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 vs 사일러스 영상 추가 갈리오 원챔의 미드갈리오 심화 사용법.

6 / 8 | 아이콘 다이제드 | 댓글: 19개 | 조회: 48,739 |
2020시즌








2021시즌


본인인증용+원챔 인증용 스샷
세트는 갈리오 밴당하거나 뺏기면 했습니다. (처참한 승률)


일단 글로만 어느정도 써두고 나중엔 영상 첨부까지 할 생각입니다.
스킬활용에서 말로는 설명하기 힘든 점들이 많아서요



현재는 lover galio -> GALIO KING 으로 닉변했습니다
럽갈님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서요 ㅠㅠ 죄송합니다.
Runes

Transcendence(깨달음) 선 벨트 템트리를 가신다면 깨달음
AbsoluteFocus(절대 집중) 선 슈렐리아 템트리를 가신다면 절대집중을 들어주세요

왜냐? 슈렐리아를 가게되면 원거리 미니언이 Q 한방에 죽지 않기 때문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위 룬으로 고정하는 상태에서
BonePlating(뼈 방패)VSSecondWind(재생의 바람) Demolish(철거)VSShieldBash(보호막 강타) 두가지를 상대 미드정글을 보고 정하면됩니다.

1
BonePlating(뼈 방패)뼈방패 들어야하는 상대
-견제기가 거의 전무하고 들어와서 빡딜교 하고 가는 챔피언.
Renekton(레넥톤)Sett(세트)Sylas(사일러스)Ekko(에코)Irelia(이렐리아)Qiyana(키아나)Kled(클레드)Pantheon(판테온)Pyke(파이크)Fizz(피즈)Kalista(칼리스타)
cf)사일러스는 예외적으로 Q라는 견제기가 있긴 하지만 1랩 딜교환에선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뼈방패를 들어줍니다.

SecondWind(재생의 바람)재생의 바람 들어야하는 상대
-뼈방패를 쉽게 빼고 딜교할 수 있는 챔피언 상대
Ryze(라이즈)Rumble(럼블)Lux(럭스)Lissandra(리산드라)Morgana(모르가나)Malzahar(말자하)Lulu(룰루)Malphite(말파이트)Vel'Koz(벨코즈)Vladimir(블라디미르)Syndra(신드라)Ahri(아리)Aurelion Sol(아우렐리온 솔)Akali(아칼리)Anivia(애니비아)Orianna(오리아나)Zoe(조이)Xerath(제라스)Ziggs(직스)Camille(카밀)Karthus(카서스)Kassadin(카사딘)Cassiopeia(카시오페아)Lucian(루시안)LeBlanc(르블랑)Veigar(베이가)Aurelion Sol(아우렐리온 솔)Yone(요네)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Tristana(트리스타나)Talon(탈론)Katarina(카타리나)Cho'Gath(초가스)Jayce(제이스)Zed(제드)Aatrox(아트록스)Yasuo(야스오)Diana(다이애나)


2
Demolish(철거)철거를 들어야할 때
- 충분히 1~2칸이라도 채굴 할 수 있는 상황이 나올 것 같을때 선택 100판중 90판은 철거 사용


ShieldBash(보호막 강타)보호막 강타를 들어야하는 상대 미드+정글 조합
- 보호막 강타를 이용한 딜교가 가능할 거 같을때 들어줍니다 ex)상대 미드가 요네 야스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FLEX(유연)FLEX(유연) 이 애기룬 두개는 당연히 아시겠지만 상대가 ad이면 방어룬 ap이면 마저룬을 드시면 되는데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상대가 Lucian(루시안)Jayce(제이스)Zed(제드)일 때. 적응형+방어+방어를 들어서 쉽게 존버할 수 있도록 해줍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redator(포식자)원거리 상대할때 가끔 들어줌 예를들어 상대 미드가 '조이' '루시안' '빅토르' '애니비아' 같은 챔피언일때.
저는 선호하지 않지만 포식자가 자신의 플레이스타일에 더 잘 맞는다고 생각하신다면 아래처럼 찍어주시면 됩니다. 



빛망 꼭 필요하다면 마법
빛망 필요없고 버티기 쉽게 가고싶으시면 결의 찍어주시면 됩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텔 점멸 고정 다른거 절대 들지 말 것

그럼 이걸 어떻게 활용하느냐?

Teleport(순간이동) 
1) 라인복귀용으로 사용
초반에 갱 당하고 심하게 맞아서 라인 손해보면서 집을 가야 된다거나 죽어버린 경우
눈물을 머금고 라인복귀용 텔을 써서 손해를 최소화합니다. 이건 어쩔 수가 없습니다 정글차이기때문에.

2) 탑,바텀 상대팀의 초반 갱 받아쳐주기
전 이 방법으로 이긴게 굉장히 많은데 정글 챔피언마다 다르지만 보통 3분 10초~3분 30초 쯤에 탑갱을 갑니다.
그런데 이 타이밍에 내가 라인을 상대 포탑에 박아넣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럼 상대 정글이 탑갱을 갔을때 텔포타서 합류후 적 정글을 잡거나 상대탑을 잡아주기만 하고 바로 미드로 복귀하면 라인 손해가 크지 않아서 이득을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 플레이 한 번으로 상대 정글은 갱 실패후 죽기까지해서 성장이 말려버리고 우리 정글은 위아래 바위게 모두 챙겨버리는게 가능해지고 + 상대 탑이 개빡쳐서 정글이랑 싸우다가 오픈할 수도 있습니다 개꿀
역버프 후 바텀갱 가는 경우에도 똑같이 해주면 됩니다.

예외) 상대정글이 레드먹고 바텀 2랩갱 가는건 100이면 99 텔포타는순간 내 라인전이 끝나버리니까 타지마세요.
이거 안 탄다고 텔포핑찍는 팀원도 없을겁니다 하지만 롤은 질병겜이기 때문에 만약 이런 놈들이 있다면 /muteall 후에 겜 하면 됩니다.


Flash(점멸)
벽 넘기용 뭐 이딴건 굳이 설명 안하겠습니다.
설명하고싶은건 Flash(점멸)을 쓰면 터지는 NimbusCloak(빛의 망토)빛망 효과를 이용한 예측안되는 거리의Shield of Durand(듀란드의 방패)w
이건 나중에 영상 첨부하긴 할텐데 직접 많이 해보셔야 늡니다.
e플w 쓰면 상대 원딜 입장에선 이게 뭐지? 싶을정도로 말도안되는 거리에서 도발을 맞추기때문에 꼭 많이 해보길 바랍니다 빛망 w의 활용도가 갈리오 숙련도를 좌우합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활용 팁

기본적으로 이걸 보는 사람들이 갈리오 스킬이 어떤건지는 알고있다는 전제하에 쓰겠습니다.


Colossal Smash(석상의 강타)패시브 (광역 평타)

타겟팅한 적 주위에 있는 모든 적을 같은 피해량으로 때리는 평타를 쓰게 해주는건데

이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굳이 상대방을 직접 눌러서 치지 않더라도 적 주변에 있는 미니언을 때려서 적 미드라이너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원거리 챔피언을 상대할땐 활용할 일이 많지 않지만 근접챔피언을 상대할땐 상대가 우리팀 미니언을 먹으려 할 때 적 미드라이너 근처에 있는 미니언에 다가가 평타를 쳐주면 적 미드라이너는 평타 사거리가 닿지 않는곳에서 이기적인 딜교를 해낼 수 있습니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패시브평타 데미지가 쎄기도 하고 상대는 때리지 못하는 거리에서 나 혼자 때린다는게 매우 큰 메리트가 있습. 이거 하나하나 쌓여서 나의 라인주도권이 생기는겁니다.

내 경험상 플레2~3까진 상대 미드라이너가 이거 거의 생각 안하고 그냥 당해줍니다 그냥 이런 스킬을 인식하고있지 않는 느낌? 그래서 주도권 매우 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Winds of War(전장의 돌풍)Q

갈리오의 라인푸쉬 및 초반 딜교를 담당하는 스킬인데 활용법은 딱히 없습니다.

평범하게 Q가 타겟한 곳에 모이면서 추가 퍼뎀을 주는 거를 제외하고 설명하자면

Q는 Q 돌풍이 지나가는 자리에 데미지 + 모이는 곳에 데미지 총 2번이 들어가는데

보통의 상황에선 상대가 미니언을 먹을때 Q를 정빵으로 맞춰주는게 베스트지만 우리 정글이 카정을 들어간다거나 바위게 싸움을 하려고 하면 라인을 빨리 밀고 합류를 해줘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럴땐 Q를 상대 미드라이너를 노리고 쓰지말고 상대 원거리 미니언을 향해서 쏘되 Q가 지나가면서 상대 미드라이너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해주는게 베스트.

그러니까 굳이 추가퍼뎀을 위해 라인푸쉬를 포기하면서까지 상대 미드라이너를 노릴 필요는 없다는것임.

말로만 보면 엥 이게 뭔소리야? 싶겠죠 제가 읽어도 그렇네요 나중에 영상 넣도록 하겠습니다.




Shield of Durand(듀란드의 방패)W

갈리오 숙련도가 가장 크게 드러나는 스킬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정말 상황에따라 활용법이 다르고 어떻게 쓰냐에따라 숙련도가 갈리기 때문에 많이 나오는 상황만 몇가지 얘기해주겠습니다.


1) 한타가 열린 상황 상대 딜러가 이즈리얼E.카이사R 같이 순간적으로 사라질 수 있는 이동기를 가진 경우엔 W를 길게 차징하지않고 가까이 붙자마자 W를 0.4초~0.5초정도 짧게 차징 후 E를 반대로 써서 박아줘야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적게 차징하면 w도발시간동안 e를 맞아주지 않으니 적당히 차징은 해야합니다.

W를 오래 차징하게되면 저런 챔피언들은 도발 범위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W를 오래 차징하지 않았기때문에 E를 정면으로 쓰면 도발이 풀리자마자 날아가버리기때문에 E를 못박게됩니다. 따라서 E를 반대로 써줘서 0.1초라도 빨리 박아줘야합니다.

돌풍정도의 돌진거리는 갈리오가 바짝 붙어있으면 W풀차징 거리에 걸릴 수 있는데 이즈리얼 카이사는 무조건 W짧게 끊어줘야됩니다.



2) 사이드 대치 중 팀원이 나와 맞라인을 선 상대를 잡자고 오는데 아군의 호응 거리가 애매할 경우엔 W를 풀차징되자마자 바로 박게되면 아군이 도착했을땐 도발이 풀린 상태여서 아군 스킬을 100%확정적으로 맞출 수 없게됩니다. 따라서 W를 풀차징까지 쌓은 상태에서도 W를 계속 꾹 누르고 있다가 아군이 적에게 스킬을 맞출 수 있는 거리까지 왔을때 W를 풀어주면 도발에 걸린 상대에게 아군이 쉽게 스킬을 맞추고 딸 수 있게됩니다.

이 상황은 정말 많이 나오기때문에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3) 도주시 W활용

도발스킬엔 상대가 나에게 평타를 치는 것 뿐만 아니라 적지않은수준의 슬로우도 묻어있습니다.

따라서 도주시 적이 가까이 나에게 붙었을 때 W를 1초정도 차징하고 써주면 적과 거리를 벌려서 도주E사용이 가능해집니다.



4) W길게 차징하기

생각보다 많이 나오는 상황인데 W를 풀차징하자마자 쓰지않고 W를 계속 꾹 누르고있으면 가끔 다른 상대가 W를 쓴줄알고 W끝자락 범위 안에 들어올 때가 있습니다.

글로만 보면 엥 이런 멍청한짓을 한다고? 싶지만 꽤 많이 일어나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 아니고서라도 내가 도발을 걸려는 상대가 도주기가 빠진 상태라면 일부로 W를 길게 차징해서 범위를 벗어나려고 하는 상대에게 딜로스를 줄 수도 있습니다.





Jusrice Punch(정의의 주먹)E


1) E 반대로 쓰기

갈리오E는 뒤로 약간 도약했다가 앞으로 돌진하는 매커니즘인데 상대방과 딱 붙어있을때 상대방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쓰면 뒤로 도약하고 앞으로 돌진하는 만큼 시간이 더 걸리고 그때문에 상대방이 무빙으로 피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상대방과 붙어있을땐 E를 상대방과 마주보지않고 반대로 써서 돌진과 동시에 상대방과 박치기할 수 있도록 해줘야됩니다.

이게 손에 익으면 스킬 콤보에 질이 올라가는데

W풀차징을 했을땐 E를 정면으로 써도 상대방이 도발이 걸린 시간동안 서있기때문에 맞출 수 있지만

W를 짧게 차징 했을땐 정면으로 쓰면 E돌진도중에 상대방이 빠져나갈 수 있기때문에 E를 반드시 반대로 써줘야 맞출 수 있고

추가로 E를 반대로 박을줄 알게되면 W이후에 바로 E를 쓰지않고 QE를 써서 Q에 달린 추가퍼뎀을 모두 입힐 수 있게돼서 더 많은 딜을 박을 수 있습니다.



2) 도주

뒤로 살짝 도약했다가 돌진하는거라 도주할때 E활용을 잘 해줘야하는데

예를 들자면 내가 도주하는데 상대 헤카림이 내 도주경로 쪽으로 계속 막아서면서 카이팅질하면 E를 헤카림을 바라보고 쓰지않고 반대로 쓰면 헤카림 앞으로 내가 이동하면서 더 빨리 도주할 수 있습니다.



3) 라인 클리어
갈리오가 잘 못크거나 초반or후반엔 Q 한방에 원거리 미니언이 죽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4랩정도까진 Q평E로 원거리 미니언을 딱 맞게 지우거나
이후에 Q만 썼을때 피가 약간씩 남은 원거리 미니언들을 E로 지우면서 라클만 하고 도망가 버릴 수 있습니다.
절대 E를 상대 근접미니언 -> 원거리 미니언으로 쓰지 말고 상대 원거리 미니언 -> 근거리 미니언쪽으로 써줘야됩니다
스킬 다 쓰면서 상대쪽으로 갖다박는건 상식적으로 쳐맞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4) 벽을 등진채로 사용
갈리오가 바로 뒤에 벽을 등진채로 E를 쓰면 E도약 모션이 잘 안보이고 뒤로 도약도 안 해서 더 빨리 박음 (사거리가 늘어나진 않음)
써보면 알텐데 라인전중에 벽에 등진채로 E쓰면 상대가 더 잘 맞아줍니다.
이거 이용해서 라인 당기다가 미드 부쉬 옆벽쪽으로 빠지는 도중에 벽 등지고 EQ평W차징하면서 빠지면 딜교 이득 볼 수 있는 상황이 많이 나옵니다. 이거 진짜 꿀팁 상대 라이너들 잘 생각 못합니다 이거. 티어 낮을수록 잘 당해줍니다.
주의) 괜히 했다가 박치기 거리 계산 못해서 실패하면 개맞습니다.


5) 뒷도약으로 스킬 피하기
E쓸때 뒤로 뛰는걸 이용해서 상대 스킬 피할 수가 있는데 굳이 더 설명할 필요없이 딱 들으면 어떻게 하는건지 아실듯하네요.




Hero's Entrance(영웅출현)R

W광역도발과 더불어서 갈리오를 쓰는 이유인데 이걸 잘 써야 승률이 오릅니다.


1) 라인 주도권을 갖고있는 궁을 들고있는 상태

라인을 밀고 멀뚱멀뚱 서있지 말고 일부로 상대 바텀쪽으로 내려가는 동선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하면 상대 바텀에 위험핑 찍혀서 압박 받던 우리팀 바텀에 숨 좀 쉬게 해줄 수 있고

우리 바텀이 라인을 박은 상태라면 다이브 압박을 줄 수도 있습니다.

궁 없을때도 가능한짓이긴 하지만 궁 있을때 하면 효과 직빵입니다.

우리팀 바텀은 이유도 모른채 라인 주도권을 조금 얻게 되는 거예요.

단 이짓거리 할때 너무 멀리 나가면 칼부먹던 상대정글이랑 눈 마주치고 죽을 수가 있습니다 주의해서 하세요.


++ 미니언을 정리하고 빠질때 일부로 상대 미드 시야범위내에서 바텀쪽으로 무빙을 치고 시야 밖으로 벗어난 후에 다시 탑쪽으로 무빙을 밟아서 탑 로밍을 가는 낚시 플레이도 가능합니다. 상대 미드는 갈리오가 아래쪽으로 사라지는걸 보고 바텀에 빽핑을 찍고 탑에는 찍지 않을텐데 이런점을 이용한 낚시성 플레이입니다. 쓸 일이 많으니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2) 꼭 합류용으로만 쓸 필요 없음

광역 AP베리어 광역 에어본은 상대입장에서 굉장히 큰 압박입니다.

소규모 교전이나 한타에서 멀리서 합류할 때만 R을 사용하지 말고 EQW패시브 다 터뜨리면 각보다가 궁 써버리세요 궁 에어본 피하려고 도망가다가 적 딜로스 생기기도 하도 초반 AP메이지들 스킬 하나정도 씹을 베리어는 나와서 소규모쌈에서 역전도 쉽게 나옵니다.

딱히 이거에 대해선 더 설명할 거 없는 거 같고 꼭 합류용으로만 생각하지 말아주셨으면 해서 적어뒀습니다.


3) 아군 돌진기에 궁 덮기

이건 너무 당연한거라 그냥 더 말하지 않겠습니다.


4) 쓸데 없는 거 타지말자

이건 텔레포트도 마찬가지인데 너가 없어도 알아서 잘 이길 거 같으면 쓰지말고 아꼈다가 다음 교전에서 활용합시다.

텔레포트나 갈리오 궁극기 있는게 상대팀에서 느끼는 압박감 자체가 다릅니다.

갈리오가 궁극기만 들고있어도 상대는 다이브 각에서도 쉽게 다이브 칠 수 없고 무리해서 치는 다이브 받아먹고 오히려 유리해질 수도 있습니다 이건 굳이 갈리오 뿐만 아니라 다른 챔피언 할 때도 합류 해야할지 안 해도 될지 각을 잘 봐야됩니다 본인의 선택 하나가 겜 바꿀 수도 있어요.



스킬 콤보같은건 스킬 활용 쓰면서 뜨문뜨문 말해뒀기도 했고 갈리오 자체가 스킬콤보랄게 없이 단순하고 그때그때 써야 될 스킬을 써주는게 더 나아서 굳이 써두진 않겠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도란의 반지
    방어 - [체력]
  • 암흑의 인장
    방어 - [체력]
  • 마법공학 로켓 벨트
    방어 - [체력]
  • 존야의 모래시계
    방어 - [방어력]
  • 공허의 지팡이
    마법 - [마법 관통력]
  • 모렐로노미콘
    마법 - [주문력]

고정적으로 무조건 가는 템

시작템 Doran's Ring(도란의 반지)도란링 + 2포
상대가 제드던 판테온이던 루시안이던 무조건 도란링 2포 고정



1. The Dark Seal(암흑의 인장) 암흑의 인장
저는 100판중에 99판정도는 암흑의 인장 무조건 샀습니다 이유로 몇가지 꼽자면
1) 암흑의 인장이 350대비 효율이 엄청 좋음 주문력+체력에 킬어시마다 추가 주문력이 있어서 350대비 미친 효율을 보여줍니다.
겜이 잘풀리면 추후에 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로 업글해서 중반부분 씹캐리 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2) 갈리오가 현재 Q로 원거리 미니언이 한방에 죽지않는 경우가 많은데 암흑의 인장을 사고 몇스택 쌓이면 8 9랩에 Q 한방에 원거리 미니언이 바로 죽어버립니다. 이런 점때문에 Q평으로 라인 빠르게 지우고 로밍 압박을 줄 수도 있습니다.



2-1.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로켓 벨트)벨트
- 슈렐리아가 뜨고서 쓰지 않았었는데 슈렐리아를 가게되면 딜이 부족해 캐리력이 떨어지는 느낌이 팍팍 들었습니다.
그래서 요즘엔 다시 벨트 가고있는데 저한텐 이게 더 잘 맞는 거 같네요
벨트or슈렐 써보고 자기자신한테 더 잘 맞는 거 써주면 됩니다.

2-2. Shurelya's Reverie(슈렐리아의 군가)슈렐리아의 군가
- 너프된벨트를 대체할 코어템입니다 상대가 제드가 아니라면 선템으로 반드시 슈렐리아를 올려주도록 합시다
단체 이속 + 주문력 + 추뎀 갈리오를 위해서 생겨난 아이템같은 느낌입니다.
다만 딜이 부족해서 팀의 딜링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긴 합니다.



3.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존야
고정

- 어그로 빼기 + 기본방어력 저질인 갈리오에게 방어력 선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후 상황에 맞게 가는 템

1.Void Staff(공허의 지팡이)공허의 지팡이 (마관)
- 요즘 대부분의 게임에서 3코어를 공허의 지팡이를 들고가고 있습니다. 부족한 갈리오의 딜을 보충해주고 2500원의 싼 가격으로 3000원짜리 다른 아이템들보다 월등히 좋은 딜량을 보장해줍니다.


2.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모렐로 (치감 필요할 때)
- 요즘 개나소나 흡혈 템이나 흡혈 옵션달린 스킬 들고오는데 모렐로 하나 든든하게 들고있으면 됩니다.
100판중에 95판은 간듯하네요 요즘엔 흡혈 안달린 애들이 없어서.
++ 요즘은 치감이 필요하시면 Oblivion Orb(망각의 구)이후에 공허의 지팡이 올려버리세요 공허의 지팡이 딜뽕이 상당합니다.



3.Banshee's Veil(밴시의 장막)밴시의 장막 (마저)
- 상향먹고 꽤 쓸만합니다 ap메이지 상대로 말렸을땐 첫코어로 올려버린적도 있습니다.
몇번 더 써보고 추후에 추가로 코멘트 달아두겠습니다.



4.(지평선의 초점)지평선 (함정템)
- 난 이거 애용함 이게 Q최대사거리에 터지기도 하고 W나 E맞추면 10% 추뎀 효과가 적용되기 때문에 원딜 혼자잡기 애매한 딜 이거 나오는순간 잡고도 남음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거리750이상의 공격 '또는' 이동 불가 스킬 적중시기 때문에 W랑 E에도 다 터짐.
하위템도 좋고 완성템도 좋음 한 번 잡숴보셈.
- 체감은 괜찮았는데 막상 다른 템들과 비교하면서 실험해봤더니 해골물이었네요 죄송합니다. 차라리 다른 템들이 더 딜이 잘 나와요 공허의 지팡이가 정말정말 갓템이니 꼭 그거 가시길 바랍니다.
+ 상향되긴 했는데 그닥이네요..


5.(악마의 포옹)악마의 포옹 (탱커잡이+추가 방마저)
- 자주 쓰진 않는데 상대에 물체력 브루져들 많은데 원딜 지키면 이기는 판에서 체력퍼뎀으로 같이 잡을때 쓰긴 합니다.
난 자주 쓰진 않음 방마저 증가가 쏠쏠하긴합니다.



6.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라바돈 (ap뻥튀기)
- 3800원이라는 돈에 비해 효율이 좋지도 않고 재료템도 사기 힘듭니다.
풀템전이 아니라면 웬만하면 구매x



7.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헤르메스신발 (강인함+마저)
- 상대 미드정글이 AP인데 너무 아프고 빡세다 싶으면 라인전타이밍에 다른템보다 이거 먼저 뽑아오기도 합니다 예를들면 조이나 빅토르 신드라 같은 애들
초반 AP메이지들 딜 이거 하나만 있어도 별로 안 아픕니다.


8.Ninja Tabi(판금 장화)판금장화 (방어력)
- 상대가 '루시안' '제드' '탈론'인데 벽이 느껴지는 실력차이다 싶으면 Seeker's Armguard(추적자의 팔목 보호대)(추적자의 팔목 보호대)랑 같이 사서 버티세요. 둘 다 나오면 맞으면서 같이 때릴만합니다.
'야스오' '요네'라면 90%는 판금장화 선택합니다. 얘네들은 선템으로 판금 뽑고오면 딜교하기 매우매우 쉬워집니다.


9.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마법사의 신발(마관)
- 위 상황 제외 모두 이거 가주도록 합시다.




Refillable Potion(충전형 물약)은 슈렐리아를 갈 때가 아니라면 사지 마세요. 

슈렐은 하위템이 2개라 템창이 부족하지 않지만 벨트는 하위템이 3개라서 충전형 물약을 샀을 때 템창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따라서 충전형물약은 슈렐리아를 선택하실게 아니라면 되도록 사지 말아주세요





3

3
3ㄷ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루시안
저는 루시안 고정밴 합니다
여러분들도 고정밴 하셨으면 합니다.

슬프지만 루시안을 갈리오가 라인전에서 자력으로 이길 방법이 하나도 없습니다 ㅠㅠ

닷지 실패하셨다면 선 판금장화 + 팔목보호대를 들고 우리 정글이 올때까지 존버해줍시다.





애니비아
의외로 갈리오 정통 카운터로 알려져있지만 생각보다 할만합니다.

다른 애들과 똑같이 라인전 하시되 주의하실점은 애니비아가 Q를 쏠때 갈리오 E로 도주를 하실 생각이라면 E를 꼭 우리포탑 정면으로 쓰지 마시고 90도 틀어서 측면으로 써우셔야 애니비아 W에 대쉬가 막히지 않아서 쉽게 도주할 수 있게됩니다.

애니비아가 정화가 아닌 텔이나 점화를 선택했다면 갱 불러서 따주도록 합시다.
생존스펠이 없는 애니비아는 갈리오의 밥입니다.
조이
저는 루시안 다음으로 조이가 힘들다고 생각해서 루시안 밴하고 팀에게 조이를 밴해달라고 하는편입니다.

상대로 조이가 나온다면 갈리오가 선E로 박는 딜교는 성공해도 이다지 이득 보기가 힘들고 실패한다면 파멸적인 손해가 되기 때문에 절대 해주지 말아주세요

미니언을 좀 포기하더라도 조이E각은 절대 주지 마시길 바랍니다.
한 번 맞으면 그대로 주도권을 줘야하기때문에 라인전을 최대한 조심스럽게 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정글싸움이나 로밍에서 킬을 드셨다면 빠르게 인장+마법교류장치로 딜찍누 하셔도 좋고
아니라면 선 헤르메스 신발 구매하신 후 라인전 단단하게 가져가주시는게 좋습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사일러스
사일이 1랩에 Q를 찍었다 - 1랩부터 Q 쏘면서 딜교
사일이 1랩에 E를 찍었다 - 사일이 E 쓰기 전까진 Q아꼈다가 E를 사용하면 Q평으로 딜교

사일과의 딜교는 항상 스킬 한사이클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조금이라도 길게 딜교하면 사일 W에 손해보는 딜교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칼리
쉬움 E만 막 안박으면 됩니다.
르블랑
르블랑 W들어오는거 보이자마자 W짧게 끊어써주세요 길게 차징하면 다시 돌아갑니다.
W짧게 끊어쓰자마자 돌아가는 위치에 Q바로 쏴주면 처음 한두번은 무조건 맞으니 이득 챙겨줍니다.

한두번 당하면 일부로 돌아가지 않고 남아서 평타딜교 할려고 할텐데 W평으로 딜교후 다시 돌아가는게 보이면 그때 Q 던져줍시다.


챔피언별 상대법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돼서 써져있던거 대부분 지웠습니다.

상대와 본인의 숙련도차이로 구도가 수시로 바뀌고 정글 챔피언 차이로도 계속 바뀌는게 미드 라인전이기때문에 정형화된 공략은 딱히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네요.

추후에 하나하나 영상으로 올리던가 하겠습니다.

vs Sylas(사일러스) 풀영상 입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주도권과 초반 와드에 대해서
라인 주도권을 잡는 것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건 내 스킬은 맞추고 상대방의 스킬은 피하는게 가장 중요하고 이건 스킬 하나하나가 소중한 라인전의 극초반 1랩~3랩 구간에서 더더욱 중요합니다.
그런데 평타 견제로 피를 뺄 수 있는 원거리 챔피언과는 다르게 갈리오는 Q 하나로만 초반 주도권 싸움을 해나가야 합니다.(상대가 근거리 챔피언이 아니라면)

그럼 Q를 미니언 미는데만 쓰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적 챔피언을 맞추는데에 쓰는게 더 좋을까요?

네, 당연히 적 챔피언의 피를 빼는게 더 중요합니다. 물론 적 챔피언과 미니언 푸쉬를 함께 하면 더욱 좋구요.

이건 1랩 Q쿨이 12초나 되는 갈리오에겐 너무너무 중요한 사실입니다.

만약 당신이 Q를 아무 의미없이 미니언에 박는 순간부터 12초 동안은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시간이 돼버리고 이건 앞으로 있을 라인전에서도 소소하면서도 어쩌면 클 수도 있는, 겉으론 티나지 않는 손해를 가져옵니다.

항상 위 사실을 생각하시면서 초반 라인전을 풀어나가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위 챔피언별 상대법에서 다 부질없다고 생각이 돼서 지운 이유도 이런 이유인데
아무리 상대 챔피언이 어렵다고 해도 Q몇번 맞추고 상대 스킬 몇번 피하면 라인전 구도가 완전히 바뀌어버릴 수 있게됩니다. 따라서 꼭 초반 갈리오 Q 한 번 한 번을 집중해서 의미있게 사용해주시길 바랍니다.

라인 주도권에 관해서 위에 길게 써논 이유는 이 라인 주도권을 갖는게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라인 주도권을 갖는게 왜 중요한가요?" 라고 물어보신다면 "라인 주도권을 가져야 라이너가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라고 대답할 수 있겠네요. 

라인 주도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요? 

첫째로 정글 싸움 합류에 더 빠르고 좋은 컨디션으로 갈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아군 정글이 적 정글 카정에 덜 부담을 느끼게 되어 정글차이를 내기 더 쉬워집니다.

둘째로 미드 CS가 우리 타워에 박힐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로밍각을 더 쉽게 볼 수도 있게되고 스킬활용 - 궁극기 부분에서 언급한 낚시성 플레이도 가능해지게 됩니다. 주도권이 없어서 타워에 미니언이 계속 박힌다면 저런 플레이는 시도조차 불가능해지겠죠? ㅎㅎ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분20초쯤에 상대 칼날부리 바로 아래에 와드를 하나 깔아줍시다.
이는 상대 정글의 동선을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상대 정글 동선 파악 몇가지 예시

1.레드팀(위쪽팀)기준 칼날부리 와드에 바로 상대 정글이 보였다 = 레드-칼부-늑대-블루-두꺼비-갱 동선이겠구나

2.박은지 시간이 좀 지나서야 보였고 tap키를 눌렀더니 상대 정글 cs가 8개다 = 레드-작골-칼부 이후 풀캠프 동선이겠구나

3.칼날부리를 안 먹고 그냥 지나간다 = 레드 - 늑대 - 블루 - 두꺼비 - 갱 or 레드 - 블루 - 두꺼비 - 갱 동선이겠구나


 위처럼 확실하진 않지만 대략적인 동선예측이 가능해지고 내가 이렇게 정글 위치를 찾아주면 우리 바텀 탑이 2랩갱 걱정없이 라인 압박을 해줄 수 있게됩니다.




초반 운영법
라인전에서 쏘는 Q는 최대한 적 챔피언 + 미니언을 함께 맞춰주시길 바랍니다.
이는 바로 위에서 설명했듯이 라인주도권을 갖기 위함입니다.

Doran's Ring(도란의 반지)Health Potion(체력 물약)Health Potion(체력 물약) 스타트 이후 포션을 다 먹더라도 cs를 최대한 놓치지 않도록 파밍하다가 2번째 대포웨이브가 생성되는 타이밍에 귀환을 해서 파밍이 잘됐다면The Dark Seal(암흑의 인장)Amplifying Tome(증폭의 고서) or 돈이 부족하다면The Dark Seal(암흑의 인장)Slightly Magical Boots(약간 신비한 신발)와 포션 와드를 사서 귀환해줍니다. 이때 라인을 보고 텔 탈지 말지 결정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언제 타고 언제 안 타나요?


텔 안 타면 우리 미니언이 상대 미니언을 너무 많이 죽이겠는데? -> 텔 탄다
텔 안 타도 그렇게 많이 손해보진 않겠는데? -> 안 탄다


다만, 텔을 타셨다면

바로 상대방 타워에 미니언을 박아넣을 수 있다 -> 라인 바로 푸쉬

바로 박진 못하겠다 -> 라인 막타만 치면서 프리징

해주셔야 상대방의 텔레포트도 빼거나 라인 손해를 보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은 주의해주세요






중반 운영법

미드 or 바텀 라인전이 한 라인이라도 끝난 경우라고 생각하겠습니다.


텔,궁이 있다면 미드는 원딜에게 주고 사이드를 무리하지 않는선에서 먹는게 좋습니다.

이때 '무리하지 않는 선'이라는건 상대방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았으면 상대 1차타워 두드리거나 상대 1차까지 이후까지 앞으로 나가지 말라는겁니다. 갈리오는 죽어서 성장이 밀리기 시작하면 라클 속도도 느려지고 캐리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지니까 사이드 돌때 특히 주의해주셔야합니다.

이 챔피언은 혼자 사이드 돌다가 막으러 오는 상대 줘패는 잭스 피오라같은 챔피언이 아님을 명심하고 플레이 해주세요.


텔,궁이 없다면 싸움이 확실히 안 일어날 거 같은 상황 외엔 원딜 주변에서 멀리 떨어지지 말고 서폿과함께 용 전령쪽 시야를 먹어주세요.


어쩔 수 없는 상황이긴 한데 가끔 우리 원딜이 전적검색 했더니 KDA가 1점대인 사람들이 있는데 이런 분들은 보통 미드 라인을 스면 사릴줄을 몰라서 막 당해줍니다.

이런 원딜이 팀으로 매칭됐다면 사이드 좀 먹기보단 그냥 미드 옆에서 상대 들어오는거 잡아먹는 각을 봐줍시다.



팀파이트시 역할

우리 조합과 상대 조합을 보면서 게임 시작 전에 내가 들어가서 적 딜러를 물어야 하는지 아니면 우리 딜러를 지키면서 해야하는지 미리미리 생각해두고 게임을 하시면 한타에서 내가 뭘 해야하는지 아실겁니다.


어차피 선택지는 우리 딜러 지키기 or 상대 딜러 물기 두가지니까요 이정도는 쉽게 생각이 되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잘 모르시겠다면 댓글에 달아주세요 답글 해드리겠습니다.





마치며 
 오타나 궁금한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8명

나도 한마디 (20)

  • 아이콘 가끔보고싶네 | [답글]
  • Dotosen | [답글]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아이콘 다이제드 | 감사합니다 훨씬 가독성 좋게 읽히네요
  • 메난민입니당 | [답글] 좋은글 감사합니다 근데 몇가지 질문이 있는데.. 1.라인 프리징할때 패시브때메 여럿이 맞아서 라인이 밀어짐 2.팀이 개원숭이만도 못할떄 팁 3.망햇을때 대처법
  • 아이콘 다이제드 | 1. 미드는 프리징 길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글에서 써 둔 텔레포트 이후 라인 프리징 해야된다는 말은 '상대가 오기 전까지 라인을 막타만 치면서 천천히 먹는다' 라고 아시면 되겠습니다. 상대방이 도착하면 라인을 더 태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평타 대신에 Q를 이용해서 딸피인 미니언만 긁고 지나가게 하는 방법으로 잠시 프리징 할 수 있습니다. 2. 최대한 덜 죽는 쪽으로 해야됩니다. 팀이 다 던지는데 미드라이너인 갈리오까지 데스가 쌓이게 되면 정말 답이 없게 됩니다. 쌓이는 라인 최대한 받아먹으면서 싸움으로 역전각 보는게 제일 좋겠죠 3. 위 2번에 써둔 것과 같은 플레이를 하시면 됩니다. 데스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가 ad라면 벨트 가기 전에 존야를 먼저 가는 것도 괜찮습니다. 상대가 ap라면 헤르메스 신발을 빠르게 올려서 버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건물주 | [답글] 공략 감사합니다! tip) 시뮬지지 가면 콤보 딜계산도 됩니다!
  • 아이콘 다이제드 | 시뮬지지는 처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원딜은연우지 | [답글] 유익했습니다!
  • 본캐는물바다 | [답글] 와 너무 유익했어요
  • 따르미 | [답글] 서폿 갈리오는 팁 없을까여 ㅎ
  • 다이제드 | 굳이 서폿갈리오가 아니라 다른 챔피언 할 때도 마찬가지지만 서폿 갈리오는 싸움 걸기가 어렵지 않아서 우리 원딜이 강한타이밍만 잘 캐치하시고 싸움 걸어주시는 것과 상대 미니언 숫자 보고 싸우는 것만 신경써주시면 됩니다. 미드 갈리오처럼 딜이 나오는게 아니기 때문에 파고드는 각이 나오지 않는다면 억지로 하지 마시고 원딜케어에 더 힘써주시면 됩니다,[
  • 곧접음 | [답글] 잘봤습니다! 몇개월전에 올려놓은 유튜브 플레이 영상도 쭉 봤어요 아지르 원챔으로 다4까지 올려놓고 갈리오로 갈아타서 하고 있는데 라인전이 어렵습니다!. 쉬운 상대가 딱히 없네요. 특히 ad챔으로는 야스오 제드 루시안이 어려웠고 원거리ap챔프는 다 어려웠습니다.. 제가 계속 라인 당기고 힘들게 파밍하고있어도 우리 정글이 미드는 안봐주면 영향력 발휘 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유튜브에 챔프별 라인전 영상도 많이 올려주셨으면 좋을거 같습니다!
  • 다이제드 | 유튜브 영상이면 아마 럽갈님 영상 보신 것 같은데 저는 그분은 아닙니다 ㅠ 죄송해요 오해하게 만들어버렸네요 플레이스타일은 말로 설명 들으시는 것보다 롤 클라이언트에서 럽갈님이나 제 닉네임 검색하셔서 어려우셨던 상대 어떻게 상대하는지 리플레이로 보시는게 나을겁니다 저도 그렇게 많이 알았어요 ㅎㅎ 갈리오는 스스로 주도권을 만드는 경우보단 정글쌈이나 정글의 갱킹을 통해서 이득을 취해 그 스노우볼로 주도권을 꽉 잡게되는 경우가 많으니까 무리한 딜교보단 Q파밍+견제로 반반 가시다가 갱 불러서 따주시면 그 이후론 푸쉬하기도 쉬워져서 주도권이 자연스럽게 생깁니다. 따라서 혼자서 주도권 잡겠다고 무리한 딜교환 하다가 피 까이지 마시길 바랍니다. 리플레이 영상에서 어느 타이밍에 어떻게 사리는지 보시고 솔로랭크에서 한 번 따라해보시길 바래요 그게 제일 쉽고 빠른 방법 같아요 건승하시길바랍니다.
  • 나어124 | [답글] ㄹㅇ
  • Busanrev | [답글] 미드 국밥1티어
  • 다이제드 | ㄹㅇ
  • 아이콘 석상속사정 | [답글] 라인전 힘든 챔프 상대할때 힐 유체화 드는건 어떨까요
  • 다이제드 | 텔포. 점멸 모두 갈리오에겐 필수 스펠이기 때문에 절대 다른거로 바꾸지 않습니다. 라인전 힘든 상대로는 오히려 피가 까였을때 텔레포트로 라인 손해 없이 복귀하는게 더 좋습니다. 유체화를 써서 잡을 상대라면 플+빛망 효과만 있어돋 충분히 잡아낼 수 있는 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것 외에도 플+w 깜짝 이니시는 지던 게임에서도 한타를 이기게 해주기 때문에 절대 바꾸지 않습니다.
  • 브르르르르 | [답글] 이번에 너프먹은거 체감 많이됨?
  • 다이제드 | 정말 많이됨 라인전까진 괜찮은데 한타 타이밍에 w 한 번 더 못 돌리는건 정말 큰듯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