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5 좀비라이즈 관짝을 거부하다.

| 라면먹고싶다 | 조회: 3,747 |

 

 

이건 라이즈 입니다.


시즌5나 시즌2나 공략은 크게 변하질 않는 것 같은데요.


시즌5 라이즈는 분명 위기인데 쓰던대로 쓰면 안되겠죠?


음.... 많은 말은 오히려 뒤로가기를 부를 거 같아서....


일단 읽어 보시고 오류가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질문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Runes
  • 상급 정확성 표식
    방어구 관통력 +1.13
    마법 관통력 +0.62
    X 9
  • 상급 방어력 인장
    방어 +1
    X 1
  • 상급 성장 방어력 인장
    레벨당 방어 +0.167
    X 1
  • 상급 성장 체력 인장
    레벨당 체력 +1.34
    X 2
  • 상급 성장 마법 저항력 문양
    레벨당 마법 저항력 +0.167
    X 1
  • 상급 성장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문양
    레벨당 쿨감소 -0.092%
    X 3
  • 상급 마나 문양
    마나 +11.25
    X 1
  • 상급 마법 관통력 문양
    마법 관통력 +0.63
    X 1
  • 상급 주문력 정수
    주문력 +4.95
    X 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방어구 관통력
    +10.17
  • 마법 관통력
    +6.21
  • 방어
    +4.006
  • 체력
    +48.24
  • 마법 저항력
    +3.006
  • 쿨감소
    -4.968%
  • 마나
    +11.25
  • 주문력
    +14.85

하던대로 해서 안 통한다면 바꿔야죠.

여러가지 연구해 보고 정답은 아니지만 최선을 찾습니다.


표식 - 쌍관9

표식의 마관은 라이즈에게 필수는 아닙니다.

마법딜이 점차 너프를 받고 패치를 통해 기본 스텟이 증가하는데

그에 따라 쌍관이 조금 중요해졌습니다.

그냥 공격력 써주시는 건 취향이지만 데이터 상으로 공격력은 애매합니다.

 

인장 - 고정방어9

상대방에 따라 방어력이나 성장방어를 취합니다.

상대방이 극단적으로 ap에 의존할 경우는 성장체력이긴 하지만

ip가 모자랄 경우 고정방어로 괜찮습니다.

 

문양 - 마관3 마나6

이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상대방에 따라 마방이나 성장마방 등 ip에 따라 갖춰주는 것도 좋습니다.

성장쿨감은 예외로 성장쿨6에 마방3을 끼워주는 것도 있지만 라이즈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면 비추합니다.

 

정수 - 주문력3

정수에 주문력입니다. 제 라이즈에게 약간 변수를 두는 부분이기에.

문양에 마방을 끼셨다면 원래대로 이동속도 세팅을 해주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주문력은 딜 자체적으로 초반에 q딜은 비숫한데 w와 e딜이 차이가 큽니다.

 

무엇을 가든지 정석의 라이즈는 안 통합니다. 라이즈가 너프를 먹었기에

그만큼 라이즈의 활용폭은 넓어져야 합니다.

 

 

 

 

 

 

 

마스터리 Mastery
흉포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책략
2
0
2
0
1
3
0
1
1
3
1
3
1
1
결의
0
3
3
0
1
1
0
0
0
1
0
0
0

오펜스에 21, 유틸에 21 모두 시즌5로 들어가면서 라이즈와 어율리지 않습니다.

라이즈가 극딜을 간다고 해서 미드누커급의 파괴력을 갖기도 어렵고

유틸을 간다고 해서 뚜벅거리는 라이즈가 나딜리처럼 뛰어다니지도 못합니다.

꼭 디펜스 특성이 탱커에게만 좋은 것은 아닙니다.

디펜스 특성을 간다고 쥭지 않는 탱커가 된다는 말도 아닙니다.

 
디펜스에서  는 좋은 특성입니다.
전설의 수호자(방어+마저), 강건함(방어력), 저항력(마저)은 유동입니다.
신속과 억압 같은 방해효과에 관한 특성도 유동입니다.
 
오펜의 쿨감은 취향입니다.
저 쿨감은 정말 좋은 녀석이지만 저는 안 갑니다.
쿨감은 당장 쎄진다기 보다는....... 아무튼 쿨감 나쁘진 않습니다. 가도 좋슴
 
유틸에 저 포션 뺀거는 그냥 제가 포션을 잘 안가서 그럽니다.
디펜에서 4포인트 빼서 유틸에 넣으셔도 좋습니다. 안 잡아갑니다.
 
더 설명이 필요할까요?
라이즈에 디펜스가 애매하다고 하는데
정확한 컨셉을 잡을 수 있다면 오히려 그 애매함이 사과가 되서 돌아옵니다.

정리하자면 따로 특성이 변경되는 경우 4/21/5 or 0/17/13 이 정도가 좋습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딜러든 탱커든 점화의 딜이 바뀌진 않습니다.
딸피를 점화로 잡든 못잡든 상대방도 이젠 점화딜 계산하는 게 기본이 되버렸습니다.
딜러가 점화를 가기보다는 힐이나 정화 등을 들어주는 시기입니다.
라이즈처럼 딜이 조금 부족하다면 점화는 상대방을 압박하는 의미로도 좋고 상대방에 회복덕후가 있는 경우
카운터로도 좋숩니다.
만약 라이즈로 딜교를 아예 할 필요가 없거나 해도 의미없는 경우 보호막이나 유체화도 좋숩니다.
물론 탑라이즈는 텔을 들어줍시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조굼 무책임하지만 q선마라고 처음부터 q만 찍으시면 안 좋습니다.

저 위에거는 모바일이라 수정이 불가능하고

e-w-q-e-q-r-q-q-w-w-w-w-q-e-e 정도로 갑니다.


1렙부터 6렙까지 스킬순서는 완전히 취향입니다.

6랩 이후로는 저 상태로 가주셨으면 합니다.


음 이번에도 완성은 못허겠군. 나머지는 나중에 업뎃합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아이템 빌드
  • 사파이어 수정
    마법 - [마나]
  • 광휘의 검
    기타 - [적중시 효과]
  • 공생형 밑창
    기타 - [장화]
  • 여신의 눈물
    마법 - [마나]

  • 얼음 방패
    방어 - [방어력]
  • 얼어붙은 심장
    방어 - [방어력]
  • 망령의 두건
    방어 - [체력]
  • 정령의 형상
    방어 - [체력]

신발과 세라프는 알아서 가면 될듯

쉰은 무조건은 아닙니다.

고대인의 의지랑 얼음주먹이랑 아니면 다른 아이템이랑 바꿀 수 있고

쉰은 빨리 나오면 좋쿠요. 대신 카탈리스크 나오면 바로 로아를 달리는게 좋쿠요

참고로 쉰은 ad 전용 템이 아니라 ap 전용 템입니다.

초반에 저 도란검은 취향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초반 마나석으로 시작합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 운영법

 

 

중반 운영법

 

 

후반 운영법

 

 

팀파이트시 역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0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