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에 선 OP, 신드라 - 5.19 부활기념 공략 개편

23 / 33 | 아이콘 YuBis | 댓글: 27개 | 조회: 93,541 |
시즌4에서 신드라가 재평가되며 이제는 정상급 OP자리에 올라섰습니다.

이제 시즌5가 되었으니, 다시 한번 공략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명인 유비의 두번째 공략, 신드라!

지금 시작합니다!



자매품으로 카서스 공략도 있습니다.
* 이 공략은 구글 크롬에 맞춰 작성된 공략으로
타 브라우저 사용 시 폼이 깨져서 보일 수 있습니다.

2013.12.02 1차 수정 - 장신구 변경
2013.12.24 2차 수정 - 버그 픽스에 따른 공략 수정
2013.12.29 3차 수정 - 야스오 대처법 추가
2014.01.17 4차 수정 - BGM수정, 망령 템트리 추가
2014.01.19 5차 수정 - 그라가스 대처법 강화
2014.01.23 6차 수정 - 직스 대처법 강화
2014.01.24 7차 수정 - 한타 시 역할 추가
2014.01.26 8차 수정 - 다이아 달성, 이미지 및 제목 수정
2014.01.28 9차 수정 - 아이템트리 대폭 수정, 리븐 대처법 강화, 스킬 선마에 대한 코멘트 추가, 도란검 스타트 추가
2014.02.03 10차 수정 - W선마 코멘트 수정
2014.02.10 11차 수정 - 하위티어 공략 수정
2014.02.12 12차 수정 - 애니비아 대처법 추가
2014.02.20 13차 수정 - 룰루 대처법 추가
2014.02.28 14차 수정 - 제라스 리메이크 기념 대처법 수정
2014.03.01 15차 수정 - 오리아나 대처법 추가 및 챔피언별 대응법 정비
2014.03.03 16차 수정 - 모르가나 대처법 강화
2014.03.07 17차 수정 - 직스 대처법 강화
2014.03.24 18차 수정 - 녹턴 대처법 추가
2014.03.25 19차 수정 - 카운터픽 정보 추가
2014.03.26 20차 수정 - 채널
2014.04.13 21차 수정 - 벨코즈 대처법 추가 및 그라가스, 카사딘 대처법 수정
2014.04.15 22차 수정 - 챔피언별 대처 영상 추가 시작
2014.04.21 23차 수정 - 템트리 살짝 변경
2014.05.01 24차 수정 - 카운터픽 수정
2014.05.13 25차 수정 - E+Q 버그 픽스에 따른 공략 수정
2014.06.24 26차 수정 - 다이아3 달성
2014.06.27 27차 수정 - 르블랑 너프에 따른 공략 수정
2014.07.02 28차 수정 - 케일 너프에 따른 공략 수정
2014.07.04 29차 수정 - 다이아2 달성
2014.07.11 30차 수정 - 다이아1 달성
2014.07.13 31차 수정 - 카타리나 공략 강화, 카운터픽 수정
2014.08.09 32차 수정 - 추가공략 한글이름 추가
2014.09.05 33차 수정 - 여눈 템트리 삭제
2014.10.05 34차 수정 - 모렐로 템트리 수정

2014.12.06 35차 수정 - 시즌5 개정(BGM 삭제 및 기타 개편)
2014.12.07 36차 수정 - 가독성 개선
2015.01.24 37차 수정 - 신드라 밸런스 패치와 그에 따른 코멘트(최하단 첨부)
2015.02.12 38차 수정 - 뒤늦은 5.2패치 대응 E수정
Runes
  • 상급 마법 관통력 표식
    마법 관통력 +0.87
    X 9
  • 상급 방어력 인장
    방어 +1
    X 3
  • 상급 체력 인장
    체력 +8
    X 5
  • 상급 성장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문양
    레벨당 쿨감소 -0.092%
    X 6
  • 상급 마법 저항력 문양
    마법 저항력 +1.34
    X 3
  • 상급 이동 속도 정수
    이동 속도 +1.5%
    X 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마법 관통력
    +7.83
  • 방어
    +3
  • 체력
    +40
  • 쿨감소
    -9.936%
  • 마법 저항력
    +4.02
  • 이동 속도
    +4.5%

누구보다 빠르게, 난 남들과는 다르게
보통의 신드라는 왕룬에 주문력을 박죠.

하지만 저는 왕룬에 이동속도를 달아 추노 및 도주가 쉽도록 하였습니다.

신드라의 스킬들 특성상, 카이팅이 굉장히 편한 축에 속하기 때문에

이동속도 룬으로 엄청난 장점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 신드라는 미드에서의 폭딜보다는 유틸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이렇게 룬을 듭니다.

노랑룬에는 방어룬으로 방어력 25를 맞추고, 체력룬으로 체력을 500으로 맞춥니다.

파랑룬에는 마법 저항력과 주문력룬 5개를 박아줍시다.

마법 저항력을 전부 박으셔도 물론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왕룬에의 주문력이 조금이라도 아쉽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주문력을 끼셔도 무관합니다.

-vs. AP

이 룬은 위에 적어둔 룬입니다. 보통 적 미드가 AP일때 들어줍니다.

- vs. AD

이 룬은 AD를 상대하는 룬입니다.

일단 마저를 없애고, 대신 주문력을 조금 더 박았습니다.

또한 노랑룬에는 체력을 없애고 방어력을 박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빨강에 방관을 들고오는 미드 AD들과 조금 더 쉽게 라인전을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150922 추가

룬 세팅을 변경하였습니다.

파랑 룬에 성장쿨감을 착용하여, 후반 기준 쿨감이 35%가 됩니다.

어짜피 초반 딜이 상당히 약해졌기에,

이젠 최소한의 견제만으로 라인전을 풀어나가고 중후반은 도모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모든 주문력룬을 제거하고, 대신 쿨감룬을 박아 후반에 궁극기와 적군 와해를 좀 더 자주 쓸 수 있도록 합니다.
마스터리 Mastery
흉포
1
0
4
0
0
0
3
0
0
0
1
3
0
0
책략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결의
0
3
3
0
1
0
1
0
0
0
1
0
0

1. 21 OFFENCE
공격적인 특성을 위해, 공격에 21개의 포인트를 투자합니다.

적극적인 견제 및 후반 원콤을 위하여 양날의 검은 필수.

쿨타임 감소가 매우매우매우매우 중요한 신드라에게 마술은 꿀특성에 속하죠.

정신력과 비전 연마를 찍어 주문력을 적게 올려주는 룬에 대한 단점 보완.

대마법사는 신드라의 후반을 더욱 더 강력하게 만들어줍니다.

처형인은 원콤 누커에게 정말 좋은 특성.

위험한 게임은 생존력을 높여줍니다.

비전 검은 주문력이 높고 평타모션이 좋은 AP누커 및 딜러들이 좋아하는 특성이죠.

빨강룬에 쌍관, 특성도 쌍관! 강력한 일격은 무조건 3레벨!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파괴를 찍어서 21개를 오펜스에 투자합니다.


2. 9 UTILITY
어느 정도의 보조를 위해, 유틸에 남은 9개의 포인트를 투자합니다.

왕룬도 이속, 특성도 이속! 재빠른 발놀림에 3포인트를 투자.

마나소모가 매우 심하므로 명상에 3포인트. 마나 회복 옵션은 성배와의 시너지도 좋습니다.

연금술사-요리의 대가로 점화로 아슬아슬한 킬을 기대하는 적을 실망시킬 수도 있습니다.

소환사의 통찰력에 1포인트를 투자하여 쿨타임이 긴 편인 서머너 스펠의 쿨타임을 줄여주는게 좋겠죠?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저는 보통은 95% 이상 이렇게 듭니다.

아마 다른 분들은 대부분 점화를 드실거예요. 그러나 전 텔포가 더 좋더라구요.

게임이 끝나고 KDA를 보면 언제나 혼자 킬을 엄청 쳐먹었는데도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텔포를 들면 로밍이 한층 더 수월해지며 봇라인을 함께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죠.

텔레포트의 존재만으로 적 봇라인은 라인을 함부로 밀 수 없게 됩니다.

Flash(점멸)Ignite(점화) : 두번째로 추천하는 스펠입니다. 적이 6렙이 되면 엄청 강해지거나, 근접 챔피언일 경우에는 점화를 들어 2~3렙 킬각을 손쉽게 노려볼 수 있습니다.

Flash(점멸)Exhaust(탈진) : 탈진 또한 나쁘지 않습니다. 탈진은 적과의 맞다이 상황 시 적의 마저를 감소시켜주며,
또한 적이 가하는 데미지도 감소시켜줍니다. 마저 10은 상당히 큰 수치이고 후반에도 상당히 쓸만한 스펠이죠.

Flash(점멸)Cleanse(정화) : 적에 Fiddlesticks(피들스틱)Rammus(람머스)이런놈들이 있을때 들어주면 좋습니다.


+추가

낮은 티어에서는 봇에 자신의 듀오가 있지 않은 이상은 그냥 Ignite(점화)들어주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콤보

신드라의 스킬 콤보는 말로는 생각보다 간단한 편입니다.


일단, 스킬 콤보가 약 3종류정도 있습니다.


1.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

가장 대표적인 콤보입니다. 2개의 구체를 생성하여 총 5개의 구체로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사용합니다.

적이 쫄보라면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선에서 점멸을 뺄 수도 있습니다.


보통 적이 반피정도일때 충분히 원콤을 낼 수 있는 콤보입니다.





2.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평평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


적 피가 반피보다 많을 때 사용합니다.


신드라의 폭딜은 가히 어마어마할 정도이기 때문에,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를 맞고도 보통은 적이 방심하여 점멸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때 평타를 좀 섞어준 뒤 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로 마무리지어주시면

5~6구체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을 맞은 적은 최소 점멸 및 킬까지 따낼 수 있습니다.


적이 점멸을 빼면 그 시점에서 이미 성공입니다.




3. Dark Sphere(어둠 구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


적이 자신과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사용합니다.

첫번째 Dark Sphere(어둠 구체)는 적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주변의 미니언에게 사용하여


'나는 너에게 공격을 가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인식을 적에게 심어줍니다.

그 뒤 그 공을 잡아 사거리가 매우 긴 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로 내리쳐 슬로우를 걸어준 후에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스턴, 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로 마무리합니다.

5~6구체의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을 맞은 적은 매우 아파할 겁니다.



스킬, 어떤것을 선마해야 하는가?

스킬 선마에 관해 말이 많습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Force of Will(의지의 힘)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어떤 순서로 마스터해야 하는지에 따른 사람들의 의견차이가 극명히 갈리는데,


그에 대한 제 의견을 어느정도 제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Dark Sphere(어둠 구체)


제가 애용하고, 또한 가장 널리 알려진 선마트리입니다. 거의 99% 이상은 이것을 선마하는것이 사실 정석입니다.

이 트리의 장점은 Dark Sphere(어둠 구체)를 빠르게 마스터하며 Transcendent(초월)의  데미지 15% 증가효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 것과

짧은 Dark Sphere(어둠 구체)의 쿨타임을 이용하여 많은 견제를 넣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두번째로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마스터하여 쿨타임을 줄임과 동시에 슬로우율을 빠르게 높임으로써


추노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을 꼽자면, 적이 Lux(럭스)처럼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어 쉽게 사거리를 내주지 않거나,

Kayle(케일)처럼 맞딜 시 자기가 더 아픈 경우엔 딜교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Force of Will(의지의 힘)


Dark Sphere(어둠 구체)보다 우월한 사거리와 높은 데미지를 이용하여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주 딜로 삼고,

Dark Sphere(어둠 구체)는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위한 보조딜로 삼는 스킬트리입니다.



이 스킬트리는 로밍을 가거나 갱호응을 할때 슬로우율을 극대화시켜 성공확률을 높여줍니다.

그러나, Force of Will(의지의 힘)는 Dark Sphere(어둠 구체)보다 쿨타임이 2배정도 길고 마나소모도 더 크기 때문에 마나가 빠르게 마르고


그 때문에 라인전 단계에서 딜로스가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적이 Lux(럭스)Orianna(오리아나)같이 스킬에 쉴드가 있다면 사용하기 좋습니다.

가령, Dark Sphere(어둠 구체)선마 스킬트리를 탈 경우 최고의 데미지를 뽑아주기 위해서는 Dark Sphere(어둠 구체)를 먼저 깔아준 뒤

Dark Sphere(어둠 구체)쿨타임이 돌아왔을 때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로 딜교를 해줘야 최상의 딜을 뽑을 수 있으나, 

Force of Will(의지의 힘)선마를 한다면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Dark Sphere(어둠 구체) OR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Dark Sphere(어둠 구체)는 스턴넣는 용도로만 사용하여

즉발스턴을 걸어준 뒤에 바로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꽂아버려 파워풀한 데미지를 입힐 수 있기에


스턴 각 재기 힘드신 초보자들분께는 더욱 추천드리는 스킬트리입니다.


3.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


가장 난이도가 높은 스킬트리로써,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못맞춘다면 정말 죽도 밥도 안되는 스킬트리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Dark Sphere(어둠 구체)다음으로 두번째로 마스터하는건 어느정도 추천드리나, 절대로 선마는 하지 마세요.


쿨타임도 정말 길고 솔직히 다른 스킬들에 비해 메리트가 너무 적습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로 적을 맞추면 거의 무조건 Force of Will(의지의 힘)데미지는 받습니다.

따라서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선마를 하느니 Force of Will(의지의 힘)선마를 하세요.


스킬 활용 팁

 1. Transcendent(초월)


각각의 스킬을 최고 레벨까지 찍을 시, 각 스킬에 추가 효과를 부여해주는 패시브 : 초월 입니다.

아주 괴상한 패시브입니다. 레벨 9가 되기 전엔 패시브가 없는것과 다름없죠.

라이엇에서 아마 이 패시브를 각각의 스킬에 흡수시키고, 새로운 패시브를 구상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는 챔피언에게 가하는 피해가 15% 증가하고, Force of Will(의지의 힘)는 슬로우 지속 시간이 33% 증가하며,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는 폭이 2배가 되고,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은 사거리가 75 증가합니다.

처음 신드라가 나왔을 때, 이 패시브에는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에 대한 추가 효과가 붙어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후반 대치 상황때 적 딜러를 무는 역할을 해야 하는 신드라가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쓰려면 너무 적에게 깊숙히 들어가야 해서 픽률 및 승률이 저조하자, Transcendent(초월)에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사거리를 증가시켜주는 내용을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이 패시브 때문에, 신드라가 강력해지는 타이밍은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배우게 되는 6레벨, Dark Sphere(어둠 구체)가 5레벨을 찍는 9레벨,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을 마스터하는 16레벨 총 3번입니다.



변경 내역


2015.09.16

  • 성장 마나 50->63

  • 2. Dark Sphere(어둠 구체)


    신드라의 메인 스킬인 Q : 어둠 구체 입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로 소환된 구체는 신드라의 다른 스킬들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모든 스킬의 가장 기초가 되는 스킬입니다.


    이 스킬의 특징을 정리해보자면 이렇습니다.


    - 이 스킬은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맵의 중앙으로 이동을 찍어둔 뒤 중간에 Dark Sphere(어둠 구체)를 사용한다면 계속 이동하며 해당 지점에 Dark Sphere(어둠 구체)가 사용됩니다.


    이 스킬은 이동 모션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며, 때문에 카이팅에 매우 유용합니다.

    Karthus(카서스)의 Lay Waste(황폐화)와 비슷하게 시전 후 약 0.5초 후에 데미지가 들어가며 해당 위치에 구체가 생성됩니다.

    - 순수하게 쿨타임 감소만 사용하면 Dark Sphere(어둠 구체)는 맵에 한번에 3개까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변경 내역


    2012.10.04

  • 마법 피해량이 60/100/140/180/220에서 70/110/150/190/23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주문력 계수가 0.5에서 0.6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마나 소모가 50/60/70/80/90에서 40/50/60/70/80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2015.01.24

  • 마법 피해량이 70/110/150/190/230에서 50/95/140/185/230으로 초반 감소하였습니다.

  • 3. Force of Will(의지의 힘)


    딜링기 및 슬로우기인 W : 의지의 힘 입니다.

    처음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시전하여 대상 (적 미니언이나 정글 몬스터, 또는 구체나 적의 소환물) 를 지정하면, 그것을 잡습니다.

    그리고 한번 더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시전하면 선택한 위치로 잡은 대상이 던져집니다.


    이 스킬의 주요사항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 대상을 지정하지 않으면 가장 가까운 구체를 잡습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와 마찬가지로,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거리가 950으로, 신드라의 스킬들 중 가장 사거리가 깁니다.


    - 이 스킬로 구체를 집어든다면, 들고 있는 동안 구체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맵상에 자신의 구체가 최대 4개까지 존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적의 Summon: Tibbers(소환: 티버)H-28G Evolution Turret(H-28G 진화형 포탑)Jack In The Box(깜짝 상자)Omen of War(전쟁의 징조)Omen of Pestilence(역병의 징조)Omen of Famine(기근의 징조)Rampant Growth(맹렬한 성장)(식물)Spider Swarm(거미떼)(새끼거미)Cell Division(세포 분열)를 집어들 수 있습니다.


    - 블루 골렘 및 레드 리자드를 집어들 경우, 맞은 대상에게 약간의 추가 효과가 붙습니다.

    가령 레드에 맞았을 경우엔 적에게 약간의 고정 데미지와 추가 슬로우를 줍니다.



    변경 내역


    2012.10.04

  • 던질 수 있는 거리가 900에서 95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2012.11.01

  • 이제 유효한 대상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가장 가까이 있는 어둠 구체를 잡습니다.
  • 잡는 시간이 0.33초에서 0.25초로 감소했습니다.
  • 이제 잡는 시간 동안 던지기 명령을 입력하면 잡기가 끝나자마자 즉시 던지기가 적용됩니다.
  • 미니언/어둠 구체를 당길 때 지형지물에 걸리던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 4.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


    스턴기인 E : 적군 와해 입니다.


    해당 기술에 적을 직접 맞출 경우 데미지를 주며 적을 범위 밖으로 밀어내고,


    만약 스킬의 범위 내에 구체가 있다면 구체를 밀어내며 밀리는 구체에 맞는 적에게까지 이 스킬의 데미지를 주며,


    구체에 적이 맞을 경우 1.5초간 기절합니다.


    사람들이 신드라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이며,


    이 스킬만 잘 사용할 줄 안다면 당신도 꿀 빨 준비가 되어 있는 겁니다.


    이 스킬의 특징은 이렇습니다.


    - 최대 거리로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사용할 경우 구체가 밀려나는 거리는 생각보다 어마어마합니다.


    이를 맞고 원콤낼수 있는 경우는 매우 자주 나옵니다.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사용하면 대상 적군에게 자신의 모든 구체가 날아가서 적에게 부딫힌 후 땅에 떨어집니다.

    이 때, 그 구체들에게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사용하면 어마어마한 광역 스턴&딜링기가 완성됩니다.


    변경 내역

    2012.10.04

  • 사거리가 600에서 650으로 증가했습니다.
  • 탄도체 속도가 2000에서 2500으로 증가했습니다.
  • 구체가 처음 밀려날 때, 구체의 기절 적용 감지가 개선됐습니다.
  • 구체에 맞은 적에 걸리는 기절 효과에 대한 스킬 설명 오류가 수정되었습니다.

  • 2012.11.01

  • 시전이 거의 끝난 어둠 구체는 이제 생성된 후 즉시 뒤로 밀려납니다.
  • 적군 와해 스킬과 어둠 구체 둘에 다 맞은 유닛들이 밀려나기만 하고 기절이 걸리지 않던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 2013.01.17

  • 후반 레벨대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8/17/16/15/14초에서 18/16.5/15/13.5/12초로 감소했습니다.

  • 2013.05.21

  • 먼 거리에서도 어둠 구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 2013.10.31

  • 사거리가 700으로 늘어났습니다. (기존 650)
  • 어둠 구체에 화살표가 표시되어 적군 와해에 맞았을 때의 날아갈 방향을 표시합니다.

  • 2015.01.24

  • 적군 와해 스킬로 밀려나는 구체의 충돌 판정이 좀 더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 2015.01.30

  • 적군 와해의 기절 효과 충돌 범위가 약간 늘어납니다.

  • 2015.02.26

  • 어둠 구체 충돌 크기가 커집니다.

  • 2015.07.14

  • 적군 와해 스킬로 발사한 구체가 야스오의 바람 장막이나 브라움의 불굴 스킬로 막혔을 경우 사라지지 않고 그 자   리에 정지합니다.
  • 적군 와해 스킬의 밀어내기 및 기절 효과에 관한 버그를 다수 수정했습니다.
  • 풀려난 힘 스킬에 의해 모이던 어둠 구체가 적군 와해 스킬로 날아가 버리던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 어둠 구체를 맞고 기절한 유닛들은 이제 뒤로 밀려나지 않습니다.

  • 2015.09.16

  • 어둠 구체를 최대 사거리에 시전한 직후에 사용해도 구체를 제대로 날려보냅니다.


  • 5. Unleashed Power(풀려난 힘)

    궁극기인 R : 풀려난 힘 입니다.

    현재 맵 상에 존재하는 모든 아군의 어둠 구체와 신드라 주변에서 돌아가는 3개의 구체를 적에게 날려,

    구체 하나당 일정 데미지를 주는 기술 입니다.

    해당 기술의 대한 특징은 이렇습니다.

    - 구체의 개수에 비례한 데미지를 주므로
    궁극기를 사용하기 전에 Dark Sphere(어둠 구체)를 몇번 사용하여 구체를 깔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구체는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이용하여 맵에 최대 4개까지 만들 수 있고, 이 경우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사용하면 7개의 구체가 발사됩니다.
    - 이 스킬은 즉발입니다. 경험상 Dark Sphere(어둠 구체)를 생성해 둔 뒤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각을 재고,
    적에게 빠르게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을 퍼붓는 경우 스턴이 끝나기 직전에 Unleashed Power(풀려난 힘)가 발사되는데,
    적은 보통 Unleashed Power(풀려난 힘)가 발사된 것을 모르고 스턴이 끝나자마자 점멸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결국 쫓아가는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에 맞고 죽게 됩니다.


    변경 내역

    2012.10.04

  • 구체 당 주문력 계수가 0.15에서 0.2로 증가했습니다.

  • 2012.11.01

  • 사거리가 675에서 725로 증가했습니다.
  • 이제 주문 방어막은 스킬 전체가 아니라 구체 하나만을 막습니다.
  • 이제 풀려난 힘을 시전하기 직전에 생성된 구체 역시 끌어당깁니다.
  • 풀려난 힘 시전 애니메이션이 끝나기 전에 대상이 죽는 경우, 풀려난 힘에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되던 버그를 수   정했습니다.

  • 2013.01.17

  • 초월 : 풀려난 힘이 최대 스킬 레벨에 도달 시, 사거리가 75 증가합니다.

  • 2013.10.31

  • 스킬 아이콘 위에 발사될 어둠 구체의 숫자를 표시합니다.

  • 2015.07.14

  • 어둠 구체가 야스오의 바람 장막이나 브라움의 불굴 스킬로 막혔을 경우 사라지지 않고 튕겨 나옵니다.


  • 신드라가 너무 높은 픽률과 승률을 자랑하던 나머지, 5.1때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습니다.
    하지만 5.2때 E의 버프가 어느정도 다시 되며, 이제 정말 쓸 사람만 남은 챔피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많은 양의 E 버프 및 버그 픽스로 인해, 이제 다시 예전의 신드라의 위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초반의 Q데미지가 약해 라인전은 이전보다 상당히 약해졌으나, 중후반 적군 와해 숙련도에 따라 충분히 게임을 뒤집을 만한 챔피언이 되었습니다.

    한타 시 역할
    신드라는 이니시에이팅 및 원딜 보조 역할, 적 딜러 삭제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기습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적 한명에게 스턴을 걸어 한타를 시작하게 된다면

    그 한타는 거의 대부분 유리하게 이끌어나갈 수 있으며,

    혹 맞춘 적이 적의 딜러라면 그 한타는 거의 이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타시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쓰는 타이밍은 크게 3분류로 나뉘게 됩니다.

    1.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이니시에이팅
    위에 설명한 대로입니다. 기습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이니시를 걸어 싸움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습니다.

    2. 원딜 보조 및 생존

    적의 브루저가 자신 또는 원딜을 물려고 할 때 스턴을 걸어 안전하게 빠져나오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3. Unleashed Power(풀려난 힘)Scatter the Weak(적군 와해) 광역스턴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 스킬설명에 적어 둔 대로,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사용한 뒤에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사용하면

    적에게 날아간 3개~6개의 구체가 전부 날아가서 흩어지게 되는데,

    이걸로 두 명 이상 스턴을 건다면 엄청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적 딜러 삭제입니다.

    맨 처음 설명한 콤보대로만 하면 후반 주문력 600이상일 경우 한명은 순식간에 삭제할 수 있는 데미지가 나옵니다.
    보통 다른 누커들은 이렇게 적을 삭제하게 되면 다른 스킬 쿨이 너무 길지만, 신드라의 경우는 다릅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의 지속 딜링과 비교적 쿨이 짧은 Force of Will(의지의 힘)가 있기 때문에 꾸준한 딜을 뽑아낼 수 있고,
    평균적으로 한타때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는 2~3번정도 사용할 수 있어 정말 좋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도란의 반지
      방어 - [체력]
    • 장화
      기타 - [장화]


    • 존야의 모래시계
      방어 - [방어력]
    • 라바돈의 죽음모자
      마법 - [주문력]
    • 공허의 지팡이
      마법 - [마법 관통력]
    • 라일라이의 수정홀
      방어 - [체력]

    시작 아이템
    1. Doran's Ring(도란의 반지)Health Potion(체력 물약)Health Potion(체력 물약)
    가장 무난합니다. 그냥 거의 모든 상황에 들어줍니다.
    자기 숙련도가 부족해서 이걸론 초반 강캐들인 LeBlanc(르블랑)같은 애들을 버티기 힘들다 싶으면
    (수정 플라스크)로 시작해도 괜찮습니다.

    도란검 트리는 삭제하였습니다. 그냥 도란링 드는게 나을듯..
    장신구는 가장 처음엔 무조건 (와드 토템 (장신구))를 구입하여 라인전을 수월하게 풀어나가도록 합시다.


    다음은?
    적 미드라이너에 따라 나뉩니다.

    1. AP인 경우 :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코어 아이템입니다. 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올려줍니다.
    적이 하드하면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를, 무난하면 Fiendish Codex(악마의 마법서)를 먼저 올려줍니다.

    2. AD인 경우 :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or (모렐로노미콘)
    적이 서폿을 제외하고 네 명이 전부 AD라면 (모렐로노미콘)를, 정글 또는 탑에 AP가 있다면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올려줍시다. 적이 모두 AD일 경우에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의 마저가 아깝거든요. 이 경우엔 극후반에 (모렐로노미콘)를 팔고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냥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갑시다. 마나가 너무 딸리네요. 적에 문도같은거 있으면 서폿한테 부탁하는게 더 현명할 방법일듯 합니다..
    (모렐로노미콘) 가 마나리젠이 생각보다 적어서, 독단으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큽니다. 베이가라면 모를까..
    또한,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는 적절히 타이밍 맞춰서 가주시면 됩니다. 이속이 빠르면 좋습니다.

    아이템에 마나리젠 공식이 바뀌면서, (모렐로노미콘)의 효율이 괜찮아졌습니다.
    이제 (모렐로노미콘)도 비추하는 편은 아니나, 역시 후반엔 그래도 (모렐로노미콘)를 팔고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로 바꿔주시는 편이 좋습니다.


    그 다음은?
    이제 장신구를 (상급 렌즈 (장신구))로 바꿔줍시다. Sight Ward(투명 와드)는 전에 하던것처럼 귀환때마다 2개씩 사서 양쪽에 박아주시면 됩니다.

    다음 아이템은 적의 아이템이나 조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가주시면 됩니다.
    무난하면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 마저가 높으면 Void Staff(공허의 지팡이), , 적이 Zed(제드)Fizz(피즈)같은 챔피언으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

    우선순위를 잘 생각하여 올려주도록 합시다,


    Rylai's Crystal Scepter(라일라이의 수정홀) 슬로우 공식 변경 뒤 정말 둘도없는 꿀템이 되어버렸습니다.
    적이 AD일 경우에는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먼저 올려주시는 것이 맞으나, 그 외의 경우엔 빠른 Rylai's Crystal Scepter(라일라이의 수정홀)도 강추합니다.

    이 세개의 아이템은 거의 코어템이므로, 반드시 올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혹시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올렸고,
    아군에 점화를 아무도 들지 않았는데 적에 Swain(스웨인)Dr. Mundo(문도 박사)가 있고,

    아군에 치감효과를 가진 챔프가 전혀 없는데다가
    아군 서폿이 Leona(레오나)Thresh(쓰레쉬)같은애들이라 AP템가기가 꺼려지는 상황이면 (모렐로노미콘)를 가주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부들부들

    그럼 템칸이 하나가 남는데, 이 곳에 뽑을 수 있는 아이템에는 Banshee's Veil(밴시의 장막)Guardian Angel(수호 천사)Abyssal Scepter(심연의 홀)Quicksilver Sash(수은 장식띠) 정도가 있습니다.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을 사용할 거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아끼면서 그냥 Dark Sphere(어둠 구체)Force of Will(의지의 힘)로 광역딜을 넣어주는게 더 좋습니다.

    또한 최종아이템이 나온 이후에는 (망원 구슬 (장신구))가 생각보다 좋은 효율을 발휘합니다.

    적을 잘라먹는데 좋고, 숨어있는곳 위치 파악에도 좋고 여러모로 좋으나
    극후반이 아니라면 그래도 (상급 렌즈 (장신구))가 더 효율이 좋으니 이걸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적에 Shaco(샤코)같은 은신챔프가 있으면 빠르게 (예언자의 렌즈 (장신구))를 올려주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직스
    기본적으로 직스는 매우 긴 사거리로 견제 및 파밍을 하는 형식의 챔피언이기 때문에, 우월한 사거리와 강력한 누킹으로 라인전을 이어나가는 신드라로써는 굉장히 까다로운 상대입니다. 일단 Q사거리가 너무도 길어서 신드라의 QE거리도 잘 안나오고, 직스가 성배를 뽑아온다면 더이상 신드라는 직스에게 다가가지도 못할 정도입니다. 직스가 어려운 이유는, 딜교환 방식은 서로 비슷하지만 직스가 사거리가 훨씬 압도적이기 때문입니다. 직스를 상대할 때는, 차라리 멀리서 서로 맞파밍을 해주며 텔레포트로 다른라인 지원을 가주는 것과 로밍을 자주 가주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괜히 어정쩡한 거리로 달라붙었다가는 직스가 던지는 Q만 맞으며 자신은 아무것도 못할수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야스오
    신드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야스오를 만난다면 나의 모든 스킬들은 회피 혹은 막고 자기는 딜 넣을거 다 넣기 때문에 힘듭니다. 바람벽으로 궁극기를 무시하고, E로 Q를 전부 무시할 수 있는 등 평범한 딜교가 힘든 챔피언에 속합니다.
    오리아나
    신드라와 마찬가지로 구체를 이용하는 챔피언입니다. 물론 메커니즘 자체는 신드라와 많이 다르지만, 구체의 사정거리가 신드라의 Q보다 살짝 더 길어서 딜교환시 애로사항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일단은 W선마를 하는 방법으로 어느정도 파훼가 가능하나, 1레벨 E를 찍고 올 경우 신드라의 초반 견제를 대부분 무효화할 수 있는 점도 힘든 점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트위스티드 페이트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라인전은 블루 카드로 마나수급을 하며, 골드/레드카드+와일드카드로 딜교환을 하는 방식인데 신드라는 그 원천인 블루카드 자체를 봉쇄해버릴 수 있습니다. 와딩 후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블루 카드를 뽑아들었다면, 바로 스턴을 걸고 폭딜을 쏟아부어 그 이후로 트위스티드 페이트는 쫄아서 와일드 카드로만 파밍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듭니다. W가 돌아가는 동안에는 살짝 빠져있다가, 블루 카드를 뽑는 순간 바로 스턴 후 연계기를 넣어주면 라인전은 굉장히 무난하며, 신드라가 텔을 들었다면 궁까지 봉쇄할 수 있어서 완벽한 카운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리
    아리는 데파 나온 이후의 총 딜량이 언홀리만 나온 신드라의 원콤 딜량과 비슷할 정도로 너프를 많이 당해 달량이 낮습니다. 또한 스킬 적중률도 신드라가 훨씬 높은 편이고, 미니언 관리만 잘 해준다면 매혹을 맞을 일 또한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가 쉬운 편에 속합니다.
    카서스
    카서스는 기본적으로 파밍형 캐릭터입니다. 1레벨부터 강력하게 압박해주시면 상대가 굉장히 수월하나, 갱킹에 조심하세요. 단, 탈진을 든 카서스는 굉장히 위험할 수 있으니 조금 조심해주시면 됩니다.
    추가 공략 Etc


    초반 운영법

    신드라는 초반이 정말 중요합니다. 

    1렙부터 Dark Sphere(어둠 구체)와 평타로 정말 뼈아프게 견제를 해 줍시다.

    특히 적이 근거리 캐릭터라면, 파밍 할 때마다 평타한대와 Dark Sphere(어둠 구체)한방씩 계속 먹여줍시다.


    라인이 밀릴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계속 이렇게 견제를 하다 보면 적이 어쩔 수 없이 cs를 스킬로 먹어서


    자연스럽게 적쪽에서도 라인이 밀어져서 괜찮습니다.


    2레벨을 찍자 마자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찍어주고,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Dark Sphere(어둠 구체)제를 시작해줍니다.

    그렇게 꾸준히 견제를 하다 보면 6레벨이 되어 Unleashed Power(풀려난 힘)를 배울때 쯤 되면


    적 피는 반피 근처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Dark Sphere(어둠 구체)를 미리 깔아둔다음에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각을 보고

     각이 나오면 바로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Unleashed Power(풀려난 힘)로 적을 삭제시켜줍시다.


    만약 적이 그 전에 집에 다녀와서 피가 많이 있으면,


    우리가 먼저 6렙이 되었을 것이므로 6렙을 찍자마자 적에게 가까이 다가가


    경험치를 먹지 못하게 하며 꾸준히 견제해줍시다.


    또한, 2레벨에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찍기 때문에 Teleport(순간이동)은 2레벨부터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레벨에 봇 라인이 너무 밀리는것 같으면 Teleport(순간이동)을 사용하여


    적의 스펠을 최소 2개 이상 뺀다면 엄청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스턴각을 잘 넣었을 경우엔 퍼스트 블러드까지 가능합니다.


    신드라로 가능한 전략 중에

    처음에 (수정 구슬 (장신구))를 뽑아오고 Force of Will(의지의 힘)를 찍은 뒤 적 버프가 소환되자마자 집어들어 적을 방해하거나,


    적이 먹지 않는 반대쪽 버프를 뺏어먹는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이 전략은 비추입니다.. 리스크가 꽤 크거든요.


    게다가 1렙견제를 거의 할 수 없게 되니..



    한타 페이즈 시

    모두들 신드라는 한타 때 취약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보통은 자기가 포지셔닝을 잘 못하기에 이런 말이 나오는거죠.


    먼저, 신드라의 포지션은 다른 미드와는 다르게 원딜러의 포지션을 가지고 한타에 임해야 합니다.

    한타 전에 해야할 일은,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최대한 이용해서 적을 자를 수 있다면 숨어서 잘라버리는 것.


    이것을 잘 수행해서 한타 시작 전에 적 원딜,미드라이너를 잘라버렸다면 자연스레 기세는 이쪽으로 기울게 됩니다.


    이니시에이팅을 아군에서 걸었을 시에는, 일단은 우리 진형이 유리한 상황에서 한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땐 적의 브루저와 탱커의 포지션을 파악해서 가능한 한 안으로 들어가 적의 딜러를 삭제시키면 좋습니다.



    하지만 이니시에이팅을 당했을 때나, 이니시에이팅을 걸었으나 브루저가 날 물거나

    주변에 적군의 Alistar(알리스타)같은 어마어마한 위협이 되는 챔피언들이 존재할 시에는


    아군 서포터와 같이 원딜 옆에서 원딜을 지키며 최대한 딜링을 가하는 방식으로 한타를 풀어나가도록 해야 합니다.


    신드라는, 오래 살 수록 아군에 엄청난 도움을 가져다줍니다.

    특히 Force of Will(의지의 힘)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라는 슬로우와 스턴의 2개의 CC기는 추노 시와 도주 시에 매우 유용합니다.


    최대한 살아남아주도록 합시다.



     

    챔피언별 대응법

    난이도 ★☆☆☆☆ : 매우 쉬움


    Nasus(나서스) Nasus 나서스


    미드 나서스가 좀 보이더군요.

    1레벨부터 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평입니다.

    이녀석을 상대하는 경우엔 그냥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올리거나 (모렐로노미콘)도 좋은 선택입니다.

    킬각을 잘 내서 스턴이 풀리기 전에 적을 죽이지 못하면 Fury of the Sands(사막의 분노)로 체력보너스를 얻어 도망가니 조심하셔야합니다.


    얘는 라인전을 "이긴다" 보단 "말린다" 로 표현하는게 적합하긴 한데, 생각보다 쉽게 말릴 수 있습니다.


    라인 밀지 말고, 갱콜 해서 반드시 말려주셔야합니다.


    Mordekaiser(모데카이저) Mordekaiser 모데카이저

    2렙퍼블로 갈갈이 찢어줍시다. Dark Sphere(어둠 구체)만 쓰면 이미 쉴드가 찢어져있습니다. 패시브 미아요.




    난이도 ★★☆☆☆ : 쉬움


    Galio(갈리오) Galio 갈리오

    Resolute Smite(단호한 일격)Righteous Gust(정의의 돌풍)바닥과 Bulwark(방벽)사용시 공격해주시는것만 피하면 무난합니다. 초반에 압살할 수 있는 케이스입니다.


    Diana(다이애나) Diana 다이애나 (6레벨 이후 ★★★☆☆)


    거의 나오진 않으나, 기본적으로 근접이니 정말로 쉽습니다.

    아마도 1레벨에 Pale Cascade(은빛 가호)를 찍어 Dark Sphere(어둠 구체)를 사용할때마다 켤 터인데,

    Pale Cascade(은빛 가호)가 Dark Sphere(어둠 구체)보다 쿨이 훨씬 더 기니까 Pale Cascade(은빛 가호)로 한번 막으면 적을 따라가서 Dark Sphere(어둠 구체) 한번정돈 더 맞춰줍시다.


    6렙되면 힘든 편이지만, 그전에 솔킬타이밍이 한두번정도는 나올거예요.


    Ryze(라이즈) Ryze 라이즈


    그냥 다른 근접캐릭터들 상대하는것처럼 해주세요.

    Overload(과부하)보다 Dark Sphere(어둠 구체)이 훨씬 더 아픕니다. Rune Prison(룬 감옥)는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응수해줍시다.


    진짜 장애인짓만 안한다면 무조건 딜교 압승할 수 있습니다.


    긴 사거리를 이용해서 평타 섞지 말고 멀리서 견제해주는게 좋은 선택입니다.


    2렙부터 킬각 낼 수 있습니다.


    Riven(리븐) Riven 리븐 (6레벨 이후 ★★★☆☆)

    쉽습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리븐은 1레벨에 Valor(용맹)를 찍어 Dark Sphere(어둠 구체)를 쉴드로 상쇄시킬 것일텐데,

    쉴드 없어지면 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

    2레벨에 Broken Wings(부러진 날개)를 찍을텐데, 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

    3레벨에 Ki Shout(기 폭발)를 배우고 Valor(용맹)Broken Wings(부러진 날개)Broken Wings(부러진 날개)Broken Wings(부러진 날개)로 달려올텐데,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

    6레벨에 Wind Slash(바람 가르기)를 켜면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Force of Will(의지의 힘)Force of Will(의지의 힘)Dark Sphere(어둠 구체)평하고 난 유유히 빠져주면 됩니다.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정말 쉽습니다. 2~3렙퍼블 가능합니다. 특히 Doran's Blade(도란의 검) 들고온놈한텐 지옥을 맛보여줍시다.

    또한, 어느정도 신드라 상대해본 리븐이라면 신드라가 Dark Sphere(어둠 구체)를 사용하는순간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자신의 스턴을 먹일 수 없는것을 알고 바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 때 Force of Will(의지의 힘)로 자기가 방금 생성한 구체를 들어 바로 앞에 떨어뜨리고 바로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사용한 뒤,

    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평으로 역관광이 가능합니다.


    Lissandra(리산드라) Lissandra 리산드라


    개인적으로 적이 리산드라 뽑아들면 전 환호성 지릅니다.


    얘가 선천적으로 체력이 매우 낮고 스킬들 사거리도 짧은 편이라서, 2렙퍼블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따로 말 없이 그냥 Dark Sphere(어둠 구체)평견제면 충분히 2~3렙퍼블이 가능합니다.

    팁을 드리자면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를 아끼다가 리산드라가 Glacial Path(얼음갈퀴 길)을 시전하면 조금 기다려주다가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스턴을 걸어


    이동을 봉쇄해버릴수 있습니다.

    보통 6렙 셀프Frozen Tomb(얼음 무덤)이 존야 역할을 해서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을 막을 수 있어 리산드라를 뽑아드는데,

    6렙 전에 한 3번 죽이면 Unleashed Power(풀려난 힘)사용하기전에 그냥 죽으니..

     

    Veigar(베이가) Veigar 베이가 (6레벨 이후 ★★★☆☆)


    원래 진짜 안보이는놈인데, 얼마전에 실제로 5번인가 만나봤습니다. 근데 엄청 쉽습니다.

    1레벨부터 아 이새끼는 근접캐릭이다! 하는 생각으로 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Dark Sphere(어둠 구체)평해주면

    2렙때 파밍을 위해서 Dark Matter(암흑 물질)를 찍을거예요. 그럼 거기다가 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도 섞어주면 2렙때 퍼블 낼 수 있습니다.

    만약 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를 찍으면, 뭐 어쩌라고. 걍 똑같이 해주면 알아서 죽지요.

    제가 베이가를 엄청 많이해서 그런진 몰라도, 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를 어느 타이밍에 쓸지가 눈에 보여서 그런걸수도..

    요놈만큼은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올려주시고,

    주문력 높은 아이템보다 주문력 낮고 다른 효과 붙은 Void Staff(공허의 지팡이)같은 아이템을 먼저 올려주시는게 좋습니다.


    Brand(브랜드) Brand 브랜드 (6레벨 이후 ★★★☆☆)


    얼마전에 친구랑 1:1을 해봤는데, 실수로 Teleport(순간이동)들고도 이기더군요. 

    딜 자체가 신드라가 훨씬 우월하고, Lux(럭스)나 Gragas(그라가스)처럼 Pilla of Flame(화염의 기둥)을 퇴로에 까는 경향이 있으므로 잘 피해주도록 합시다. 또한 불타는 상태에서 Sear(불태우기)를 맞지 않는 것만 조심해주시면 됩니다. 이 외에는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Akali(아칼리) Akali 아칼리 (6레벨 이후 ★★★★☆)


    근접이죠? 그럼 쉽습니다. 어짜피 Mark of the Assassin(암살자의 표식)는 타겟팅이라 피할수가 없으나,

    아칼리가 나에게 Mark of the Assassin(암살자의 표식)를 던졌다는건 사거리가 그만큼 좁혀졌다는 뜻이므로 Dark Sphere(어둠 구체)평평평Dark Sphere(어둠 구체)이 가능합니다.


    그럼 딜교 압승. 6렙 이후에는 역원콤이 날 가능성이 있는데,

    빠르게 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를 올려 그 가능성을 원천봉쇄해주는 것도 좋고, 

    6렙전에 킬을 몇번 냈다면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로 역관광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장신구는 빠르게(탐지용 렌즈 (장신구)) 로 바꿔줍시다.


    Kassadin(카사딘) Kassadin 카사딘


    리메이크 후, 굉장히 쉬워졌습니다.


    6렙 이전은 원래부터 쉬웠고, 이젠 6렙 이후에도 침묵이 삭제되었기때문에 굉장히 쉽습니다.


    그냥 다른 근거리 챔피언 견제해 주시는것처럼 미친듯이 압박해주시면

    카사딘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곤 Null Sphere(무의 구체)로 파밍하는 길밖에 없고,


    어느 정도 압도하기 시작할 경우엔 경험치도 먹지 못하게 완전디나이가 가능합니다.


    와딩해서 정글러의 견제만 조심해주시면 정말 쉬운 상대입니다.


    Karthus(카서스) Karthus 카서스

    쉬운 편입니다. 1레벨부터 Dark Sphere(어둠 구체)평견제를 사용해서 경험치도 못먹게 해주시면 됩니다만,


    카서스가 무빙이 좋으면 그때부터 난이도는 급격히 올라갑니다.


    솔직히 손싸움입니다. 서로 스킬샷 맞추고 바닥 피하는 싸움이니까요.

    다만, Lay Waste(황폐화)는 가만히 써서 캐스팅시간이 살짝 있는 반면

    Dark Sphere(어둠 구체)는 움직이며 사용할 수 있다는 점만 잘 이용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Khazix(카직스) Khazix 카직스

    근접이죠? 정말 쉽습니다. 아마도 1레벨에 Taste Their Fear(공포 감지)를 찍고 올거예요. 그럼 걘 이제 파밍을 못합니다.

    그러다가 3레벨쯤 되서 Leap(도약)를 찍고 날라오면, 날아오는거 보이자마자 바로 Dark Sphere(어둠 구체)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로 역관광시켜줍시다.


    이정도만 해주면, 카직스는 정말로 무난합니다.



    Anivia(애니비아) Anivia 애니비아


    딱히 어렵지는 않습니다.

    6렙 전 애니비아가 힘을 쓰려면 먼저 Flash Frost(냉기 폭발)를 맞춰야 하는데, 우리는 이속룬에 이속특성이라 맞아주기도 힘듭니다.


    거리만 어느정도 유지해주시면서 애니비아 파밍 방해해주시고,

    6렙 이후에는 평짤 넣지 말고 Dark Sphere(어둠 구체)Force of Will(의지의 힘)Scatter the Weak(적군 와해)만으로 괴롭혀 줍시다.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33명

    나도 한마디 (27)

    • 미니치토스 | [답글] 많이 배우고싶은데 친추가능할까요
    • 아이콘 YuBis | 친창이 꽉차서 친추는 좀 힘들듯싶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 Pakim | [답글] 흠... E너프후에 신드라를 처음 접했고 괜찮다고 생각했다가 버프먹고 ㅈㄴ 좋아했는데... 너프전엔 얼마나 좋았을지 ㅋㅋ 그나저나 르블랑은 신드라로 쉽게 이긴 기억이 많아서 르블랑 카운터수준으로 알고있었는데...
    • Pakim | 공략 정말 잘쓰셔서 엑셀 <3
    • 아이콘 YuBis | 엑셀 감사합니다! 르블랑은 하위권에서는 신드라로 잡기 되게 쉬운데, 조금만 높아져도 손싸움 양상이 꽤 심해져요. 스턴만 빠지면 죽도밥도 안되는게 신드라라서..ㅎㅎ
    • 투앤디 | [답글] 파랑에 성쿨감룬 어떤가여?
    • 아이콘 YuBis |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생각해보니 괜찮을 것 같네요. 성쿨감 3개정도 박아주는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 아이콘 동덕예스답 | [답글] 버그제조기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
    • 아이콘 YuBis | ...예?
    • 신성제국 | [답글] 누구보다빠르게 난 남들과는다르게 색다르게리듬을 타는 비트위의나그네
    • 아이콘 YuBis | 더 빠르게 빨려들어가 빠져버리는 네박자 리듬위에 나는 매일 비트를 쪼개
    • 아이콘 PASSI | [답글] 오리아나는 쉽죠 ㅋㅋ
    • 엘샤이 | [답글] 솔직히 오리아나가 가장 어려운 챔피언은 아닌듯합니다. 라인전은 솔직히 신드라가6 오리아나가4 / 신드라가 7 오리아나3이라고 말하고 싶군요 오리아나 500판 신드라 이제 100판 가까이 해본 결과 항상 오리아나가 신드라와 라인전을 설 때는 '버티자'라는 생각이 너무 강하고 신드라가 오리아나 바라볼때는 라인전이 무난하다 or 압도 둘 중에 하나입니다 신드라로 오리아나가 힘든점은 라인전이 아니라 후반 한타와 캐리력이 뛰어나다는 거죠 머 어떤 경기였는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예전에 페이커 오리아나 vs 중국선수 신드라 장인이 라인전 붙었을 때 아무런 갱 없이 라인전을 했는데 페이커 선수가 압도적으로 밀렸었죠 오리아나의 q와 신드라의 q 차이라고 해설자 분이 말해줬었죠 신드라의 q는 더럽게 피하기 힘들다고, 또한 오리아나는 신드라보단 마나관리도 힘듭니다
    • 아이콘 YuBis | 음.. 그냥 제가 플레이하기엔 오리아나가 어려운 편이더군요. 사실상 텔을 들기 때문이라서 그럴수도 있는데.. 확실히 텔 들고 플레이해보시면 오리아나는 어렵습니다.
    • 엘샤이 | 오리아나로 신드라 진짜 힘들어요 ㅠㅠ 신드라q를 오리아나 쉴드로 전부다 방어하기가 힘들고 애초에 점화 들고 라인전 하시면 오리아나한테 힘들다는 느낌은 없으실듯... 텔을 들면 라인전에서는 공격적인 플레이보단 파밍 위주로 하시고 다른 라인에 영향을 주는 플레이하시는거 같네요~ 항상 예전부터 신드라 공략 나오면 유비님꺼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참고로 엑셀은 예전에 드렸어요~
    • 치명저김 | [답글] ?그 버그제조기 유비님 맞음?
    • 황규찬 | [답글] 신드라가 강한 라인전도 있지만 cc도 2개나있구 특히 이속 정말중요한거같습니다. 한타때도 꼭 누굴 녹여야된다는거보단 원딜무는애들도와주거나 옆에서 찌르는 방식으로하면 어마어마한 딜을 넣는거같네요. 공략잘봣구 엑셀박아드리고싶지만 레벨이 ㅠㅠ 나중에 꼭드리겠습니다~
    • 아이콘 YuBis | 넵 공략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아이콘 서폿유저태임 | [답글] 18번째 엑셀 드리고갈게요~~ 질문하나만요!!ㅎㅎ 신드라 qe 끝사거리 쪽에 하면 구체가 밀리는데 신드라 바로앞 qe 하면 간혹 구체가 안밀릴때가 있는데 ...왜그러죠 ??
    • 아이콘 YuBis | 음 그게 저도 잘 모르겠는데 둘 중 하나라고 추측됩니다. 1. 단순 버그거나 2. E의 범위가 원뿔형이기 때문에 신드라 코앞의 범위는 매우 좁아 그 범위를 공이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아이콘 쇼크짱 | [답글] 녹턴 공략 작성자 인천녹턴입니다. 16번째 엑셀 드리고갑니다^^
    • 아이콘 YuBis | 감사합니다!
    • 니공략은배드 | [답글] 3.9ap. 신드라 6렙에 q %gt; qew %gt; r %gt; 막타 q 보통 킬이 나오는 방식은 이건데, 이 콤보의 계수는 3.9ap입니다 주문력 10이면 39데미지 차이가 나죠 그전에 꾸준히 박아왔던 견제 합치면 점화급의 차이가 나게되고 이건 라인전에서 굉장히 체감이 됩니다 왕룬의 주문력 15가 그렇게 q 6데미지 차이다 이런식으로 말하면 솔직히 모든 룬특성이 다 쓸모없죠. 룬특성은 큰차이가 아니라 미묘한 차이를 불러오는 요소이고, 롤은 작은 눈입자가 결국 눈덩이가 되는 게임입니다 시즌3에는 트페를 비롯한 많은 미드챔프가 왕룬 이속을 박았지만 시즌4부터는 메타가 바뀌었죠 더군다나 신드라는 딜로 라인전을 찍어눌러야 하는 챔프인데 주문력 15는 포기할수 없다고 봅니다. 주문력 15면 도란링 하나의 주문력입니다 플라스크와 도란링 스타트의 데미지 차이 딱 그만큼의 차이가 납니다
    • 아이콘 YuBis | 음.. 개인적으로 저는 그런 플레이보다는 기동성 위주의 플레이를 즐겨 하는 타입입니다. 딜로 라인전을 찍어누른다기보다는 딜을 살짝 포기하는 대신 유틸성을 늘린다고 할까요. 딜 위주로 가려면 애초에 점화를 들었겠죠.
    • 포두맛 | [답글] 한타 시 역할 에서 검정색 글씨라서 잘 안보이네요.
      수정해주세요! 액셀 드리고 갑니다.
    • 아이콘 YuBis | 그 부분이.. html코드를 분석해봐도 아무 이상이 없는데 익플에서만 이상하게 나오더군요.. 인벤측에 문의 한번 넣어보겠습니다 ㅠㅠ 크롬에서 보면 정상적으로 나오니 크롬에서 봐주세요!
    • 아이콘 죽순먹고싶다 | [답글] 엑셀 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