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 렝가

| 어흥tigger | 조회: 5,305 |

수정중

Runes
정복자
먼저 정복자는 탱커나 지속딜로 딜교를 해야하는 마오카이, 오른, 뽀삐 등이 나올 때 드는 룬입니다. 대체적으로 상대가 스킬이 빠지면 딜로스가 생기는 챔피언과 싸울 때 지속적으로 정복자 스택을 쌓으면서 딜을 우겨넣을 때 듭니다.

주 룬으로 Conqueror(정복자)정복자, Triumph(승전보)승전보, LegendBloodline(전설: 핏빛 길)핏빛 길,LastStand(최후의 저항)최후의 저항을 가는데 지속적으로 싸우면서 스택을 쌓기 좋은 정복자와 상대 정글의 갱이 왔을 때 2:1 역관광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승전보, 지속적인 싸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피흡이 있는 핏빛 길, 그리고 지속적인 싸움으로 체력이 낮아질수록 강한 데미지를 넣게 도와주는 최후의 저항을 들어줍니다. 여기서 상대 조합에 cc기가 많다면 핏빛 길 대신 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강인함을 들어줘도 됩니다.

부 룬으로 BonePlating(뼈 방패)뼈방패, Revitalize(소생)소생을 들어주는데 뼈방패는 스킬만 버티면 딜로스가 생기는 상대로 드는 룬이라 뼈방패로 최대한 딜을 씹어먹기 위해 들고 소생은 렝가의 w와 가장 어울리는 룬이라 들어줍니다. 여기서 상대방의 탑이 퀸이나 티모와 같은 원거리 견제가 심한 상대로는 소생 대신 SecondWind(재생의 바람)재생의 바람 들어주시면 됩니다.
---------------------
감전
감전은 퀸, 티모, 베인 등과 같이 물몸인 상대이거나 상대방에 물몸조합이 많을 때 순간적인 딜로 녹여버릴 때 사용합니다. 

주 특성에는 Electrocute(감전)감전, SuddenImpact(돌발 일격)돌발 일격, EyeballCollection(시야 수집)시야 수집, UltimateHunter(궁극의 사냥꾼)궁극의 사냥꾼으로 3타를 쉽게 넣을 수 있는 렝가와 어울리는 감전과 부쉬와 궁으로 도약해야하는 렝가와 어울리는 돌발 일격은 거의 고정으로 넣어줍니다. 그리고 시야 수집과 궁극의 사냥꾼은 취향에 맞게 들어주시면 되는데 저는 궁극의 사냥꾼을 이용한 빠른 궁쿨로 로밍을 다니면서 시야를 먹으면서 시야 수집을 쌓는 식의 게임을 플레이 하기 때문에 이렇게 들었습니다.

부 룬으로는 Triumph(승전보)승전보, CoupDeGrace(최후의 일격)최후의 일격으로 승전보로 인한 딸피생존과 최후의 일격의 낮은 체력 피해량 증가로 인한 순삭딜이 가장 어울리다고 생각하여 들었습니다. 하지만 라인전의 난이도에 따라 부 룬에 정밀이 아닌 마법이나 영감쪽을 들어서 쿨감을 줄이거나 이속을 올리는 등의 방법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기민한 발놀림
기발은 블라디미르, 볼리베어 등과 같이 라인 유지력과 치고 빠지면서 갉아먹어야하는 상대로 드는 룬입니다.

주 룬으로는 FleetFootwork(기민한 발놀림)기발, Triumph(승전보)승전보, LegendBloodline(전설: 핏빛 길)핏빛 길, LastStand(최후의 저항)최후의 저항을 들고 정복자와 마찬가지로 핏빛 길을 강인함으로 바꿔도 됩니다. 여기서 승전보대신 Overheal(과다치유)과다치유를 들어도 되는데 초반 스택쌓을 때 기발로 인해 발동시킬수 밖에 없는 렝가이고 후반 기발의 피회복량이 높아 과다치유를 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개인적으로 과다치유쪽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부 룬도 정복자와 마찬가지로 BonePlating(뼈 방패)뼈 방패 Revitalize(소생)소생을 베이스로 정복자에서 설명한 상황에 맞게 SecondWind(재생의 바람)재생의 바람을 들어주면 됩니다.
---------------------


착취의 손아귀
착취는 Fiora(피오라)피오라, Renekton(레넥톤)레넥톤, Poppy(뽀삐)뽀삐 등과 같이 라인전이 많이 빡센 상대로 가는 룬으로 착취스택으로 한번에 딜교를 넣어주면서 착취로 인한 영구체력과 강한 라인전으로 버티면서 킬각을 노리는 룬입니다.

주 룬으로는 GraspOfTheUndying(착취의 손아귀)착취, Demolish(철거)철거, BonePlating(뼈 방패)뼈방패, Revitalize(소생)소생으로 착취와 뼈방패로 강한 라인전을 가져가면서 철거로 포탑을 최대한 빨리 밀면서 미드로밍이나 정글 백업을 상대방보다 빨리 해줍니다. 그리고 렝가와 w와 어울리는 소생을 들어줍니다. 뼈방패같은 경우에는 상대가 원거리같은 견제가 심한 챔피언일 경우 SecondWind(재생의 바람)재생의 바람을 들어주면 됩니다.

부 룬으로 라인전이 강한 착취에 힘을 주기 위해 지배쪽을 들어줍니다. 그 중에서 렝가의 패시브와 잘 어울리는 SuddenImpact(돌발 일격)돌발 일격과 궁쿨을 빠르게 돌려서 로밍과 백업을 다닐 수 있는 UltimateHunter(궁극의 사냥꾼)궁극의 사냥꾼을 들어줍니다. 이 두개 말고도 취향에 맞게 다른 특성을 들거나 정밀쪽을 들어도 됩니다. 하지만 저는 강한 라인전이 목적인 착취는 지배랑 가장 맞다고 생각합니다.
---------------------
난입
난입은 세트, 다리우스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오래 싸우면 안되고 치고 빠지면서 다리우스의 q, 세트의 w 등과 같은 주요 스킬들을 빠른 이동속도로 피해줘야 할 때 들어줍니다. 

주 룬으로는 PhaseRush(난입)난입, NimbusCloak(빛의 망토)빛의 망토, Transcendence(깨달음)깨달음, Scorch(주문 작열)주문 작열을 들어줍니다. 난입같은 경우에는 평타 혹은 스킬로 3타를 때리면 발동되는데 렝가 같은 경우 빠르게 터트릴 수 있어서 상대방이 딜을 넣기전에 빠른 콤보를 넣고 난입을 터트리면서 빠른 속도로 뺄 수 있습니다. 그러면 Darius(다리우스)다리우스Sett(세트)세트 같은 경우 빼는 도중에 끌어 당길 수 있는데 난입 무빙으로 피하거나 끌리더라도 난입속도가 워낙 빨라서 맞더라도 w로 회복하면서 이기적인 딜교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빛의 망토와 깨달음 주문 작렬을 들어주었는데 상황에 따라 NullifyingOrb(무효화 구체)무효화 구체나 Celerity(기민함)기민함, AbsoluteFocus(절대 집중)절대 집중, 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물 위를 걷는자를 올려도 되지만 상대가 AP일 때 무효화 구체를 들어주는 것은 괜찮으나 나머지 세 개는 웬만하면 들어주지 않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난입을 위해 마법쪽을 들어서 다른 룬에 비해 라인전이 약한 렝가라 주문 작렬을 이용한 딜교와 깨달음을 이용한 쿨감이 나름 쏠쏠하기 때문에 이 두 개는 웬만하면 고정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취향에 맞게 들어주는게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바꾸시더라도 무관합니다.

부 룬으로는 BonePlating(뼈 방패)뼈 방패와 Revitalize(소생)소생을 듭니다. 여기서도 상대방이 원거리이면 뼈 방패 대신 SecondWind(재생의 바람)재생의 바람을 들어줍니다. 그리고 부 룬에서 결의가 아닌 정밀, 지배를 들어주셔도 되나 애매하게 딜을 추가하는 것보다 어차피 라인전을 이기기 힘든 Darius(다리우스)다리우스Sett(세트)세트 상대로 드는 룬이기 때문에 결의로 좀 더 덜 아프게 치고 빠지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결의를 추천 드립니다.
---------------------
추가 룬능력치
추가 룬능력치는 취향에 따라 OFFENSE(공격)공격속도 하나와 OFFENSE(공격)적응형 능력치 또는 OFFENSE(공격)적응형 능력치 두개를 들어주시고 방어는 상대방에 따라 FLEX(유연)방어 또는 FLEX(유연)마법저항력을 들어주셔도 됩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사실 스펠은 웬만하면 Teleport(순간이동)텔, Flash(점멸)점멸로 거의 고정이며 감전이나 라인전을 빡세게 가려면 Ignite(점화)점화를 들어도 괜찮습니다. 

그 밖에 Ghost(유체화)유체화나 Exhaust(탈진)탈진을 들어보았으나 텔과 점멸, 점화만큼 좋은 스펠은 없는 거 같습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콤보

 수정중

스킬 활용 팁

 수정중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굶주린 히드라
    공격 - [대미지]

일단 렝가는 템트리를 매우 유동적으로 갈 수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상황 두 가지로 나누면 일반적인 상황탱커가 많을 경우로 나뉘는데 이 두 상황에 따라 히드라 템트리 또는 몰왕 템트리를 타게 됩니다.

먼저 일반적인 상황의 경우에는 Ravenous Hydra(굶주린 히드라)히드라 템트리를 가는데 Ravenous Hydra(굶주린 히드라)히드라 -> Death's Dance(죽음의 무도)죽음의 무도 를 우선적으로 올려줍니다. 그리고 상황에 맞게 탱템을 둘러주시면 됩니다. 히드라 템트리 같은 경우 강한 타이밍이 티아맷 -> 히드라 -> 죽음의 무도 순으로 오는데 죽음의 무도가 나온 시점부터 동일선상에서는 웬만한 왕귀 챔프가 아닌 이상 1:1에서 대부분 이기거나 버틸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게 탑 렝가는 사이드를 위주로 돌면서 사이드로 오는 상대를 압박하면서 궁으로 합류하면서 짜르거나 한타 어그로 핑퐁을 통한 플레이를 해줘야하기 합니다. 그래서 탱템을 둘러줄 때 사이드에 어떤 챔피언이 올지 그리고 그 챔피언 올 때 자신이 이길 수 있는지, 애매하거나 질거 같다면 그 챔피언에 맞는 탱템을 둘러주면서 1:1로 사이드를 버티기라도 해야 합니다. 만약 1:1로는 압살하거나 이길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면 전체적인 상황에 맞게 탱템을 둘러주시면 됩니다. 괜히 사이드가 밀리는데 전체적인 상황에 맞춰서 가려다가 사이드도 밀리고 한타도 지는 상황이 벌어져서 상대방한테 운영당하면서 렝가는 힘도 못쓰고 게임을 져야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그 다음 탱커가 많을 경우 Blade of the Ruined King(몰락한 왕의 검)몰락한 왕의 검 템트리를 가는데 Blade of the Ruined King(몰락한 왕의 검)몰락한 왕의 검 ->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양날의 도끼를 우선적으로 가줍니다. 몰락 템트리 같은 경우 강해지는 타이밍이 몰락이 나왔을 때 강해지는데 몰락에 붙어있는 체력퍼뎀으로 탱커한테 데미지가 살벌하게 들어갑니다.
그리고 몰락 이후 블클을 가주거나 탱탱하게 가야하면 탱템을 가주면서 상황에 맞게 탱템이나 딜템을 올려주시면 되는데 이것도 히드라 템트리에서 설명해드렸듯이 우선적으로 사이드 상황을 보고 그 다음 전체적인 상황을 보면 템트리를 가주시면 됩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다리우스
다리우스
일라오이
일라오이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위에 두명 제외하고는 룬을 적절하게 맞춰서 가면 수월하게 상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수정중

 

초반 운영법

 

 수정중

중반 운영법

 수정중

 

후반 운영법

 

 수정중

팀파이트시 역할

 

 수정중

챔피언별 대응법

 

 수정중

마치며

 수정중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0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