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 꽤나 쓸만해진 유미 공략 끄적끄적.

평가중 (1) | 아이콘 메노스인데요 | 댓글: 5개 | 조회: 7,351 |
요즈음 유미가 꽤나 쓸만해졌습니다.


그래서 몇자 끄적여봅니당


주의. 유미는 그냥 대충 선픽 할만한 무난한 픽은 아닙니다.


유미와 가장 조합이 좋은 원딜 

[ 이즈리얼Ezreal(이즈리얼) 시비르 Sivir(시비르)루시안Lucian(루시안) ] 알아두세요


참고1 : 시비르 선픽 -> 상대 원딜 루시안 = 원딜상성 개고통

참고2 : 이즈리얼 선픽 -> 상대 바텀 Caitlyn(케이틀린)Xayah(자야) (푸시를 따라갈 수가 없다.Doran's Shield(도란의 방패)까지 사온다면..)
                        + Karma(카르마)Neeko(니코)Morgana(모르가나)Lulu(룰루) = 갱 없으면 바텀타워 10분 철거당하기 쌉가능
                                                         정글님 도와주세요 갱좀요 미드님 로밍좀요 제발요

                                                -> 우리정글이 성장형 (에코,카서스 등) = 닷지 추천
                                                    정글 1대1 주도권이 전혀 없음( 카서스vs니달리 등) = 닷지 추천




일단 시작하기 전에 티어만 대충 띄어보겠읍니다.






1. 현재 서포터 메타는 1코어 메타.

이번 시즌의 서포터 아이템Spellthief's Edge(주문도둑의 검) Spectral Sickle(영혼의 낫) Steel Shoulderguards(강철 어깨 보호대)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의 변경과 패치로 인해


이제 서포터가 저렴한 1코어를 완성하기 쉽고,


2코어 이상은 뽑는 타이밍이 많이 느려졌습니다.


현재 협곡에는 이름난 가성비 좋다는 코어템들이 있죠?
Gargoyle Stoneplate(가고일 돌갑옷)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Mikael's Crucible(미카엘의 도가니)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 Ardent Censer(불타는 향로) Hextech GLP-800(마법공학 GLP-800) Manamune(마나무네)  기타등등.

그래서 현재 탱커/CC형 서폿 챔피언들은 Gargoyle Stoneplate(가고일 돌갑옷) 를 1코어로, 유틸형은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를 1코어로 가져갑니다. (일반적으로)
물론 상황에 따라서 Mikael's Crucible(미카엘의 도가니)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 

그 중에서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와 가장 잘 어울리고 자타공인 최고의 효율을 내주는 유미가 꽤나 '뽑을만한' 픽이 되었습니다.



2. 라인전 메타 -> 한타 메타로의 변경


물론 아직도 라인전이 아주 중요하긴 합니다.


라인전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포탑골드를 뜯고... 물론 중요해요.


이에 있어서의 상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만약 본인이 Yummi(유미)를 픽했을 때. 그 어떤 챔피언이 상대 서폿에 서있던간에

상대팀 원딜Ezreal(이즈리얼) vs 우리팀 원딜Draven(드레이븐) 이 정도의 상성이 아니라면


라인전은 잘해야 반반 가고 일단 지고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위와 같은 상성이어도 상대 서폿이 아주 강하다면 지고 들어간다고 생각하심이..


그만큼 초반에 약하니까요.


하지만 빠른 첫용 타이밍이 아닌, 양측 서포터가 1코어를 뽑고 나서의 한타라면


유미가 한타에서 상대방 서포터보다 부족한 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만큼 한타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Yummi(유미)이니까요!


라인전은 4:6만 가져와도 개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Runes
저같은 경우는 이번시즌에 룬은 이걸로 고정하는 중입니다.

1. SummonAery(콩콩이 소환)

You and Me!(너랑 유미랑!) 에도 생기는 SummonAery(콩콩이 소환)실드 (향로는 덤)
Bop ‘n’ Block(퐁퐁방울) 돌리면 쪼-금이라도 SummonAery(콩콩이 소환)추가딜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 맞추면 쪼-금이라도 SummonAery(콩콩이 소환)추가딜
Zoomies(슈우우웅) 힐주면 쪼-금이라도 SummonAery(콩콩이 소환)실드

네. 콩콩이는 임팩트가 있는 룬이 아니고 조-금씩 도와주거나, 조금 더 갉아먹는. 그런 룬입니다.

초반 약한 라인전을 보완해주기에는 더할 나위가 없겠죠.


ArcaneComet(신비로운 유성)의 경우는 고려해볼만 하다고는 생각하지만

게임 끝나고 룬 수치를 한번 눌러보세요. SummonAery(콩콩이 소환) 추가보호막 수치를 확인해보세요.

다시 SummonAery(콩콩이 소환)를 들 생각이 가득해지실걸요?




2. ManaflowBand(마나순환 팔찌) 마순팔은 이견이 없을 것 같군요.




3. Transcendence(깨달음) vs AbsoluteFocus(절대 집중)

레벨 10 기준 쿨타임 10% vs 추가 AP 입니다.


물론 추가AP는 언제나 좋은 능력치입니다.


하지만 보통 유틸형 챔피언들이 다 그렇지만, '쿨감' 아주 중요하죠.

한 번이라도 Janna(잔나)Yummi(유미)Soraka(소라카) 이런 챔피언을 제대로 해보셨다면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전시즌까지는 유틸 챔피언들로 쿨타임40%를 맞추기 쉬웠어요. Spellthief's Edge(주문도둑의 검) 에도 쿨타임이 10%나 붙어있었거든요.

하지만 서포터 아이템에 쿨타임이 사라진 현재, Transcendence(깨달음)을 배제한다면 쿨타임 40%를 맞추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AbsoluteFocus(절대 집중)로 인한 추가AP는 언제나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저는 10레벨을 찍어야 발동된다는 제한이 있어도

Transcendence(깨달음)의 쿨타임이 더 소중하다고 생각합니다.




4. GatheringStorm(폭풍의 결집) vs Scorch(주문 작열)

먼저 Scorch(주문 작열) 룬은 초반 라인전에서 아주 좋은 효과를 발휘하는 룬입니다.

물론 Yummi(유미)의 아주 약한 초반 라인전을 Scorch(주문 작열)의 도움을 받아 조금 버텨보자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쉽지 않을거에요. 상대 원딜이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 요거 하나 들고있으면 효과가 거의 없어지는 룬이거든요.

즉, Scorch(주문 작열) 이 룬은 내가 상대방을 일단 라인전에서 때리는데, 그 견제력이 충분히 강할 때 힘을 발휘합니다.

Brand(브랜드) Zyra(자이라) Vel'Koz(벨코즈) Karma(카르마)같은 챔피언에 어울리는 룬. 이라는 이야기죠.

저번 시즌까지의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 는 충분히 강한 라인전 견제력을 가졌었지만 지금은 조금 아쉽죠.


그래서 저는 초반 라인전은 확실히 드러눕고
[10분 이후, 1코어 이후 한타를 생각하며 플레이한다]
라는 마인드로 유미를 픽하기 때문에 GatheringStorm(폭풍의 결집)을 듭니다.



5. 보조룬 PresenceOfMind(침착)CutDown(체력차 극복) vs BonePlating(뼈 방패)Revitalize(소생)

유미의 Zoomies(슈우우웅) 마나소모량을 읽어보세요. PresenceOfMind(침착) 를 들지 않는다면 2코어가 나와도 마나가 생각보다 부족합니다.

저도 정말 BonePlating(뼈 방패)Revitalize(소생)를 들고, 라인전때 조금 안전하게 Bop ‘n’ Block(퐁퐁방울)를 한번이라도 더 돌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이지만..

포기하고Bop ‘n’ Block(퐁퐁방울)를 한번 덜 돌리더라도 중후반 한타를 위해PresenceOfMind(침착) 들어줍니다. 뒤에 따라오는CutDown(체력차 극복)은 이견이 없겠죠.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Exhaust(탈진)Heal(회복) 이 조합이 기본값입니다.

원딜러에게는 barrier(방어막) Exhaust(탈진) Teleport(순간이동) Cleanse(정화) 이 넷중 하나를 추천하세요.

보통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barrier(방어막) 를 많이 들죠.

상대 조합에 하드CC기가 2~3개 이상씩 있거나 상대 원딜이 바루스라거나..  Cleanse(정화) 

우리 원딜이 나름 안전하게 cs를 수급할 수 있다면 Teleport(순간이동) 도 충분히 좋습니다.

상대 암살자나 브루저가 너무 강하다면 Exhaust(탈진)Exhaust(탈진) 2탈진도 꽤나 좋습니다. 


언제나 상황에 따라. [case by case] 입니다.

우리 원딜이 픽하고 Heal(회복)을 든 채로 화장실이나 흡연을 하러 갔다면 조금 슬프지만 Exhaust(탈진)Ignite(점화) 들어줍시다.. 또륵

참고)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Forbidden Idol(금지된 우상)를 자주 사는 유미 특성상 Heal(회복) 은 유미가 드는게 좋습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콤보

 당연히 콤보.. 따위는 없습니다만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 ->Final Chapter(대단원) 끝.

스킬 활용 팁

 Bop ‘n’ Block(퐁퐁방울)


라인전 때도 물론이지만 한타중에 Bop ‘n’ Block(퐁퐁방울)와 You and Me!(너랑 유미랑!)SummonAery(콩콩이 소환)를 잘 쓰는 데에서 Yummi(유미)의 실력이 보입니다.


Zoomies(슈우우웅) 힐은 적당히 필요해 보이는 곳에 붙어서 쓰면 되는 부분인지라 그렇게 어렵진 않으실거에요.


하지만 한타 중간중간에 한번씩 안전하게 돌리는 Bop ‘n’ Block(퐁퐁방울)는 생각보다 아주 중요합니다.


한타 중간에 생기는 Bop ‘n’ Block(퐁퐁방울) 생각보다 막대한 실드량 +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추가 힐량 + 본체Yummi(유미) 마나 보충



위 설명처럼 Bop ‘n’ Block(퐁퐁방울)와 You and Me!(너랑 유미랑!)SummonAery(콩콩이 소환)를 잘 쓰기 위해서는 한타시 꽤 집중을 하실 필요합니다.


한타 중에 본체Yummi(유미)가 You and Me!(너랑 유미랑!) 이동중에 Pillar of Ice(얼음 기둥)Crystallize(결정화)The Quickness(매혹의 질주)광역스킬에 휩쓸리면 안.됩.니.다.


눈 부릅 뜨고 저런 스킬이 빠지는걸 보세요. 급박하게 You and Me!(너랑 유미랑!)이동해서 Zoomies(슈우우웅)을 줘서 살릴 수 있는 각이 아니라면



저런 스킬들이 빠지고 나서 이동하세요.



이 부분이 한타를 할 때 유미가 제일 집중해서 봐야하는 부분입니다.



상대가 본체Yummi(유미) You and Me!(너랑 유미랑!) 갈아타기를 끊을 수 있는 스킬이 빠졌다 ->


유미의 Final Chapter(대단원) 궁각을 만들기 쉽다. 아무에게나 You and Me!(너랑 유미랑!)이동해서 Zoomies(슈우우웅)를 쓸 수 있다.


스윽 나와서Bop ‘n’ Block(퐁퐁방울)를 돌릴 수 있다.


종합 : 유미가 할 수 있는 모든걸 자유롭게 할 수 있다.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 쿨타임이 돌 때마다 써주는건 아무나 맞춰도 됩니다.


물론 상대중 물몸 챔피언에게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를  맞추면 더 좋겠지만, 그 각만 집중해서 보려다가는 상대 주요 스펠 빠지는걸



확인하지 못하고, 다른 아군 상황을 못보고, 상대 브루저나 탱커가 사용하는 스킬을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에 있는 현재체력 비례 %데미지 + CutDown(체력차 극복) 와의 시너지로 상대방 앞라인에게 q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즉, 한타 중간중간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는 쿨타임 돌면 쓰고보자.


또한 숙련도가 된다면 항상 강화된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를 맞추자.



 Garen(가렌) ---Lucian(루시안)(Yummi(유미)) 이렇게 근접해서 적이 붙어있다면?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를 오른쪽으로 사용해서 위나 아래방향으로 한바퀴 크게 돌려서 상대에게 맞춰주세요.


강화된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와 그냥 맞추는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는 생각보다 데미지 차이가 큽니다. 강화된 Prowling Projectile(사르르탄)를 사용하도록 연습합시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아이템 빌드
  • 증폭의 고서
    마법 - [주문력]
  • 요정의 부적
    마법 - [마나 재생]
  • 악마의 마법서
    마법 - [주문력]

  • 암흑의 인장
    방어 - [체력]
  • 금지된 우상
    마법 - [마나 재생]
  • 사라진 양피지
    마법 - [주문력]
위에서 한참 말씀드린 것처럼


유미는 처음 라인전에 할 수 있는게 거의 없습니다.


맞딜을 하는건 보통 불가능에 가깝죠.


그래서 저는 보통 Control Ward(제어 와드)Spellthief's Edge(주문도둑의 검) 이렇게 삽니다. 그리고 라인전을 드러눕는거죠. 어차피 Yummi(유미)를 뽑았다면

상대 서포터는 Thresh(쓰레쉬)Nautilus(노틸러스)Volibear(볼리베어) .. 이런 챔피언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차피 Bop ‘n’ Block(퐁퐁방울) 돌린답시고 뻔하게 나왔다가

상대방 원딜에게 Dagger(단검)Dagger(단검) 를 선물해주기 딱 좋거든요. 상대 서포터 스펠을 잘 보시면 Flash(점멸)Flash(점멸)Flash(점멸)Flash(점멸)


분명히 들고 있을겁니다. 뻔하게 밖으로 막 나오지 마세요.

Bop ‘n’ Block(퐁퐁방울) 패시브.. 물론 초반에 마나 너무 부족하고 쿨타임 돌 때마다 나와서 평타 치고 들어오고 싶겠지만

상대방도 알고 있습니다. Bop ‘n’ Block(퐁퐁방울) 가만히 다 맞아주면 Yummi(유미)가 라인전 엄청 편하게 하고 힐도 자주 쓸 수 있는거.

그래서 그냥 드러눕고 진짜 왠만한 상황 아니면 나와서 Bop ‘n’ Block(퐁퐁방울) 안돌립니다.


Bop ‘n’ Block(퐁퐁방울) 돌릴만한 경우 : 서로 1~2렙이고 내가 스킬을 맞아도 죽을 가능성은 거의 없을 때.

                         포탑을 끼고 상대방이 포탑을 툭툭 칠때. ( Rocket Grab(로켓 손) Dredge Line(닻줄 견인) Death Sentence(사형 선고)그랩은 꼭 조심하세요. )


                         상대방 cc기가 빠져서 내가 좀 맞을진 몰라도 패시브 돌리고 들어올 수 있을 때.



2렙 타이밍에 레오나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볼리베어 Flash(점멸)Majestic Roar(우렁찬 포효) 등 조심하세요. (2번째 웨이브 근거리 3마리 사망시)

                    

Health Potion(체력 물약)을 사는 경우( 1개만 구입) : 상대 서포터가Sona(소나)Janna(잔나) 등 내가 자주 나와서 패시브를 돌릴 수 있을 때 입니다.

CC 서폿의 경우는 Taric(타릭) 일 때 살만 합니다.

Health Potion(체력 물약) 하나 살 돈 아껴서  Faerie Charm(요정의 부적) 삽니다.

Yummi(유미)는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유무에 따라 정말 다른 챔피언이 되기 때문에 무조건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입니다.

우선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뽑는게 가장 중요합니다만, 라인전에 도움을 주는Amplifying Tome(증폭의 고서)Fiendish Codex(악마의 마법서)Faerie Charm(요정의 부적)Faerie Charm(요정의 부적)를 먼저 사시고,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는 최대한 나중에, 가능하면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로 완성될 때 한번에 사세요.

The Dark Seal(암흑의 인장)은 있으면 꽤 좋지만 서포터에게는 350원이 생각보다 비쌉니다.

350원 차이는 대략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Fiendish Codex(악마의 마법서) 와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의 차이입니다. (400원 차이)

무조건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입니다.
 
용싸움 등 한타 타이밍인데 The Dark Seal(암흑의 인장)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Fiendish Codex(악마의 마법서) 들고있는 유미와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들고있는 유미는 다른 챔피언입니다.





이 첫 핑와는 보통 미드 옆 점부쉬에 합니다.


상대 정글이 어느쪽에서 스타트를 할지 생각한 다음, 그 반대쪽 점부쉬에 박아둬요.


바텀 라인전은 드러눕고 대신 우리팀 상체에게 힘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죠?


그렇게 준 도움으로 나중에 로밍이나 갱을 오기 쉬워지겠죠.. 단 1 티모미터 만큼..이라도요!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1코어 이후에는 이제 쿨타임입니다.

1코어 템이 나올 때 쯤이면 Transcendence(깨달음)으로 쿨타임 10%,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으로 10%. 즉 20% 입니다.

저는 이 시점에 Forbidden Idol(금지된 우상) 을 거의 항상 먼저 구매합니다만, Lost Chapter(사라진 양피지)->Hextech GLP-800(마법공학 GLP-800)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를 먼저 올리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바로 Yummi(유미)본체가 초~중반에 잘 컸을 때 입니다.






그리고 이제 게임 상황에 따라, 챔피언 구성에 따라 템트리를 달리 합니다.


1. 게임이 급하다. 너무 불리해서 위험하다. (이미 3용을 줬다거나, 바론압박이 세게 들어온다거나)

 Ardent Censer(불타는 향로)  Mikael's Crucible(미카엘의 도가니) 상황에 따라, 조합에 따라서.


하지만 요즘은 중반타이밍에 스노우볼이 빠르게 굴러가는 경우가 많아서 향로나 미카엘 2코어를 빠르게 완성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아요.



2. 게임이 팽팽하고 무난하다. 30분 넘는 게임이 될 것 같다. ( 용 나눠먹고, 포탑도 적당히나눠먹고.. )

시야싸움 계속 하면서, 간 보고, 노려볼 각 만들어보고 서로 째려보는 경기입니다.

Forbidden Idol(금지된 우상) + Lost Chapter(사라진 양피지) 을 구매해서 빠르게 쿨감 40%를 맞춰서 스킬 자주 돌리고 Final Chapter(대단원)도 각 괜찮다 싶으면 쿨하게 씁니다.



--  결   론  -- 


1순위 아이템

★★★      ★★★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 
킹 ㅡ 갓 ㅡ 성 ㅡ 배


2순위 아이템
The Dark Seal(암흑의 인장) -> 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 잘 죽지 않는 유미 특성상 고효율을 뽑는 경우가 많습니다.



3순위 아이템 ( 상황에 맞춰서 갑시다. )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 슈렐리아. 시비르 궁극기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팀 이니시가 빈약하지만

꼭 이니시를 걸어야 될 것 같을 때 ( 사이드 운영이 힘들다 ) 올려줍니다.

 Mikael's Crucible(미카엘의 도가니) 미카엘. Leona(레오나)Sejuani(세주아니)Annie(애니)Amumu(아무무)Ashe(애쉬)Elise(엘리스)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Fiddlesticks(피들스틱)Varus(바루스)

 하드CC로 부터 우리팀 딜러진을 지켜야 할 때 올려줍니다. 

 위와 같은 친구들이 적으로 나오면 1코어로 올릴 때도 있습니다.

 특히 아군 미드/정글이 딜러이면서, 뚜벅이, 이니시에 취약한 챔피언일 때 1~2코어로 꼭 올려줍니다.

 위와 같은 이니시로 한번에 쓸리지만 않으면 이길 것 같은 게임일 땐 Fiendish Codex(악마의 마법서) 는 이미 보유하고 있을테고..

 Faerie Charm(요정의 부적)Faerie Charm(요정의 부적) 2개의 요정의 부적으로 바로 미카엘을 올릴 때도 있습니다.

 Ardent Censer(불타는 향로) 향로. 주문력+쿨감+아군 평타 강화까지. 유미에게 정말 무난하고 좋은 아이템입니다.

 Redemption(구원) 구원. 말해모해 좋습니다. 5vs5 팀파이트시 엄청난 효과를 가져오는 아이템입니다.

 Hextech GLP-800(마법공학 GLP-800) 물뿌리개. 저는 보통 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 을 더 선호하는데, 꼭 물뿌리개를 갈 때가 있습니다.

 상대 원딜이나 미드가 Aphelios(아펠리오스)Jinx(징크스)Syndra(신드라) 기타등등.. 과 같이 뚜벅이인데, 아군 이니시가 약한 경우.
 ★★ 상대 원딜이 Kalista(칼리스타)인 경우 ★★ -> 슬로우 묻혀주면 좋아죽음.

 Twin Shadows(쌍둥이 그림자) 쭈꾸미.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슈렐리아나 Hextech GLP-800(마법공학 GLP-800)와 함께 올린다면 시너지도 나고 시야싸움에도 도움을 줍니다.


상대 딜러진이 뚜벅이일 때 꽤나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상대방 은신 챔피언, 사이드 포지션으로 들어오는 챔피언들

Shaco(샤코)Wukong(오공)Khazix(카직스)Kayn(케인)Sett(세트)Diana(다이애나)Akali(아칼리)Talon(탈론)Qiyana(키아나)Kennen(케넨)등등 ..
본대 근처에서 시야놀이하면서 깔짝대는 챔피언Lee Sin(리 신)Nidalee(니달리)Rek'Sai(렉사이)Senna(세나) 등등 .. 


이 잘커서 까다로울 때 올리면 좋습니다.

Hecarim(헤카림)이 잘커서 박으려 할때 Twin Shadows(쌍둥이 그림자) 써주면 좋아죽습니다. 탈진 선입력으로 거는 것과 비슷한 이치.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 빨간모자. 말해모해 그냥 비싼 값 하시는 아이템. 비싸서 자주 못사요 또르르




추가 공략 Etc


유미를 픽하면 안되는 경우
우리팀 조합이 '초반 스노우볼'을 막대하게 굴려서 20분~25분 내외로 게임을 끝내야만 하는 조합일 때.


우리팀 원딜이 칼리스타일 때.


전체적인 팀 조합에서 내가 라인전 혹은 초반 로밍싸움에 강점을 가져와야 할 때.




초반 운영법

라인전 최약체.



라인 푸시력 최약체.



제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길 빕니다.



그래도 나와서 평타를 계속 친다면 0.5인분 정도는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잊지마세요.


그를 위해서 첫 Health Potion(체력 물약)까지 버리고 Control Ward(제어 와드)를 사서 정글에 설치하는 겁니다.



하지만 라인전/라인 푸시력이 최약체인 만큼



우리 바텀이 푸시할때가 거의 없습니다. 즉 갱킹을 받을 위험이 적다. 상대바텀이 갱 압박을 느낀다면 베스트.



우리 바텀이 다이브를 당할 때 우리 정글이 상체에서 다이브/갱 성공해주길.. 두꺼비 하나 빼먹지 말고 .. 야BAL..



중반 운영법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가 나왔습니다.



앵간하면 상대 서포터보다 해줄 수 있는게 많아요.



우월한 한타력을 뽐냅시다.


후반 운영법

다른 딜러들과는 다르게. 안전하게 올라타서 현재 체력% + luden's echo(루덴의 메아리) + GatheringStorm(폭풍의 결집) + 쿨감40%로 포킹할 수 있습니다.




힐량 또한 어마무시하죠.


You and Me!(너랑 유미랑!)로 인한 능력치 상승량도 생각보다 엄청납니다.


쎕니다 쎄요 . 잊지 마세요. 본체는 Yummi(유미) 입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보통 2종류로 나뉩니다.

1) 이니시를 걸 때

2) 이니시를 걸릴 때


1) 우리팀이 이니시를 거는 상황에는 보통 Irelia(이렐리아)Wukong(오공)Renekton(레넥톤)Maokai(마오카이)Darius(다리우스)Tryndamere(트린다미어)Diana(다이애나)  이런 팀원에 타서 시작합니다.


엄청 조심스럽게 궁각을 재서 Flash(점멸)Crescendo(크레센도) 등을 해야하는 Sona(소나)와는 달리 친구 위에 타서 천천히 각 보고


Final Chapter(대단원)를 딜러진에 맞춰줍시다. 앵간하면 2~3인은 속박 하기 쉬울 겁니다.


그럼과 동시에 본체Yummi(유미)가 휪쓸리기 좋은 상대편 하드CC기 Flay(사슬 채찍) 등이 빠지는걸 보면서


You and Me!(너랑 유미랑!)SummonAery(콩콩이 소환)You and Me!(너랑 유미랑!)SummonAery(콩콩이 소환)You and Me!(너랑 유미랑!)SummonAery(콩콩이 소환) 돌아다니세요. 적절한 곳에 Zoomies(슈우우웅)을 써주고, 안전하게 Bop ‘n’ Block(퐁퐁방울)를 돌리세요.



상대편 하드CC기가 빠지는 걸 잘 보세요 !! 


2) 우리팀이 이니시를 걸린다면, 상대 딜러진에게 Final Chapter(대단원)를 맞춘다는 욕심보다는, 팀원을 최대한 살리면서


적들에게 오지마 궁Final Chapter(대단원)Final Chapter(대단원)Final Chapter(대단원) 을 쓰는 경우가 많은 것 같네요.


물론 우리팀  잘 큰 Irelia(이렐리아)Renekton(레넥톤)Diana(다이애나)에게 붙어서 역이니시각을 볼 수 있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만 


상황마다 다르겠죠? 보통은 물린 팀원에게 붙어서 Zoomies(슈우우웅)Redemption(구원)를 써주고 Final Chapter(대단원)을 상대편 쪽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그 전에...  상대편 하드CC기가 빠지는 걸 잘 보세요!! 물린 팀원에게 Zoomies(슈우우웅) 해주려다가


Grand Entrance(화려한 등장)The Quickness(매혹의 질주)  Crescendo(크레센도)  Flay(사슬 채찍) 같이맞고 Dagger(단검)Dagger(단검) 이 됩니다.





 Mikael's Crucible(미카엘의 도가니)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몽상)Twin Shadows(쌍둥이 그림자)Redemption(구원) 액티브 아이템들을 사셨다면 적재적소에 사용해 주는것도 중요하겠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유미가 나온 초창기부터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 유저이며 실제 고양이 집사로써



최근 유미의 입지가 조금은 돌아온 것 같아 기쁜 마음에 끄적여 봤습니다.


많은 서포터 유저분들과 유미 유저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Yummi(유미)Yummi(유미) 유미 기여어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1명

나도 한마디 (5)

  • 진정해친구야 | [답글] 오랜만에 나온 유미 공략 잘봤습니다.
    궁굼한 것과 몇가지 질문 드릴것이 있습니다.

    1. 유미 궁극기는 데미지를 기대하고 쓰는 스킬이 아닌 딜러보호, 진형 억제가 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2렙3렙 궁극기가 가지는 의미는 쿨타임 감소인데, 스킬포인트를 다른곳에 투자하는것이 유미의 전성기를 2~4분 앞당기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2. 미카엘은 말자하 제압 안풀리지 않나요?
    (뭐, 회복량20%증가는 너무 좋지만요)

    3. 저는 유미의 가장 큰 메리트는 초중반 '아이템이 빨리나온다' 라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1000~1100원의 신발을 안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공략중에 적으신 GLP를 갔을때의 경우 '룬을 굳이 침착을 들어야할까?' 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영감트리의 신발과, 비스킷 을 들어서 팔면 210+90=300 의 골드를 얻습니다.(비스킷의 150마나증가도 있죠)
    약간 비싼 아이템을 가는데 도움이되고, 굳이 마나가 넘칠필요는 없지 않을까 합니다.

    4. 추가로 시작아이템의 핑와는 주로 어디에 박으시는지 궁금합니다.
  • 진정해친구야 | 제가 잘못 읽었네요.
    마나관련템은 언제든지 가시는군요
  • 아이콘 메노스인데요 | 1. 궁극기 찍으세요... 2. 미카엘로 제압은 안 풀리던걸 잊었네요.. 수정하겠슴다 감사합니다! 3. 침착은 초중반 마나 유지력/ 중반 한타에 큰 도움이 됩니다. 체력차극복도 꽤나 도움되고요! 4. 본문에 적혀있지만 보통 미드라인 옆 점부쉬에 박습니다.
  • 용타는모데 | [답글] 만족스럽군요, 엑셀드립니다.
  • 아이콘 메노스인데요 | 엑셀 감사드립니다!!!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ㅎㅎ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