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라칸 간단소개

5 / 11 | 니뒤에벽있어 | 댓글: 5개 | 조회: 40,924 |

액셀.. 솔직히 큰 기대 안했는데 감사합니다.

글을 쓰기에 앞서 제가 자신있게 말할수 있는건 미드라칸은 쓰레기픽은 아닙니다.
고티어에서도 자주 등용되는 픽이며

이거 출발점이 유럽 다마첼구간인만큼 효율은 충분히 입증됐다고 봅니다.
저는 미드라칸에 대해 뽀삐마냥 특별이 많이 하지도, 아주 잘하지도 않습니다.

간단한 소개목적으로 작성한 공략이라 어느정도 가볍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간간히 수정하러 올께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안녕하세요, 현재 뽀삐 공략을 작성하고 완성중에 있는 니 뒤에 벽 있어라고 합니다.

저는 거의 챔프폭이 절망적인 원챔이지만
그래도 챔프폭을 좀 늘려보고자 부계정으로 여러 라인을 하면서 다양한 챔피언을 해봣지만

제 손가락이 너무 구데기라 안되더라고요..
그러다가 유럽에서 뜬다는 미드라칸을 듣고 재미 반으로 시작하다가



너무 성향이 잘맞아서 현재 제 미드 주력픽이 됐습니다.

원래 플레는 가고 적을려고 했지만
현재 사람들이 미드라칸이라는 픽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것과
그리고 제 뽀삐 공략들 수정하는김에..간단하게 한번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미드라칸을 굳이 하는 이유를 알려드리자면



1. 소규모 싸움 원탑
2. 로밍 최상위권
3. 기동성 최강
4. 주도적인 이니시+딜러진 보호
5. AP템과의 시너지(스킬 참조)
6. 갱호응 상위권
7. 확정 순간 폭딜. 수은 하나만으로 회피 불가능.
8. 빠른 궁쿨



물론 단점은 있습니다.

1. 특정 챔프 상대로 압도적으로 밀리는 라인전
- 이 경우 갱호응이 좋다는걸 이용해서 정글러를 불러줘야합니다. 안그러면 그대로 라인전 계속 밀려요


2. 약간 느린 라인클리어
Ahri(아리)랑 좀 비슷합니다.


3. 약한 지속 AP딜
- 대신 보호력을 드립니다. 다만 마방 안가도 될 정도의 약한딜은 절대 아닙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라칸을 추천합니다
1. 피지컬이 다소 부족하지만
2. 들어가는 각이나 맵리딩 같은걸 잘함
3. 수비적인 운영에 능숙함
4. 자야를 해줄 친구가 없다
5. 전쳇으로 약올리는걸 잘한다

한마디로 탑라인 탱커하시는 분들은 좀 적응이 쉽습니다.
그외 라칸 관련은 댓글로 대답하는게 더 빠를지도 모르겠네요.
Runes
라칸의 깨알같은 장점 하나 더!
멀리서(?) 견제 맞추는 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를 제외하면 죄다 적/아군이랑 붙기 때문에
다른 챔프보다 콩콩이 순환이 2~3배 빠릅니다.




여기서 갈리는게 바로 마법 3티어의
주문 작열 -  물 위를 걷는 자 - 폭풍의 결집 라인인데


제가 폭풍의 결집을 가는 이유는 아이템에서 아시겠지만 저는 벨트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안갑니다.

폭결을 가면 1코 이후 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에 원거리 한방이 나오기때문에 필수 기용.


만약 벨트를 가신다면 킬각을 볼 수 있는 상대로는 주문 작열
그 외 상대로는 물 위를 걷는 자를 들어주세요.



이제 콩콩이 말고도 감전룬도 있는데





이 룬은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을 가는 라칸이 순간 폭딜 목적으로 기용하는 룬입니다.

장점은 역시 말했듯이 폭딜이 쌥니다.
콩콩이로 약간 아쉬운 한방딜에서 2프로 부족한게 보강되요.



단점은 이제 마법으로 얻을수 있는 쿨감을 못 얻는게 좀 아쉽습니다.

보조로 마법들면 해결되는거 아니냐고요?
그렇게 들면 라인전 너무 힘들어요..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점화 필수기용.
딜이 약간 부족한 킬각을 재는데 매우 좋습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하는게 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선마를 하면 힐량 증가해서 라인 잘버틸줄 알지만

라칸의 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깃털 힐은 레벨비례입니다.





스킬 콤보

큰거 없습니다.

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를 맞추는게 핵심, The Quickness(매혹의 질주)있으면 The Quickness(매혹의 질주)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


초반 주딜은 사실  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들어가고, 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깃털 맞추고, 계속 무빙하면서 때리는게 끝

뼈방패 켜져있으면 금상첨화




 

스킬 활용 팁

 Fey Feathers(요술 망토)패시브는 한번 딜교시 터트려주세요.

보호막이 깨져야 쿨타임이 돕니다.


1렙 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 = 평타 한대


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를 잘 이용하면 돌진기를 가진 상대를 강제 다이브+에어본 시킬수 있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최종 아이템
변수 아이템
아이템 빌드
  • 장화
    기타 - [장화]
  • 점화석
    방어 - [체력]

  • 슈렐리아의 군가
    마법 - [주문력]
  • 사라진 양피지
    마법 - [주문력]

  • 모렐로노미콘
    마법 - [주문력]
  • 라바돈의 죽음모자
    마법 - [주문력]



시작 아이템
The Dark Seal(암흑의 인장): 대부분의 경우 가는 아이템입니다.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카운터 만낫을때


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까진 고정



직선으로 빠르게 진입하고 바로 빼는 과정에서 폭딜을 자주 걸리게 되는 챔프가 몇몇 있는데
대표적으로 Brand(브랜드)Annie(애니)Kassadin(카사딘)같은 챔피언들

물론 잘 진입하고 빼면 문제 없지만..특히 내가 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를 가서 깜짝 폭딜로 죽는걸를 차단하고자 할때
3코로 Banshee's Veil(밴시의 장막)를 올립니다.
만약 AD암살자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



만약 CC기가 위협적인 경우, 대표적으로 Veigar(베이가)를 만나게 되면
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후 바로 Quicksilver Sash(수은 장식띠)을 올려줍니다.




사실 어느쪽이라도 결국 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는 올립니다. 3코로 올리냐 4코로 올리냐의 차이라..

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는 내 생존력 여하에 따라 사는 아이템이지만, 라칸이 워낙 생존력이 좋아서 자주 삽니다.


Abyssal Scepter(심연의 가면)은 마지막 코어로, 딜보단 생존력이 필요할때, 특히 Kassadin(카사딘)Cassiopeia(카시오페아)Ryze(라이즈)같은 후반 AP왕귀챔 상대로
가면을 안올리면 순식간에 사라집니다.


제가 벨트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안가는 이유는 벨트를 콤보 중간에 넣기가 좀 애매합니다.
The Quickness(매혹의 질주)키면서 쓰자니 상대방이 반응하고
The Quickness(매혹의 질주)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중에 벨트를 쓰면 빠른 이탈이 어렵습니다.

물론 이 약간은 1초도 안되는 짧은 시간이라 반응 못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의 기동성과 팀파이팅이 너무 좋아서.. 굳이 벨트의 필요성을 못느끼겠습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 부족한 라인클리어를 폭결룬으로 대체합니다.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갈 경우

1코어로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은 당연지사

그 사이나 2코전에 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을 끼셔도 되고
감전룬이면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까지 고려가능합니다.


2코어에서 좀 갈리는데

유틸을 좀 바라면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
딜을 바라면 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

가장 보편적인건 역시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
후에 핵심 코어로 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과 같은 딜템을 기용합니다.

물론 위에서 보이는 변수 아이템들을 가셔도 되고

특히 생존력이 좋은 라칸에게 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는 대부분 판에 올려주는 완소템입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오리아나
극초반 평타 맞딜 딜교 성립이 안됩니다.

라칸을 역으로 역관광도 가능
E보호막의 방/마저 증가 때문에 한번에 죽이기도 어렵습니다.
조이
수면이라는 사기 CC때문에 그 어떤 포킹챔프보다 근접 맞딜이 쌥니다
초근접에선 수면을 맞을 확률이 높아지는데 맞으면.. 3렙때 딜 들어오는거보면 정말

아 ㅅㅂ!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그렇다고 거리재자니 주이가 원하는 그림이 나오고..

한타를 가도 진입각 재기전에 포킹에 죽어나갑니다.
카르마
지휘관 가는 카르마..

갱을 불러도 음..;; 정글이 좀 받쳐줘야합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라칸
라인전을 스킬셋으로 쳐바르는 상대는 없습니다.

본인 짤짤이 능력이 곧 킬각이라..
트페랑 비슷해요.
피즈
그나마 이런 초반에 빡세게 견제가 안되는 친구들이 좀 편합니다
아리
암살자들은 한타에서 암것도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기본적으로 라인을 밀고, 로밍을 계속 다닙니다.

 적 미드와 1~2렙차가 나도 큰 상관이 없습니다. 그만큼 아군을 키우면 적 라이너는 라칸의 CC연계로 일점사순삭이  되거든요.


초반 운영법

 Orianna(오리아나)같은 변종을 제외하면

 1렙때 뼈 방패와 함께 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로 딜교를 시도합니다.


중반 운영법

 중반과


후반 운영법

 후반 계속 짤라먹는거랑 이니시각 봐줘야합니다

맵 잘 봐주세요

팀파이트시 역할

 The Quickness(매혹의 질주)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Gleaming Quill(빛나는 깃털)이니시후

Battle Dance(전쟁무도)원딜보호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11명

나도 한마디 (5)

  • 갓처리 | [답글] 일단 딜은 매우 잘나옵니다 캐리력은 솔직히 부족한데 받쳐주는 팀만 있으면 굉장히 좋아요 엑셀
  • 아이콘 백마 | [답글] 아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유애나2기 | [답글] 아리랑 라칸이랑 라인클리어를 비교해버리네 ㅋㅋㅋㅋㅋㅋㅋ
  • 유꾸르 | [답글] 아리가 어떻게 라인클리어가 약간 느려요...
  • 아이콘 박호랑 | [답글] 저말고 미드라칸 유저가 있어서 엑셀 드렸어용 전 8판 승률 28% 인데 글쓴이님은 잘나오시네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