 시너지와 카드 의존도가 높아짐. 단심궁이나 달궁을 써야 내면의 각성 유지가 가능 따라서 2지4악 끝마궁에 비해 약간 더 난이도가 높음.
보석
이보크/다크리저/셔플/플라워/세렌/황제
이보크/다크리저/셔플/플라워/스트림
각인
-고신속 + 6악몽
3333 : 원돌아황
3333+1/2/3 : 원돌아황 + 저or타or질
333331 : 원돌황타 + 질or저 + 아1
333332 : 원돌황타 + 질or저 + 아2
-극신속 + 2지4악
3333: 원돌아황 or 원돌황아2각1
3333+1/2/3 : 원돌아황 + 저or타or질 + 각1
333331 : 원돌아황타각1
333332 : 원돌아황타각2
-극신속 + 2악4지
3333: 원돌아황
3333+1/2/3 : 원돌아황 + 저2or타2or질2 + 각1
333331 : 원돌아황타각1
333332 : 원돌황타+질or저+아2
모자란 부분!
Q1. 부파 어케함?
A : 셔플 하나랑 파폭으로 합니다. 더 채워넣고 싶으시면 플라워를 빼고 쇄도 부파강화나 백플러쉬 백플립으로 부파챙기는것을 추천드립니다.
Q2. 무력화 어케함?
A : 이보크와 다크리저 만으로 웬만한 1인분은 거뜬합니다. 거기에 셔플과 1스택만 되도 터지는 세렌의 무력화 정도면 딜러치고는 꽤 준수한 편입니다.
Q3. 운명의 수레바퀴는 언제 씀?
A : 보통 이보크나 다크리저 중에 먼저 쿨이 오는 것에다가 쓰시면 좋습니다. 다만, 2지4악이나 2악4지의 경우 궁을 쓸 타이밍이라면 운수-궁으로 다음 내면의 각성 유지에 스트레스가 안되게 쿨을 없애 놓는 것도 저는 충분히 좋은 판단이라고 봅니다.
Q4. 끝마 유지 어케함?
A : 현재 극신속 황제트리가 마나 소모가 매우 극심한 편입니다. 이를 역으로 이용해서 끝마 끝자락에서도 스킬을 이어서 계속 쓰면 마나중독으로 바로 넘어가지 않고 연장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핵심은 별 카드를 쓰지 않는 것입니다. 끝마 도중에 별 카드가 나오면 사용하지 말고 한 칸만 사용하세요. 그리고 마나중독으로 넘어간 후에나 보스가 때릴 수 없는 긴 패턴을 사용했을 때 별 카드를 미리 털어둡니다.
Q5. 광대 카드 노하우가 있음?
A : 두 카드의 일부 조합에서는 고정된 경우를 외워서 판단합니다.
제후-광대 / 뒤운-광대 / 황제-광대-황제 / 환희-광대 / 운수-광대 / 제상-광대 / 도태-광대
위의 경우엔 무조건 광대는 후순으로 사용하며 광기, 유령, 달, 삼두사, 부식, 별 등에는 사용하지 않고 다음 카드 한장을 보고 다시 판단합니다.
로열 + 광대 조합이 가장 경우의 수가 많은데,
전 카드가 위의 고정조합 카드일 시 : 광대-로열
전 카드가 기억이 안나거나 구진 카드일 시
ㄴ 로열먼저 사용 - 로열에서 고정조합의 나머지 카드가 나옴(ex. 제후) : 나온카드-광대
ㄴ 로열먼저 사용 - 로열에서 구진 카드가 나옴(ex.광기) : 광대-구진카드-광대로 바꾼 로열
입니다. 기억하거나 신경쓰기 싫으시면 그냥 [로열-광대-로열로 나온카드-광대로 뽑은로열]이 가장 무난합니다.
Q6. 카운터 어케함?
A : 리턴으로 하면 운좋은거구요, 세렌디피티로 하는게 좋습니다.
Q7. 생존 어케함?
A : 신속이 높은 셋팅이라 무빙으로 피하시는 습관을 들이셔야합니다. 피면기가 포카드와 엣지를 빼고는 아예 없는 아르카나인지라 이미 맞고만 사는 아르카나는 다른 캐릭을 하러 떠났을 것입니다.
경직은 플라워로 버티는걸 제일 추천드립니다. 자매품 셔플도 있습니다.
Q8. 상태이상 어케함?
A : 셔플 2번째 트포 뇌격으로 인한 감전을 추천, 더 필요하면 다크리저의 3번째 트포를 중독으로 바꾸시면 없어진 공포가 다시 생깁니다. 세렌디피티의 2트포 우연한 강타의 기절도 있군요!
스트림 오브 엣지는 놔두세요. 스트림은 놔두라고!!
Q9. 2악4지인데 마나부족함. 어케함?
A : 다크 리저렉션 압도룬 -> 집중룬, 스트림 속행 -> 집중룬, 운명의 부름 1트포 날렵한 움직임 -> 정신 강화
단계별로 바꿔보고도 모자라면 단심을 잘 터트리고 계신지 점검을 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아! 단심은 스트림-셔플 조합이 가장 무난합니다.
Q10. 딜 어케함?
A : 스트림, 리턴, 운부, 이보크, 다크리저, 셔플, 플라워 다 쿨이 될때마다 써주면 됩니다.
우선순위를 정하자면 이보크>스트림>다크리저>리턴>운부>셔플 입니다.
리턴은 자버프 치피증을 봐가면서 꺼지면 다시 쓰면 되구요,
스트림, 리턴, 이보크, 다크리저, 운부 가 다 쿨일시에는 셔플 -> 플라워를 사용해줍니다.
셔플 사용 후 이보크나 다크리저가 쿨이 먼저 오면 플라워는 개나주고 무조건 이보크와 다크리저 쿨을 놀지 않게 해야합니다.
셔플 쓰고도 쿨이 다 돌고있을 시엔 플라워를 써주다가 다른스킬들이 쿨이 오면 플라워 다시 써서 터트려주고 바로 다른 스킬을 씁니다.(플라워 사용 도중에 다른 스킬을 그냥 사용하면 3트포 데미지가 안터집니다!)
간간히 4스택이 쌓이면 세렌으로 털어줍니다. 스트림 만으로 4스택이 되냐구요? 간간히 되기 때문에 간간히 써주시면 됩니다.
Q11. 보스가 이동을 너무 자주하는데?
A : 다른 파티원들도 같이 스트레스 받고 있을테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새로운 장판으로 새출발합시다.
이보크는 분할로 놔두십쇼. 분할로 놔두라고!!!
Q12. 카드는 뭘로낌?
A : 남바절12각 < 세구12각(비아 한정) < 세구18각 < 세구30각
암구빛은 선생님들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제가 답할 수준을 넘어섰네요
Q13. 스킬포인트 모자람 어케함?
A : 우리 내실이 모자란 저렙님들께는 세렌디피티를 슬며시 1렙으로 내려주시고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래도 모자라면 스트림을 7로 내리시면 1/7/10/10/10/10/10/10 인데 308 포인트거든요? 이것도 안되면 플라워의 레벨을 내려줍니다...
포인트가 남을 시 플라워10레벨 -> 스트림10레벨 -> 세렌디피티 10레벨 순으로 달성하시면 됩니다.
단, 55레벨과 60레벨이 넘어갔을 때 이보크와 다크리저렉션 2가지는 꼭 11레벨, 12레벨을 찍고 남은 포인트로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는 포인트를 셔플을 마스터하면 됩니다.
Q14. 룬이 없음 어케함?
A : 속행이 없으면 타워를 뛰세요. 질풍이 모자라면 가디언 토벌 단계별로 질풍룬 얻어오시구요..
출혈은 필보잡다보면 떠요. 풍요는 블루홀이나 파랑풍요(거심5개 or 영지교환) 쓰시구요.
압도는 페이튼 모험의서 30%입니다. 룬 난이도가 정말 쉬운 스킬트리에요 이거
룬이 모자라면 반성하고 얻어오세요.
Q15. 각인 어케 맞춤?
A : 황제 전각이 저렴합니다.(장당500골) 33333을 간다는 전제하에 황제를 제외한 나머지 2개 각인을 77돌이나 95돌을 깎으세요. 그리고나서 황제, 어빌스톤옵션 2개를 제외한 나머지 2개 중 하나를 영웅 각인서까지 읽으세요(9).
그러면 12 / 9 / 7 / 7 또는 12 / 9 / 9 / 5 가 되겠죠?
77돌의 경우 : 12+3 / 9+3+3 / 7+5+3 / 7+5+3 / 5+5+5 가 되게 세팅을
95돌의 경우 : 12+3 / 9+3+3 / 9+3+3 / 5+5+5 / 5+5+5 가 되게 세팅을 하면 됩니다.
어때요 참 쉽죠?
77돌과 95돌이 없다구요?
그럼 황제 말고 나머지 하나 각인을 전설까지 읽어주셔야 합니다.
가격은 장당 원(13000)>아(7777)>저=돌=타(6000)>질(2000) 입니다.
77돌을 원+아or돌로 하고 질12 황12 + 돌에서 없는 아or돌 중 1개를 5+5+5로 완성하시면 됩니다.
원한아드 돌이 가격이 좀 쎄니 원한돌대 돌을 추천하고 아드로 5+5+5맞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품질은 당연히 주머니 사정에 따라갑니다.
Q16. 아직 유물 장비가 없어요
A : 3티어 파랑+보라 장비면 악세 세팅도 안되는 거라 어떤 트리든 망가지게 되어있습니다. 그냥 긴 쿨다운으로 템포 낮춰서 연습한다 생각하고 그대로 쓰셔도 무난합니다. 단, 이보크의 첫번째 트포를 1.빠른 준비에서 2.정신 강화, 그리고 Q9에서 설명했듯이 악몽세트가 없으면 마나관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집중룬과 정신 강화 트포 채용을 적극 추천합니다. 그러면 한 사이클씩 돌리는 딜러가 되는데 이보크-스트림-리턴-다크 리저 - 운부 - 셔플 - 플라워 순으로 한 사이클을 돌리게 됩니다. 세렌디피티는 그냥 카운터를 위해 아껴두세요.
3티어 전설 장비의 경우 예정2 선택4를 추천드리며, 1415기준으로 각인 세팅이 되셨을 경우에도 똑같이 긴 쿨다운을 가지고 사용합니다. 각인이 미흡하실 경우 원돌황 3가지부터 333을 찍고 시작합니다. 유물 장비로 넘어갈 때 아드레날린 각인 3레벨을 추가해주시고, 33333 각인 작업을 하실 때 질량 증가 or 타격의 대가 or 저주받은 인형 중 1개를 추가해줍니다.
Q17. 카드는 어떻게 사용하는 지?
A : 각 카드별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제후 : 이보크나 다크리저 시전과 동시에 사용합니다. 이보크의 경우 천천히 하시면 뒤에 쓰는 셔플에도 묻기 때문에 좋습니다. 가급적이면 두 스킬 다 사용했을 때 써주셔야 좋습니다.
제상 : 이보크 터지기 전이나 다크리저 사용 전에 털어냅니다. 도태와 겹쳐서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운명의 수레바퀴 : 이보크와 다크리저 중 쿨다운이 먼저 올 때 운수카드를 쓴 뒤 사용합니다. 다른 스킬과 안꼬이게 주의하세요.
도태 : 제상과 사용 방법이 비슷합니다. 하지만 도태로 인한 치피증이 이보크에 더 유용하기 때문에 이보크 위주로 사용해줍니다. 제상과 겹치게 사용하진 말아주세요.
황제 : 제후-제상-도태가 있을 경우 제후-황제, 제상-황제, 도태-황제를 사용합니다.
위에서 설명했듯 제후, 제상, 도태 쓰는 타이밍이 이보크와 리저렉션을 동반하므로 같은 원리입니다.
무난하게 스트림-리턴 묻혔을 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별 : 2지4악이나 6악의 경우 위에 서술했듯이 마나 중독 발동시에 사용합니다. 2악4지나 유물장비가 없는 경우엔 마음껏 털어내셔도 좋습니다.
환희 : 이보크 스트림 다크리저 중 두 가지 이상 사용한 직후 환희를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스트림과 다크 리저에 쓰는게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광대 : Q5를 참조해주세요.
로열 : 보통 광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쪽 카드를 소진한 후 사용합니다.
달, 유령, 광기, 부식, 삼두사 : 나오자마자 사용합니다.
Q18. 황후보다 나은 점이 있나?
A :
1.스택트에 구애를 받지 않습니다. 이 점으로 인해 1:1로만 딜을 잘뽑는 구조가 아니라 쫄처리나 기믹처리 및 무력화 패턴 때 신경쓸게 많이 줄어듭니다. 특히 쿠크 공이나 인형 처리 부분에서도 이보크 2장만 깔고 패턴을 피할 수 있는 쾌적함은 말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황후는 4스택 쌓기와 레인이 아니면 근접해서 스택트를 터트려야하기 때문에 광기게이지를 피해가기 어렵습니다.
※사실 황제 카드 하나면 잡몹 정리는 알카가 최고입니다
2. 아르카나의 하이리스크 였던 근거리 딜이 원거리 딜러로 바뀝니다. 황후가 시크릿가든, 세렌디피티, 포카드의 근접성 때문에 붙어서 딜했던 반면 황제는 이보크, 다크리저, 스트림, 리턴, 셔플, 운부 주력 6개 모두 원거리이기 때문에 근접딜러가 놀만한 패턴에서도 딜이 가능합니다.
3. 카드수급이 좋습니다. 이번 패치에서 황후는 운부를 떼는것을 고려할 정도로 카드수급력이 떨어졌는데요, 황제는 신속이 높기 때문에 여전히 운부를 자주 던지고, 풍요-이보크는 카드 한장을 거의 확정으로 주는 아덴수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알카가 재밌는 이유가 뭡니까! 아덴의 뇌지컬! 카드 못 잃는 분에게 강추합니다.
4. 공이속이 높아 쾌적합니다. 이 부분은 메인스텟이 신속인 캐릭들이 전부 해당하지만 극특을 가던 거북이 황후때와는 여유가 다릅니다.
Q19. 황후보다 안 나은 점이 있나?
A :
1. 스킬 사용 중의 이동력이 떨어집니다. 황후의 경우 스킬 회피를 스택트기로 이동하면서 스택 쌓는게 가능하지만 황제는 이보크-스트림-리턴-다크리저-셔플 의 과정 중에 움직일 수 있는건 스킬 사이사이의 무빙 뿐입니다. 저는 이동하면서 딜을 할수 있는 점을 높게 사는 편이기 때문에 단점으로 취급합니다.
2. 최대 순간 딜이 황후가 더 높습니다. 극특화의 특징상 심판+도태 or 심판+뒤운을 동반한 2각 레인 시가 세렌 심지어 이번에 추가된 눈속임 포카까지 하면 딜몰아서 찍고 싶으신 경우엔 황후보다 불리합니다.
3. 황제의 스트림 의존도가 높습니다. 황후는 루인기에 치명타 확률 증가 트포가 달려있는 반면 황제는 스트림에게 치명타율 30%가량을 의존합니다. 스트림을 제외한 기본 치명타율은 40~50% 사이로 70~80%일 때와는 노란글씨가 뜨는 수준이 다릅니다. 물론 우리에겐 제상 카드가 있습니다.
Q20. 예리한 둔기는 별로임?
A : 별로입니다. 이미 리턴으로 치명타 피해를 77.5%나 먹고 들어가는 아르카나이기 때문에 예리한 둔기보다 다른 16% 딜각인이 더 기대치가 높습니다.
치명타 피해는 치명타율과 기존 치명타피해에 따라 효율이 다릅니다.
일반 딜러(치명타60%가정) = 100%딜*0.4(노치명) + 200%딜 * 0.6(치명) = 40%+120% = 160%의 딜입니다.
여기서 일반 딜각인을 사용하면 160% * 1.16 = 185.6%가 되죠.
기존 기대 딜량인 160%에서 185.6%가 되었습니다. ( (185.6%-160%) / 160%) = 딱 16%딜이 올랐습니다.
하지만 예둔을 채용하면 치피가 200%에서 250%로 상승합니다.
100%딜*0.4(노치명) + 250%딜*0.6(치명) = 40%+150% = 190% 입니다.
185.6%보다 190%가 더 높죠? 예둔이 좋습니다.
치명타율을 80%로 잡고 재계산하면 20%+160% = 기존 180%, 20%+200% = 220% 입니다.
180% * 1.16 = 208.8%이지만 예둔채용 시 220%네요. 치명타율이 올라갈 수록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그러나 기본 치피가 77.5%가 있으면 상황이 다릅니다.
알카유저(치명타60%가정) = 100%딜*0.4(노치명) + 277.5%딜*0.6(치명) = 40%+166.5% = 206.5%가 기존 딜입니다.
여기서 일반 16% 딜각인을 사용하면 206.5%*1.16 = 239.54%지만
예둔을 사용한 계산식은 100%딜*0.4(노치명) + 327.5%딜*0.6(치명) = 40%+196.5% = 236.5%입니다.
239.54% > 236.5%지요?
치명타율 80%로 가정해서 계산해야 20%+222% = 242%이고, 242%*1.16 = 280.72%입니다.
예둔 사용 시 20%+262 = 282%로 겨우 1.28% 이득을 봅니다.
심지어 이 계산값은 예둔의 확률적인 공격력 감소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예둔의 효율에 *0.98을 곱하면 282%*0.98 = 276.36% 으로 기대값이 더 떨어집니다.(10%확률로 80%의 피해를 입힘 = 100*0.9 + 80*0.1 = 0.98)
다른 각인이 여의치 않아서 채용하는것이면 몰라도(ex.원예돌이 77이라 셋팅비를 저렴하게 하고 싶어서)
고를 수 있는 상황에서 예둔을 고려하는건 좋지 않습니다.
77.5% 치피증 때문에도 효율이 떨어지는 와중에 다크 리저는 트포로 80%치피증, 플라워는 135% 치피증, 심지어 도태일때도 50%치피증이 있는데 예둔의 딜 상승량이 많이 떨어지겠죠? 가급적이면 채용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코멘트
코멘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