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4 -> D4 25일 / D3까지 32일 우디르 공략

평가중 (1) | Yassadin | 댓글: 3개 | 조회: 6,317 |
일단 시작하기에 앞서 티어인증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다이아 4입니다. 다이아 3 달성했습니다.
우디르 12만6천포 야스오 45만6천포(?)

우디르 14만 2천포 야스오 47만 2천포(???)
골4 -> 다3 통계선

우디르로 솔랭 제대로 파기 전입니다. 이때까진 우디르에 대한 연구만 진행중이였고, 

아이템도 트포를 갔었습니다. 25일만에 골4 -> 다4 인증입니다.

우디르로 최다연승(11연승)찍었을때입니다.


아무튼, 골드 4 에서 다이아 4로 25일만에 가는 우디르 공략. 시작하겠습니다.
Runes
룬은 반쯤 고정입니다.

PressTheAttack(집중 공격)Conqueror(정복자)
골4 -> 골1까지 집공 사용했고,
그 이후는 쭉 정복자 사용했습니다.
둘다 써본 입장으로는 정복자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Q 딜 들어갈때 평타에 붙은 Q로 인해 정복자를 한번에 2스택씩 쌓을 수 있고, 
쿨감 30% 기준으로 Q의 쿨타임은 4.2초입니다. Q의 5렙 공속 증가량은 70%이며, 
패시브의 공속 증가량은 스택당 10%입니다.
패시브를 최대로 돌리는 우디르는 9레벨 기준 아이템 없이 1.43의 공속을 가집니다.

Bear Stance(곰 태세)(평) -> Tiger Stance(호랑이 태세)(평)이후 2타Conqueror(정복자)(정복자)3타Tiger Stance(호랑이 태세) -> Turtle Stance(거북이 태세)(평)이후 다시 3타Turtle Stance(거북이 태세)가 
가능한 공속이므로 추가적인 공격속도는 초반에 필요없습니다.

Triumph(승전보)
솔직히 우디르가 이거 들고있으면 2:3 바위게 싸움 뒤집기 자주 나옵니다.
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할 강인함 세팅이랑 정말 잘 맞습니다.

LegendAlacrity(전설: 민첩함)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
처음엔 저도 공속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여러판을 거듭하면서 우디르가 한타에서 적에게 죽는 이유는 뚜벅이라서 죽는 것이지
접근하고 적을 못녹여서 역으로 우디르가 죽는게 아닙니다. 무조건 강인함 들어줍니다.

CoupDeGrace(최후의 일격)LastStand(최후의 저항)
마찬가지로 우디르는 최후의 일격으로 녹이는 상황보다 최후의 저항으로 버티는 상황이 자주 나옵니다.
저는 전령이 나오는 10분 안에 티아맷 + 용사를 뽑는것을 목표로 하고,
이후 신발을 가기때문에 적에게 물리는 경우에도 한명을 데려가서 용사를 더 빨리뽑고,
한타에서 원딜앞에 체력 300정도로 남은 우디르가 풀피 원딜(카이사 제외) 데려가는 상황도 간혹 나옵니다.
적팀이 칼날비 마스터이, 칼날비 신짜오를 들고와도 최후의일격 추가딜보다 최후의 저항 추가딜로 역으로 잡습니다.

NullifyingOrb(무효화 구체)ManaflowBand(마나순환 팔찌)NimbusCloak(빛의 망토)
우디르한테 도움이 안되는 세종류의 룬입니다.

Celerity(기민함)AbsoluteFocus(절대 집중)
기민함과 절대집중또한 많이 써보았지만, 절대집중은 최후의 저항과 시너지가 맞지 않고, 
초반 정글링을 빠르게 도는게 아닌, 안정적으로 돌게끔 강요합니다.(체력 80% 유지)

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
이부분에 대해선 이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OFFENSE(공격)FLEX(유연)DEFENSE(방어)
추가공격력은 주문력 9의 3분의 2로 5.4입니다. 두개를 들면 10.8이라 반올림 11로 표기됩니다.
공속은 아까말했듯이 초반 10% 올랐다고 좋은게 아니라 Q의 딜을 올려서 깔끔하게 동선을 타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Conqueror(정복자)
고정 맞습니다.

Triumph(승전보)
여전히 씁니다.


LegendAlacrity(전설: 민첩함)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
원래 강인함 고정으로 하려고 했는데 민첩함도 좋습니다.

애초에 제 템트리 자체가 헤르메스 + 영약을 중후반부터 맞추기때문에 
강인함이 부족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적습니다.

그리고 초-중반에 킬을 먹을경우 민첩함 스택으로 초반에 가져갈 수 있는 이득이 매우 많아집니다.

적팀 CC기가 공중에 뜸, 제압등을 제외한 단순한 기절, 속박등만 조금 있는 정도라면 민첩함 아주 좋습니다.

CoupDeGrace(최후의 일격)LastStand(최후의 저항)

최후의 일격과 최후의 저항 마찬가지로 우디르는 버티는 상황이 자주 연출되는데 최후의 일격 오래 써본 결과
최후의 저항으로 딜 더넣고 죽여서 나오는게 아니라 그냥 죽이고 살아서 나오는겁니다. 최후의 일격 가셔도 됩니다.

Celerity(기민함)AbsoluteFocus(절대 집중)

기민함 이속이 있으면 좋다고 생각은 하는데 신발 나오면 이속 부족해서 못따라가는 
경우는 없어서 기민함 이제 잘 안가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절대집중을 들려고 하다보니 최후의 저항이 잘 안맞아서 최후의 일격으로 갈아탔습니다.

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

고정입니다.

OFFENSE(공격)FLEX(유연)DEFENSE(방어)
OFFENSE(공격)FLEX(유연)DEFENSE(방어)
공속 10%는 강인함 들때나 적팀 정글을 만나면 녹이는 애다 싶으면 들면 됩니다.(+바위게 2:3)






Conqueror(정복자)Triumph(승전보)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LastStand(최후의 저항)Celerity(기민함)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
Conqueror(정복자)Triumph(승전보)LegendAlacrity(전설: 민첩함)LastStand(최후의 저항)Celerity(기민함)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
Conqueror(정복자)Triumph(승전보)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CoupDeGrace(최후의 일격)AbsoluteFocus(절대 집중)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
Conqueror(정복자)Triumph(승전보)LegendAlacrity(전설: 민첩함)CoupDeGrace(최후의 일격)AbsoluteFocus(절대 집중)Waterwalking(물 위를 걷는 자)

적팀 CC 생각하고 헤르메스로 더 단축되는 CC밖에없다 = 민첩함 / 아니다 = 강인함
최후의 일격 = 절대집중 / 최후의 저항 = 기민함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점멸은 +1킬수단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동실력에서 적 정글 솔킬은 거의 불가능하나 우디르를 무시하고 들어온 Lee Sin(리 신)Xin Zhao(신 짜오)Jarvan IV(자르반 4세)
세명 전부다 혼내 줄 수 있습니다. 싸우다가 불리하면 도망치기도 편한데, 그럴때 점멸이 있다면 
적 스펠 유무나 도주 스킬 파악하고 점멸 아낌없이 쓰시길 바랍니다.

갱을 갔을때도 보통은 우리 라인이 갱호응을 위해 먼저 점멸을 쓰는경우는 드뭅니다.(플래에서도 잘 못봄)
이후에도 설명하겠지만 항상 갱을 갈때 거리를 살짝 벌려 적이 점멸로 도주하더라도 
점멸을 써 앞서 나갈 수 있는 위치를 잡고 가까이 다가가면됩니다.
거리가 좁혀질 수록 압박받는건 상대방이고, 갱으로 포위망이 좁혀진 상황에서
상대는 도주기가 있었다면 이미 썼을 것이기 때문에
점멸로 도망치는 상대는 맞점멸로 E스턴을 먹여주면 됩니다.

이런 이점이 있는데 점멸이 아닌 다른스펠을 든다면 게임이 어려워질 것입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스킬 콤보
우디르는 스킬이 굉장히 단조로운 편입니다. 
Turtle Stance(거북이 태세)Bear Stance(곰 태세)를 패시브가 끝날즈음에 다시 써주고, 
진입할때는 Turtle Stance(거북이 태세) 쉴드가 있는상태에서 Bear Stance(곰 태세) 이속을 받고 스턴을 먹이면 됩니다.
9렙 이후라면 패시브가 가득 찼을때 기준으로
Bear Stance(곰 태세)(평) -> Tiger Stance(호랑이 태세)(평)이후 2타Conqueror(정복자)(정복자)3타Tiger Stance(호랑이 태세) -> Turtle Stance(거북이 태세)(평)이후 다시 3타Turtle Stance(거북이 태세)를 쳐주시면 됩니다.


이것이 무조건적인 정답은 아닐지라도 굉장히 안정적이고 강합니다.

스킬 활용 팁

용을 먹을땐 기본적으로 3패시브에 E를 쓰고 친다음에 뒤로 빠집니다.

몰래 용을 먹거나 하는게 아니라면 딜로스가 생기는 0.5~1초가 급박해 질때가 있습니다.

용은 기본적으로 Tiamat(티아맷) + Hunter's Talisman(사냥꾼의 부적)이면 5렙기준 솔용 가능합니다.

바람용은 +Health Potion(체력 물약)이면 가능합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근본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티아맷
    공격 - [대미지]

  • 헤르메스의 발걸음
    기타 - [장화]
  • 탐식의 망치
    방어 - [체력]
  • 칠흑의 양날 도끼
    방어 - [체력]

  • 음전자 망토
    방어 - [마법 저항력]

  • 강철의 영약
    방어 - [체력]
  • 음전자 망토
    방어 - [마법 저항력]
  • 마법사의 최후
    방어 - [마법 저항력]
  • 거대한 히드라
    방어 - [체력]

우디르는 기본적으로 육식형입니다. 칼날부리와 돌거북을 먹는데 시간이 많이 쓰이고,

바위게 싸움이 강하며, 갱킹을가서 성장하면 게임이 쉽게 굴러갑니다.

그러나 우디르는 기본적으로 갱킹의 성공이 어렵습니다.

확실한 갱각이 아니면 보통 상대가 쉽게 도주하기 때문인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우디르는 티아맷을 필수적으로 가야합니다.

공격력 또한 올라가므로 일석이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을 갔을때 700골드가 있다면 롱소드 두개를 사면 되는데

1000골드가 있다면 롱소드 두개와 300골이 남습니다. 이때 신발을 사는 경우가 있는데 절대 사시면 안됩니다.

동선을 잘 탄다면 1175골드를 쉽게 모아서 정글링을 할 수 있으니 신발을 미리 구매하는 경우가 없어야 합니다.

만약 동선을 잘못 타서 1000골드 귀환을 해야하는 상황에서도 신발을 미리사면 정글링이 매우 느려지니 알아두셔야합니다.


또한 칠흑을 먼저 올릴때와 마최를 먼저 올릴때로 나뉘는데,

칠흑은 대부분의 무난한 상황에서 갑니다.

마최는 적 서폿포함 3ap거나, 2ap + 카이사가 있거나, ap 암살자가 잘 컸을때 먼저 갑니다.



마최를 올릴경우 적과 교전에서 딸피로 살아남는 상황이 자주 나옵니다.

그러나 게임에서 우디르가 나오면 보통 적 서폿, 탑 , 정글중 하나이상 탱이 나오므로

정복자와의 시너지를 위해 대부분 칠흑을 먼저 올려줍니다.


카운터에서 설명하는 ~템이 나오면 이긴다. 의 템을 먼저 올리는 편이 좋습니다.


티어를 올리면서 느낀건 후반으로 갈수록 우디르가 파밍을 하면서 얻는게 줄어들어 

최대한 빠르게 스플릿을 하거나 한타를 열어야 하는데 마법사의 최후 하위템을 

올리기 시작하면 한타때 아무것도 못하고 먼저 짤리고 죽습니다.


거기다 마법사의 최후를 올리면 상대방이 치유감소를 갈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젠 즈롯 먼저 갑니다.


Titanic Hydra(거대한 히드라)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Zz'Rot Portal(즈롯 차원문)Wit's End(마법사의 최후)Enchantment: Warrior(추적자의 검: 용사)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완성템입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엘리스
우디르가 활약하기 전에 게임을 터트리거나
갱을 가면 엘리스가 역갱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밴하시면 마음이 편합니다.
베인
초반과 중반에는 이기긴 하나
후반에 베인이 점멸과 궁이 둘다 있다면 죽을각오를 해야합니다.
극후반으로 가면 원딜 특유의 높은 딜로인해 진입전에 녹으니
베인이 있는 판은 최대한 빨리 끝내야 합니다.
클레드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는데 갱을갔을때
적 정글이 온다면? 게임 터짐
안가면? 라인 터짐 + 바위게 싸움 터짐
미드 클레드는 할만합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마스터 이
게임끝날때까지 얘가 절대 1:1 못이깁니다.
리 신
리 신이 궁이 있다면 1:1 이기긴 하는데 못따라잡습니다.(와드 방호와 궁 점멸)
자르반 4세
다이아 상위로 가면 또 다를지 모르겠는데 플래이하에서 나오는 자르반은 근본이 없습니다.
버프 +(두꺼비 늑대) 이외에는 챙기지 않고 갱만가서 게임 터트리려고하는 날먹충입니다.
근본을 쌓은 우디르 상대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바위게싸움 이겨줍시다.

갱가느라 눈이 돌아가버린 자르반 4세는 6분에 나오는 바위게가
하단 바위게가 아니라면 하단에 얼쩡거릴 이유가 없으니 솔용챙겨도 됩니다.(역버프 제외)
오브젝트 차이가 나기 시작하면 라인전 구도가 끝날 즈음인데 이때 굳이 한타 열필요없이
우디르 특유의 높은딜로 잘라먹기 + 오브젝트 + 카정 + 스플릿 운영해주면

25~35분게임쯔음에 7/3/11 cs 80 자르반 입에서 "팀차이 ㅈㅈ" 나옵니다.

Gragas(그라가스)Graves(그레이브즈)Nocturne(녹턴)Nunu & Willump(누누와 윌럼프)Nidalee(니달리)Rammus(람머스)Rek'Sai(렉사이)Rengar(렝가)Lee Sin(리 신)Master Yi(마스터 이)Dr. Mundo(문도 박사)Vi(바이)Sylas(사일러스)Shaco(샤코)Sejuani(세주아니)Shyvana(쉬바나)Skarner(스카너)Xin Zhao(신 짜오)Amumu(아무무)Ivern(아이번)Ekko(에코)Elise(엘리스)Olaf(올라프)Warwick(워윅)Evelynn(이블린)Jarvan IV(자르반 4세)Zac(자크)Jax(잭스)Cho'Gath(초가스)Camille(카밀)Karthus(카서스)Khazix(카직스)Kayn(케인)Kindred(킨드레드)Taliyah(탈리야)Trundle(트런들)Twitch(트위치)Fiddlesticks(피들스틱)Hecarim(헤카림)


솔직히 정글은 이 안에서 나온다고 보면 됩니다.(나오는데 안보이는거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Elise(엘리스)(플3 ~ 쭉)Hecarim(헤카림)(플4~골2) Vayne(베인)(그 아래 전부)


Tristana(트리스타나)(무조건 밴하세요 그냥 안보니까 협곡이 편안합니다.)



닷지


Shaco(샤코)(플4 이상)Ivern(아이번)(플2 이상)Kindred(킨드레드)(실1이상)Twitch(트위치)(실버4~골2(대리유저))

정글로 나오는거 확실하면 닷지치세요 평소에는 만날일도 없는데 나오면 게임 말립니다.

괜히 15분 이상 고통받고 mmr도 깎이지말고 깔끔하게 3lp 10lp 깎이는게 낫습니다.


그래도 샤코 킨드는 후반가면 이기긴 합니다.



템 나와야 이기는 부류

Nocturne(녹턴)(용사 전)Rammus(람머스)(블클 전)Dr. Mundo(문도 박사)(블클 전)Vi(바이)(마최 전)Ekko(에코)(헤르메스 전)Olaf(올라프)(용사 전)Jax(잭스)(마최 전) (트포 잭스는 블클 전)Camille(카밀)(티아맷 전) Taliyah(탈리야)(헤르메스 전)

Fiddlesticks(피들스틱)(헤르메스 전) (3렙전엔 솔킬가능)

얘네는 해당템이 뜨기전에는 지는애들입니다.


다른 라인 노답들

Renekton(레넥톤)(미드)Sylas(사일러스)(미드)Swain(스웨인)(서폿, 원딜)Ezreal(이즈리얼)(원딜)Camille(카밀)(미드)Cassiopeia(카시오페아)(미드)

Kled(클레드)(탑, 미드) Talon(탈론)(미드) Pyke(파이크)(미드) Tristana(트리스타나)(탑,미드,원딜)



우리팀 노답들


Vladimir(블라디미르)(골3 이하) Malzahar(말자하)(골1 이하) Yasuo(야스오)(전구간) Heimerdinger(하이머딩거)(전적보고 50판미만이면 

닷지하던가 하시면 됩니다.)


우디르한테 약한애들


르블랑이 1~6렙 다 라인전을 압박할 수 있는건 아니듯이

우디르도 걔네보다 약해지는 타이밍이 조금씩 있으니 너무 뇌절박지마시길 바랍니다.


Gragas(그라가스)Nunu & Willump(누누와 윌럼프)Nidalee(니달리)Lee Sin(리 신)Master Yi(마스터 이)Sylas(사일러스)Sejuani(세주아니)Shyvana(쉬바나)Skarner(스카너)Xin Zhao(신 짜오)Amumu(아무무)Warwick(워윅)Evelynn(이블린)Jarvan IV(자르반 4세)Zac(자크)Karthus(카서스)Khazix(카직스)Kayn(케인)


얘네 나온판은 정글이 혼자 잘해서 진판이 없을정도로 우디르가 더 유리합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블루팀 : 레드 -> 늑대(한대씩 쳐서 레드 바르기) -> 블루 -> 두꺼비(강타) ->

탑 / 미드 갱 -> 적 칼날부리 확인 -> 큰거만 스틸 and(or) 상단 바위게 ->

탑 잡았을때 적 탑 텔이면 탑갱 / 미드 갱(대기하는데 10초이상 소모 x) -> 하단 바위게 ->

우리 칼날부리 큰거 -> 늑대 -> 집가서 티아맷


퍼플팀 : 블루 -> 두꺼비(강타) -> 늑대 -> 레드 -> 우리 칼날부리 큰거 ->

적 정글 입구까지만(블루 버프 보이는 곳) -> 버프 있으면 스틸 or 탑 / 미드 갱 ->

상단 바위게 -> 탑 잡았을때 적 탑 텔이면 탑갱 / 미드 갱(대기하는데 10초이상 소모 x) -> 

적 칼날부리 확인 -> 큰거만 스틸 or 하단 바위게 -> 두꺼비 -> 집가서 티아맷


만약 적이 역버프 초식이라 적 버프 , 칼날부리 둘다 못 챙겼고

갱을 실패했어도 상/하단 바위게 둘중 하나를 챙겼다면 두꺼비랑 늑대까지 먹으면 Tiamat(티아맷)이 나옵니다.






초반 운영법

 Tiamat(티아맷) 뽑으면


블루팀 : [두꺼비 -> 늑대] (안먹었다는 가정 하에) -> 칼날부리 정리 -> 작골(돌거북) -> 상단 바위게일 경우 용


퍼플팀 : 작골(돌거북) -> 칼날부리 정리 -> [늑대 -> 두꺼비] (안먹었다는 가정 하에) -> 상단 바위게일 경우 용


바람용은 Health Potion(체력 물약) 1개 먹고 잡아야 합니다.


하단 바위게 일 경우 적이 초식(돌거북, 칼날부리 정리가 빠름)일 경우 바텀 갱 ->

하단 바위게 -> 용 -> 적 버프 카정 -> 집 -> 역버프 동선 (대략 9~10분 타이머)


육식(돌거북, 칼날부리 정리가 느림)일 경우 적 칼날부리 정리 -> 적 작골 정리 ->

용 or 적 버프 카정 -> 집 -> 역버프 동선 -> 용 / 미드 바텀 시야먹고 갱(대략 9~10분 타이머)


용을 먹을때 라이너가 도움을 줄 수 있는건 라인을 푸쉬해서 적 라이너가 못오게 하고

적 정글의 이목을 돌리는게 제일 좋습니다.(Oracle Alteration(예언자의 렌즈)를 돌려서 오는 강 진입 이전부터 동선에 와드가 없다는 전제하에)


우리팀 탑이 라인전이 강한 클레드일 경우 적 정글이 푸쉬하는 클레드 상대로

탑동선을 타게된다면 용을 먹고 바위게도 챙기게 되는게 예시입니다.


여기까지 무난하게 성장한다면 이제 전령이 나올 타이밍입니다.

중반 운영법

 역버프 동선을 타면서 갱각을 주기적으로 봅니다.(Enchantment: Warrior(추적자의 검: 용사)가 나올 타이밍)


블루팀 : 두꺼비(탑) -> 늑대(미드) -> 칼날부리(미드) -> 작골(봇)

퍼플팀 : 작골(탑) -> 칼날부리(미드) -> 늑대(미드) -> 두꺼비(봇)


그다음 용사가 아직 안나왔다면 Enchantment: Warrior(추적자의 검: 용사)뽑고 바위게 or 그냥 바위게를 먹으면 됩니다.

상단 바위게라면 먹고 탑 / 미드갱을 갑니다.

하단 바위게라면 전령을 시도합니다.


바위게를 먹으러 가거나 강 시야를 볼때마다 적 칼날부리나 적 두꺼비 (블루)확인을 해줘도 좋으나

2ㄷ2나 4ㄷ4가 불리하게 열릴 수 있으니 무리는 하지 않습니다.


후반 운영법

 무난하게 정글링과 소규모 교전 / 스플릿을 이어나가다 보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이 나오고

Wit's End(마법사의 최후) 하위템을 올리는 시점(Recurve Bow(곡궁)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이 옵니다.

이때는 정글링을 마저하면서 오브젝트를 챙깁니다(17~22분)

Wit's End(마법사의 최후)가 나온다면 매우 강해지고, 생존력도 받쳐주므로 한타를 열어도 됩니다.


항상 한타를 진행하기전 있어야 하는 템의 최소한도는

Enchantment: Warrior(추적자의 검: 용사),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orNinja Tabi(닌자의 신발)), Wit's End(마법사의 최후)Elixir of Iron(강철의 영약) 이 세종류는 있어야 합니다.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이 없다고 생존력이 급감하진 않으나 Wit's End(마법사의 최후)가 없다면 생존력이 급감 합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적의 딜을 분산하면서 한타때 안으로 들어온 암살자에게 스턴을 먹여주고 

적 원딜러에게 접근이 가능하면 물어주면 됩니다.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Elixir of Iron(강철의 영약)LegendTenacity(전설: 강인함) (강인함 63% + 각종 CC 지속 30%감소)로 적의 CC를 다맞아도 살아나가는 경우가 많으니

적의 궁극기가 CC기라면 한타직전 잘라먹기를 시도하는 적의 스킬을 미리 빼주고 한타를 열면 됩니다.

원딜에게 집중되는 포커싱을 대신 받아주고 전방라인이 온다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Wit's End(마법사의 최후)Conqueror(정복자)로 녹이고,

적 딜러가 온다면 우디르의 3.25초동안 40% 이동속도 증가 E와 1.85AD로 녹여주면 됩니다.

마치며

 이런 전략을 유지하며 우디르로 다이아를 찍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충분히 다이아 찍을 수 있습니다.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1명

나도 한마디 (3)

  • 별이되어랑 | [답글]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수 없이 많은 우디르를해봤지만 손이 느리고 빠른 공속이 감당이 안되는 저에겐 이 우디르가 참 잘 맞는 것 같네요. 아주 잘 사용하겠습니다~
  • 별이되어랑 | [답글] 티아멧-잿불-칠흑-즈롯-거드라 후 망자,정령 은 어떨까요 제가우디르 참 좋아하는데 딜탱에서 탱에 더 치우친 우디르를 정말 좋아해서
  • Yassadin | 탱으로 치우쳐진 우디르의 경우에는 우디르의 Q의 스킬의미가 흐릿해지고, W를 이용한 회복을 제외한 다른 스킬이 크게 의미가 없어져 더욱 스플릿에 몰리게 되고, 본 글에서 말하고싶은 다이아까지 올라가기 위해선 스플릿 운영을 받쳐줄 팀원을 찾는거보다 한타를 해서 이기는 편이 낫습니다. 이 글을 쓴 목적은 스플릿 운영을 하기보단, 확실한 정글링과 생존력, 오브젝트 능력을 키우고, 정글링의 기본을 쌓는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래도 즈롯과 칠흑으로 힘을 주면 게임이 훨씬 유리한건 맞죠. 탱 우디르랑 딜 우디르는 성격이 달라서 취향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