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버프+지크버프로 날아오른 레오나 7.20ver

17 / 20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 43개 | 조회: 91,527 |

본 공략은 Chrome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혹시 렉이 걸리시면 크롬으로 다시 들어와주세요.



픽창에서 보는 간단 요약 공략


1. 룬




2. 특성

12/0/18 파괴전차파괴전차의 용기(Courage of the Colossus)



3. 스킬트리, 스펠


1렙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2렙 EZenith Blade(천공의 검), 3렙 WEclipse(일식) 이후 WEclipse(일식)-EZenith Blade(천공의 검)-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순 선마



스펠 : Ignite(점화)Flash(점멸) 고정


4. 아이템트리




5. 핵심 플레이팁


- 게임 시작 때 정글러에게 칼날부리나 역버프 부탁 후 1렙 삼거리 부쉬대기



- 초반 라인전 때 적 와드 평Q평으로 부시고 부쉬 장악하고 부쉬 플레이하기


- 처음 미니언 라인에 Q 아끼지 말고 사용해서 선 2렙 찍기


-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로 두번째 웨이브 3번째 근거리 미니언이 반피 정도 남았을 때 터트려서 선 2렙  찍고 킬각 잡기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은 우리 정글러가 Sonic Wave(음파/공명의 일격)Cocoon / Rappel(고치 / 줄타기)Javelin Toss(창 투척/숨통 끊기) 등을 쓰기 전에 먼저 써주기


- 우리 원딜의 Heal(회복),Flash(점멸)을 확인하며 킬각잡기, 적이 Flash(점멸)이 없으면 킬각보기

자세한 공략을 더 알고싶다면

시간 나실 때 방문하셔서 아래 본문 내용을 읽어주세요.


---------------------------------------------



레오나Leona(레오나)가 솔랭에서 좋은 이유



· 적 원딜 서폿 둘 중 하나만 구멍이어도 바텀을 박살낼 수 있다


· 적 바텀픽을 보고 후픽 카운터로 뽑기 좋다


· 운용법이나 판단, 아이템트리나 룬특성만 제대로 따라해도 티어올리기가 쉽다



7.19 패치

Zeke's Convergence(지크의 융합)버프



레오나와 상향된 지크의 시너지를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지크때문에 이긴 영상은 아니지만

레오나와 지크가 잘 맞는 템이라는걸 보여줍니다.





특히 레오나Leona(레오나)를 픽하면 좋은 상황


적 원딜이 Miss Fortune(미스 포츈)Varus(바루스)Ashe(애쉬)Jinx(징크스)Kog'Maw(코그모)Twitch(트위치) 같은 뚜벅이 일 때

적 서폿이 Nami(나미)Lulu(룰루)Vel'Koz(벨코즈)Sona(소나)Karma(카르마)와 같은 물몸 유틸, 딜폿일 때


+ 선택 사항

적 미드가 Lux(럭스)Vel'Koz(벨코즈)Syndra(신드라)Orianna(오리아나)같이 생존기가 부실할 때

우리 팀에 탱커나 하드 CC가 부족할 때


고정 밴


Janna(잔나)(X) -> Alistar(알리스타)

잔나 너프 이후 잔나보다는 알리스타가 더 까다롭다고 느껴지네요.


팀원에게 부탁하면 좋은 밴


Soraka(소라카)

저는 밴하진 않지만 까다롭다고 느껴지시면 현재 밴하셔도 좋을만한 챔피언입니다.




7.20 기준 사이온 서폿을 제외하면 2위로 올라선 레오나

점점 밴률도 올라가는 추세입니다.

Runes
  • 상급 공격력 표식
    공격력 +0.95
    X 9
  • 상급 방어력 인장
    방어 +1
    X 9
  • 상급 마법 저항력 문양
    마법 저항력 +1.34
    X 9
  • 상급 이동 속도 정수
    이동 속도 +1.5%
    X 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공격력
    +8.55
  • 방어
    +9
  • 마법 저항력
    +12.06
  • 이동 속도
    +4.5%
빨강

- 공격력 * 9 -

 고정입니다.
평Q평으로 가장 빠르게 평타를 박아넣을 수 있는 레오나에게
공격력 8.5는 다른 챔피언들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적을 물었을 때 킬 캐치율을 높이는 것이기 위해
무엇이든 해야하는 것이 레오나이고,
그러기 위해서 뒤이어 나올 본문 내용에
많은 방법들과, 특성과, 아이템과 스펠 등이 총동원됩니다.
그 시작점이 바로 빨강 공격력룬이며,
이런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먼저 마음 속에 새겨두시기바랍니다!

-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


노랑

- 고정 방어 * 9 -


-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Cloth Armor(천 갑옷)-


파랑

 - 고정 마저 * 9 -

그나마 레오나 룬 중에 변형을 줄 수 있는 곳이
파랑룬 쪽입니다.
취향에 따라 쿨감을 섞어주셔도 됩니다.

-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Null-Magic Mantle(마법무효화의 망토)-

왕룬

- 이속 * 3 -

레오나의 왕룬은 이속룬입니다.
레오나는 스킬 매커니즘 상,
'접근'이 가장 중요한 챔피언 중 하나입니다.
이속룬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



마스터리 Mastery
흉포
0
5
1
0
0
0
5
0
1
0
0
0
0
0
책략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결의
0
0
0
5
1
0
0
0
5
1
0
0
0
레오나 특성 '흉포'에 대한 이해

기본적으로 레오나Leona(레오나)를 솔랭에서 픽했다는 의미는,
'적 바텀을 라인전에서 찢어놓겠다.'라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탱서폿들과는 또 다르게
레오나는 12/0/18로 흉포에 포인트를 투자합니다.
이는 조금이라도 킬 캐치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죠.
특히나 레오나는 플레이하다보면 '한끗 차이'가 아쉬울 일이
가장 많은 서폿 챔피언이라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이런 한끗을 흉포에 투자함으로써 반끗으로, 0으로 줄여줍시다.

마술새로운 피(Fresh Blood)타고난 재능(Natural Talent)양날의 검(Double Edged Sword)=1->1/2->0 -


레오나 특성 '결의'에 대한 이해

하드 CC를 3개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Zenith Blade(천공의 검)Solar Flare(흑점 폭발)나 가지고 있는 레오나에게 있어서
파괴전차파괴전차의 용기(Courage of the Colossus)만큼 잘 어울리는 특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천둥군주천둥군주의 호령(Thunderlord's Decree)로 킬캐치율을 더 높일 수도 있겠지만
파괴전차의 용기(Courage of the Colossus)를 통해 한턴을 버티고 Q로 타게팅 스턴을
한번이라도 더 박아주는게 이득인 편이 많습니다.
애초에 레오나는 '들어가는 것'이 전제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반드시 수비적이라고만 볼 수는 없는 특성이죠.

-꿋꿋함(Unyielding)살펴보기(Explorer)고참병의 흉터(Veteran's Scars)통찰력(Insight)전설의 수호자(Legendary Guardian)파괴전차의 용기(Courage of the Colossus)-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레오나 스펠 '점화'에 대한 이해

죽여야죠. 찢어야죠. 터트려야죠.
그것이 레오나의 숙명이고
그래야 우리의 티어가 올라갑니다.
제가 아래에서 공유할 많은 팁들과 운영방법들도
모두 점화를 들었을 때를 가정한 플레이이므로
반드시 점화Ignite(점화)를 들어주세요.
그리고 탈진Exhaust(탈진)이 이전에 너프되면서
상대적으로 적이 Exhaust(탈진)이고 나는 Ignite(점화)일 때
Ignite(점화)쪽이 훨씬 유리한 상성이 됐습니다.
굳이 너프까지된 Exhaust(탈진)을 들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Ignite(점화)-

레오나 스펠 '점멸'에 대한 이해

레오나의 Flash(점멸)은 수비적인 면보다도
공격적일 때 더욱 밝게 빛이나죠!
'나는 Flash(점멸)이 있고 적 바텀이나 미드에 Flash(점멸)이 빠진 챔피언이 있다면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등으로 킬각을 꼭 만드세요.'
'나플적없, 플큐킬각' 으로 한번 기억해둡시다!

Flash(점멸)ON , Flash(점멸)OFF ->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트리
1렙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2렙 EZenith Blade(천공의 검)-3렙 WEclipse(일식) 이후
Eclipse(일식)-Zenith Blade(천공의 검)-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순으로 마스터해주세요!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쿨타임 버프 이후로 2번째 선마는 EZenith Blade(천공의 검)선마가
효율이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스킬 활용 팁
레오나 스킬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에 대한 이해

1. 툴팁 뜯어보기

마나 소모 : 45/50/55/60/65
초반에 1레벨만 찍는걸 생각하면
마나 소모가 크진 않습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 공통 6초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타임 버프가 정말 갓패치였죠.
브라움Braum(브라움)   Winter's Bite(동상) 10초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   Power Fist(강철 주먹) 9초
쓰레쉬Thresh(쓰레쉬)   Flay(사슬 채찍) 9초
알리스타Alistar(알리스타)   Pulverize(분쇄)17초 Triumphant Roar(승리의 포효) 12초
등을 생각해보면
교전이 조금만 길어져도
적보다 스킬을 한 번 더 쓸 수 있겠네요.

데미지 : 30~130의 추가데미지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으로 빠르게 평타를 우겨넣는걸 생각하면
큰 데미지는 아니지만 그럭저럭 쏠쏠하군요.

사정거리 : 50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스킬을 키면 평타 사거리가 50 늘어납니다.
이속룬과의 시너지도 나는 부분이죠.

2. 확정 CC,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당연히,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은 타겟팅 스턴 스킬입니다.

하지만 롤, 특히 솔랭에서는
타겟팅 스킬의 의미가 더 크다는 점을 알아둡시다.

말자하Malzahar(말자하)   Nether Grasp(황천의 손아귀)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   Power Fist(강철 주먹)
트페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   Pick a Card(카드 뽑기)(골드카드)

등등 많은 타겟팅 하드 CC스킬들은
포커싱이 흐려질 수 밖에 없고
팀워크가 맞는게 이상한 솔로랭크에서
명확하게 팀원들에게 이런 무언의 외침을 하죠.
Malzahar(말자하)Blitzcrank(블리츠크랭크)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 : '이 놈이에요! 이 놈 잡으세요!'

위 말자하Malzahar(말자하),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 트페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를 보시면 알 수 있는 공통점.
전통의 솔로랭크 고승률 챔피언들이라는 점이죠.

그럼. 이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이 타겟팅이라는 점을
어떻게 활용해야하는 걸까요?

바로, 특히 라인전 갱호응 시에 더욱.
'우리 정글러의 논타겟 스킬을 확정타로 만들기 위해'
적 챔피언에게 먼저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로 스턴을 먹여주는거에요.

예를 들어봅시다.
롤에는 논타겟팅 스킬이 대부분이에요.
그라가스Gragas(그라가스)   Barrel Roll(술통 굴리기)Body Slam(몸통 박치기)Explosive Cask(술통 폭발)
니달리Nidalee(니달리)   Javelin Toss(창 투척/숨통 끊기)
리신Lee Sin(리 신)   Sonic Wave(음파/공명의 일격)
엘리스Elise(엘리스)   Cocoon / Rappel(고치 / 줄타기)
기타 등등.

레오나는 확정 1초 기절인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을 이용해
우리 정글러가 논타겟 스킬을 날리기 전에 '먼저'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로 적을 기절시켜서 가만히 있게 만들고
우리 정글러가 논타겟 스킬을 연계하여
적을 더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잡아낼 수 있게 해줘야합니다.

예시 영상 하나 보고 가시죠.


제가 설명하려고 했던 부분이 뭔지 아시겠나요?
트위치Twitch(트위치)가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에게 끌리고, 레오나Leona(레오나)가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 쪽으로 접근합니다.
그런데 레오나Leona(레오나)는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 평타 사거리 안쪽으로 들어왔는데도
바로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쓰지 않아요.
왜냐하면 리신Lee Sin(리 신)바텀쪽으로 내려오고 있는걸 봤기때문이죠.
따라서 리신Lee Sin(리 신)이 어느정도 음파Sonic Wave(음파/공명의 일격)사거리까지 올 때 쯤에 맞춰서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턴을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에게 먹여줍니다.
그 덕에 리신Lee Sin(리 신)은 더 편하고 확실하게 논타겟 스킬인 음파Sonic Wave(음파/공명의 일격)
블리츠Blitzcrank(블리츠크랭크)에게 적중시킬 수 있게 되죠.
이런 식으로 정글러에게 호응할 때 레오나Leona(레오나)
'정글러의 논타겟 스킬를 확정타로 바꾸기 위해
적절한 타이밍에 Q스턴으로 적을 기절시켜야한다.'
는 점을 명심하고 플레이하셔야합니다.

라인전 한정으로 봤을 때는 주로 정글러에게 호응하는 용도이지만,
한타 때나 짤라먹기 시에 우리 팀원의 논타겟 스킬을 집중시키기 위해
타겟팅 스턴인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가 활용되는 경우도 매우 많습니다.

팀원의 스킬을 의식하고, 그에 맞춰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써보세요!

자크의 E를 확정타로 만들기 위한 플레이입니다.




3.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쿨타임 활용

이전에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쿨타임이 모든 레벨에서 6초로 낮아지는 버프가 있었던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셨을 거에요.

이 버프덕에 레오나Leona(레오나)는 원래 전통의 카운터였던
Thresh(쓰레쉬)Alistar(알리스타)와 같은 챔피언과도 비빌 수 있게 되었고
쉽지만은 않은 상대인 Blitzcrank(블리츠크랭크)와의 대결 등에서도 통계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죠.



인간의 심리상, 그리고 롤을 많이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적 챔피언의 스킬 쿨타임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어느정도는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6초라는 쿨타임
적이 아직까지 쉽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나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 돌았는데 들어와주네?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스턴 먹어라 이 놈아~'

하는 경우가 매우매우 많아졌다는 뜻이죠.

적입장에서는
'아니 우리 서폿은 스킬 쿨 한참 남았는데
쟤네는 왜 벌써 CC를 또 거는거야 ㅡㅡ'
이렇게 되는거죠.

따라서 이 파트에서 강조드리고 싶은건,
특히 2:2 싸움을 할 때, 레오나는 더더욱
'포기하지마시라' 는 거에요.

또한 지금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는 카운터 챔피언을 이겨버릴 정도로 사기적이기때문에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의 힘을 믿고 더 공격적으로 킬각을 자주 보는 노력을 하세요.


예시 영상을 함께 봅시다.

영상 초반부를 보시면 레오나Leona(레오나)가 쓰레쉬Thresh(쓰레쉬)에게 붙어서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스턴을 걸고
점화를 걸어서 킬각을 한 번 노려봅니다.
레오나Leona(레오나)가 EZenith Blade(천공의 검) 스킬이 있었다면 킬각이었겠지만 EZenith Blade(천공의 검)가 그 전에 빠졌었나보네요.
그렇게 아쉬움을 뒤로하고 각 바텀은 서로의 포지션을 재정비합니다.
그런데 11초경, 적 쓰레쉬Thresh(쓰레쉬)가 앞무빙을 치죠.
그런데 놀랍게도 레오나Leona(레오나)교전한지 얼마됐다고, 벌써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써서
쓰레쉬Thresh(쓰레쉬)를 잡아내는데 성공합니다.
불쌍한 쓰레쉬Thresh(쓰레쉬)는 맞기만 하고 본인 스킬은 하나도 안돌았는데
왜 쟤는 스킬이 돌았냐며 하늘을 원망합니다.
그 뒤, 이즈리얼Ezreal(이즈리얼)은 쓰레쉬Thresh(쓰레쉬)의 실수를 만회하기위해
앞비전Arcane Shift(비전 이동)으로 더블킬각을 노려봅니다.
그런데 레오나Leona(레오나)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가 또 돌았네요.
결국 이즈리얼Ezreal(이즈리얼)은 눈물의 앞비전Arcane Shift(비전 이동) 뒷점멸Flash(점멸) 콤보를 사용하며
미니언에게 생을 마감하게됩니다.
우리의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믿읍시다.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는 지금 사기스킬이에요.

다른 예시 영상들도 준비되어있습니다.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버프 덕에 이런 억지 플레이까지 가능해져버린 현재의 레오나Leona(레오나)입니다.
우리 원딜이 플래시Flash(점멸)도 없고, 저렇게 멀리 있는데 혼자 저렇게 들어가도 되나?
네, 보통 다른 서폿이라면 저런 플레이는 던지는 플레이가 됩니다.
그런데 6초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로 인해 룰루Lulu(룰루)에게 2번이나 스턴을 박게 되고
기절을 맞고 그 자리에 멈추게 된 룰루Lulu(룰루)는 그렇게 최후를 맞이합니다.
마지막에 베인Vayne(베인)은 얼마나 황당했을까요?
'이 놈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또 돌았네...'
네, 지금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는 진짜 돌았습니다.


왜 지금 레오나Leona(레오나)가 전통의 카운터인 알리스타Alistar(알리스타)
비빌 수 있게 되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알리스타Alistar(알리스타)의 현자타임Headbutt(박치기)Pulverize(분쇄)동안,
레오나Leona(레오나)는 대체 몇번의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쓰는지 직접 확인해보시죠.



그리고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타임 버프를 활용하는 또 다른 팁이 있습니다.
이제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이 라인전 초반단계에서 너무 빨리 돌기때문에
초반에 선 2렙을 찍기 위해 미니언을 칠 때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사용해서 밀어주세요.

오히려 적이 '레오나Leona(레오나)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빠졌으니까 위험하지 않겠지?' 싶어서
방심하게하는 효과까지 있어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4. Flash(점멸), 그리고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먼저, 나(레오나Leona(레오나))의 점멸과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콤보는, 간단히 보면 이렇게 생각하시면 돼요.
400+125+50 사거리의 원거리 확정 CC.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의 판정은 매우 뛰어나서,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로 연계했을 시에
적이 Flash(점멸)이나 Arcane Shift(비전 이동)Relentless Pursuit(끈질긴 추격)Tumble(구르기)등의 이동기를
아무리 빨리 쓴다고해도 1초 기절은 걸리게 되죠.


예시 영상 갈게요.

이 영상에서의 플레이는 다소 리스크가 있었죠.
룰루Lulu(룰루)의 변이Whimsy(변덕쟁이) 스킬 때문에, EZenith Blade(천공의 검)스킬 연계가 조금 늦게 들어가서
아슬아슬하긴 했지만 다행히 EZenith Blade(천공의 검)를 적중시켜서 킬을 따내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적 원딜이나 물몸 서폿들이 조금만 앞포지션을 잡고 있다?
지체없이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로 깜짝 킬각을 노려봅시다.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이후 EZenith Blade(천공의 검)와 RSolar Flare(흑점 폭발)연계를 생각하면 적을 상당히 오래 묶어둘 수 있어요.

다음 영상 보시죠.
플래시Flash(점멸)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장면은 35초 정도부터 보시면 돼요.
1분 다 보셔도 도움되는 영상이니 봐두셔도 좋습니다.
이렇게 레오나 상대로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사거리 안(575)에서 앞포지션을 잡으면
바로 응징해줍시다.



다음으로는, 의 Flash(점멸)과 나(레오나Leona(레오나))의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챔피언 스펠 파트에서 살짝 말씀드린 부분인데, 기억나시나요?
'나플적없, 플큐킬각'
의 Flash(점멸)이 빠져있는 상태인데 내(레오나Leona(레오나)Flash(점멸)은 있는 상태라면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를 이용해 반드시 킬을 내주셔야합니다.

레오나Leona(레오나)를 플레이할 때 특히  Flash(점멸)체크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에요.
적 미드와 우리 미드가 1:1을 하고나서 반드시 물어보세요.
'적 미드Flash(점멸) 빠졌어요?'
Flash(점멸)가 빠졌다고하면, 적극적으로 미드 로밍을 가서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로 킬을 내주세요.
적 바텀 Flash(점멸)가 없을 때도 당연하고요.
레오나Leona(레오나) Flash(점멸)이 없고 내 Flash(점멸)은 있을 때 정말 강력한 챔피언입니다.
반드시 의식하시고 플레이하세요!

영상 좀 보고갑시다!

나플적없 플큐킬각
적 점멸이 없으면 반드시 교전 유도로 이득을 더 굴리세요!

이렇게 적 뚜벅이 미드Orianna(오리아나)가 플래시Flash(점멸)가 없는 상황에서
레오나Leona(레오나)의 Flash(점멸)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는 거의 확정 1킬을 가져다줍니다.
적 뚜벅이 미드Orianna(오리아나)의 Flash(점멸)이 없으면 미드 로밍으로 게임을 터트리세요.


5. 평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 와드 학살자

레오나Leona(레오나)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으로 와드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를 혼자서 지울 수 있다는건
많이들 아실거에요.

레오나Leona(레오나)는 부쉬Brushmaker(수풀 가꾸기)Brushmaker(수풀 가꾸기) 장악만 성공하면 솔킬 각을
보기 매우 편한 챔피언이기 때문에 처음 적 와드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를 평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으로 깨냐 못깨느냐가
라인전 판도를 어느정도 좌지우지할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일부러 레오나Leona(레오나)는 초반에 적 원딜이나 서폿이 
와딩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을 할만한 자리에 대기를 타고 있다가
와드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를 보는 즉시 평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으로 와드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를 학살해줍니다.

적이 레오나Leona(레오나) 이해도가 조금 있다면 부쉬에 와드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를 안박겠지만,
그냥 박아주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


영상. 가야죠.
이번에는 영상 초반부, 레오나가 적 와딩Warding totem (Trinket)(와드 토템 (장신구))을 의식한 위치에서 
자리잡고 있는데 주목하여 다시 한 번 시청해봅시다.


6. 2렙 오공 VS 1렙 레오나

1렙 레오나Leona(레오나)는 지금 1렙 여포 그 자체에요.
눈 아프게 언급했던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 버프 때문이기도하고.
패시브Sunlight(햇빛) 데미지 상향패치때문이기도하죠.

그렇기 때문에,

지금 레오나Leona(레오나)는 1렙 삼거리 부쉬대기를 치면
80% 이상 확률로 1렙 킬을 낼 수 있는 서폿이에요.

반드시 게임 시작 할 때 우리 정글러에게
역버프나 칼날부리 스타트를 부탁하시고
삼거리 부쉬대기로 무조건 이득을 보고 시작하시기 바래요.

예시 영상들 보시면 이해가 빨리 되실거에요.


때로는 적이 올 것 같다하면
이런데서 대기타도 꿀이 굴러 들어오기도 하죠.


이 외에도 수많은 1렙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로 이득을 보는 영상들이 있습니다.
롤이라는 게임은 '유리한 시간대' 라는 버스를 놓치면
캐리하기 힘든 게임이에요.

1렙 여포인 레오나Leona(레오나)의 장점을 살려 적극적으로 인베이드를 가거나
1렙 삼거리 부쉬대기를 통해 이득을 봅시다.

그리고 따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삼거리 대기 영상들의 공통점을 눈치채셨나요?

보통 부쉬에서 습격하는 경우에는
평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을 차분히 박아도 적이 플래시Flash(점멸) 반응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영상들을 찬찬히 뜯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만약 저기서 평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을 안하고
바로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을 했으면 평타 한 대 차이로 아쉽게 놓친 경우
상당히 많이 보이실거에요.

레오나의 기본 중의 기본은 평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입니다.
적의 점멸Flash(점멸)이나 이동기 여부에 따라,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평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을 의식하며 사용하셔야해요.

살짝 팁을 하나 더 드리자면,
적 원딜이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를 들고 있는데 적 서폿이 Ancient Coin(고대 주화)Spellthief's Edge(주문도둑의 검)류 서폿이라면
적 서폿을 노리시면 킬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꼭! 명심하고, 의식하고. 플레이합시다.


삼거리 대기 플레이시에 특히나 중요한게
위에서 제가 쭉 소개한 룬, 특성, 점화Ignite(점화)를 들고있다는 전제하에서
가능하다는 점이에요.

꼭 제가 소개드린 것들을 실전에 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7. 이속룬, 그리고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이번에는 왜 레오나가 이속룬을 껴야만 하는지 설명해드릴 차례에요.
먼저, 1. 툴팁 뜯어보기에서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킬에는 사정거리 : 50
 이 있다는 사실, 다시 한 번 떠올립시다.

이렇게 소소한 평타 사거리 증가효과와 더불어
속룬으로 인한 이동속도가 있으면,
특히 초반부에 적 챔피언을 따라가면서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스턴을 넣기가 매우 용이합니다.

중요한건 '내가 이속룬을 끼고있다'라는 사실을 인지한 상태에서
플레이하면 '아... 저건 못잡겠다'하는 것도 
'내가 더 빠르니까 쫓아가서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박고 잡자'라고 바뀔 수 있다는 점이죠.

영상 고고싱합시다.

먼저 위에서 잠깐 설명드린 팁,
'적 원딜이 도란방패Doran's Shield(도란의 방패)면 적 주도검Spellthief's Edge(주문도둑의 검), 주화Ancient Coin(고대 주화) 서폿을 노려라'는 점
이 영상을 통해 다시 한 번 상기하시길 바래요.

이렇게, 이속룬의 이점으로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 사거리까지 트위치Twitch(트위치)에게
빠르게 '접근'하여 킬을 낼 수 있게 되는거죠.

8. Q평 이후 앞무빙 습관

레오나Leona(레오나)는 평Q평으로 평타를 우겨넣을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공속이 빠른 챔피언은 아니에요.

1렙 레오나Leona(레오나) 공속은 0.625죠.
따라서 Q평 이후에 그냥 적에게 어택땅을 찍어놓고 있으면
적 앞에서 버벅거리는 시간이 낭비된다는 뜻이에요.

그렇게때문에 평타 이후 다음 평타 딜레이 시간까지
레오나Leona(레오나)적의 뒤로 가서 후속 평타와 Q를 더 수월하게 박을 수 있도록
앞무빙을 쳐줘야합니다.

Q로 적을 멈춰놓고 그 사이에 적을 앞지르는거죠.

극초반에도 이속룬이 있기때문에 더 빛이나는 플레이고,
신발을 빨리 올리는 레오나Leona(레오나)의 특성상 습관화되면 좋습니다.

글로만 보면 이해가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영상으로 갑시다.

룰루Lulu(룰루)에게 Q평을 박으면서 최대한 룰루Lulu(룰루) 뒤쪽으로
가는 앞무빙을 치는 것에 주목하며 다시 한번 봐주세요.

영상 마지막 17초 정도부터
자야Xayah(자야)에게 Q스턴을 넣고 레오나Leona(레오나)가 앞무빙치는 것을 보실 수 있죠.


레오나 스킬 'EZenith Blade(천공의 검)' 에 대한 이해


EZenith Blade(천공의 검) 스킬에 대한 이해도를 팍팍 높여봅시다.

1. 2렙 레오나는 강하다


1렙에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2렙에 Zenith Blade(천공의 검)를 배운 레오나
현재, 상성을 뛰어넘는, 상상을 초월하는
2렙 킬각을 낼 수 있는 챔피언이에요.


이렇게 불리해보이는 상황에서도,
킬각을 볼 수 있는게 2렙 레오나죠.


여기서 정 말 핵심적인 꿀팁 나갑니다!!!
이 덕에 레오나티어올리는 치트키라고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중요합니다.
반.드.시 이 플레이를 체화시켜서 마스터하세요!

바로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를 이용한 선 2렙 킬각잡기죠.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저의 칼럼을 확인하시고,
여기선 영상으로 이게 무슨 소리인지 확인해봅시다.






영상들을 보시고 이제 고유방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 2렙이 무슨 뜻인지 아셨나요?
2렙 타이밍에 대한건 대부분 아시겠지만 간단히 설명드리면
첫 웨이브 6마리를 먹고, 두 번째 웨이브 근거리 미니언 3마리를 먹고 나면
바텀은 나눠먹기 때문에 둘 다 2렙이 되죠.

먼저, 라인이 도착하면 적의 견제를 적당히 피해주면서
가능한 미니언에 평타를 박아줍니다.

그리고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은 적 근거리 미니언이 반피 이하 정도만 되면
한번에 터트릴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는 거에요.

적 입장에서 레오나 2렙을 의식은 하겠지만,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로 인해 생각보다 더 빠르게 2렙이 되는 것
잘 의식하지 못하게 되는거죠.

따라서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 스택을 첫 웨이브 근거리 미니언에 하나 터트려주고,
두 번째 웨이브 마지막 3번 째 근거리 미니언이 반피 정도가 됐을 때
딱 터트려주면서 바로 E를 찍고 EZenith Blade(천공의 검)-점화Ignite(점화)-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연계를 하면
거의 대부분 킬각이 나오게 됩니다.

영상을 꾸준히 들여다보시면서,
몸에 체화될 때까지 실제 게임에서 연습하세요.

이것만 알아도 실버에서 골드, 골드에서 플레가는 것이
꿈이 아닐 정도로 중요한 레오나 플레이의 핵심입니다.


2. 사람의 추적자 레오나

이번에 소개드릴 팁은 고급기술이고
숙련도가 꽤 요구됩니다.

하지만 레오나Leona(레오나) 이해도를 더욱 높이고 싶다면
알아두시면 유용한 팁이죠.

Zenith Blade(천공의 검) 천공의 검 스킬은 판정이 매우 좋은편이에요.
아마 적이 Zenith Blade(천공의 검)를 맞고 Flash(점멸)을 써도 쫓아가는 사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EZenith Blade(천공의 검) 스킬은 사실 더 응용될 여지가 많아요.
생각해보면 Flash(점멸)도 따라가는데, 못 따라갈게 뭐가 있겠어요.
롤 최고 판정인 Flash(점멸)까지 따라가버리는 녀석이니까요.


영상으로 일단 보고 옵시다.
먼저 점멸Flash(점멸) 따라가기에요.

다른 영상들도 봅시다.
이런 식으로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으로 일단 자야Xayah(자야)에게 기절을 넣어줍니다.
이 때 자야Xayah(자야)는 뭘 하고 있을까요?
저라면 쓰레쉬Thresh(쓰레쉬) 랜턴Dark Passage(어둠의 통로)을 마우스 부서질 정도로 광클 중일 것 같아요.
이런 심리를 이용해서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스턴이 풀릴 때 즈음, 아주 살짝 늦게 EZenith Blade(천공의 검)를 날려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사이좋게 랜턴Dark Passage(어둠의 통로)을 같이탈 수가 있게되죠.

여기서 팁을 얻을 수 있는데,
이렇게 적의 이동기나 점멸을 따라가는 플레이는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평을 박고 나서 바로 EZenith Blade(천공의 검)를 쓰지말고
사알짝 늦게.
사알짝 늦게 쓰면 적이 스턴이 풀리자마자
이동기를 보통 쓰려고하기 때문에 쫓아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렇게 라칸Rakan(라칸) E도 한 번 같이 따라가주고요.


사알짝 늦게 EZenith Blade(천공의 검)를 써서 이렇게 점멸Flash(점멸) 따라 붙어줍시다.

이렇게 타이밍 좋게 쓰면 라칸Rakan(라칸) W도 무시해버릴 수 있죠.

3. Zenith Blade(천공의 검) : 나도 딜 있는데...

저만 그런건지는 몰라도, Zenith Blade(천공의 검)스킬은 광역 딜 스킬이라는 점
까먹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이는 나중에 또 설명할 WEclipse(일식),EZenith Blade(천공의 검)를 통한 라인클리어에도 유용하지만
바텀 2:2에서 최대한 적 2명에게 E를 맞도록해야
2명에게 데미지와 부가적으로 패시브도 둘 다 터트릴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죠.

따라서 가능하다면 적 2명이 일직선에 있을 때 E를 두명 모두에게 맞춰주시면
2:2 승리확률이 굉장히 올라가는 효과가 있습니다.



4. 나는 끝만 본다.

Zenith Blade(천공의 검)스킬에는 0.5초 동안 적을 속박하는 효과도 있죠.
그런데 만약 E를 적 여러명이 맞는다면,
맨 마지막에 맞는 적만 속박이 돼요.

그리고 레오나Leona(레오나) 또한 마지막 대상을 향해서 돌진하게되죠.
영상을 통해서 무슨 말인지 보여드릴게요.

이런 식으로 말이죠.
간혹 앞에 팀원이 대신 막아주고 있어서 그런가
은근히 E각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저희는 무시하고 뒤에 있는 원딜을 조져줍시다!



레오나 스킬 'WEclipse(일식)'에 대한 이해

여기까지 오신 분들,
여기까지만 해도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제 나머지 부분은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EZenith Blade(천공의 검) 파트에 비하면 조금은 가벼울테니
힘내서 끝까지 가보자고요.

1. Zenith Blade(천공의 검)Eclipse(일식) 날아가면서 W켜기

WEclipse(일식)스킬은 EZenith Blade(천공의 검)스킬을 타고 적에게 날아갈 때,
그 때 켜주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Eclipse(일식)먼저 사용하면 적이 
'레오나Leona(레오나) 들어오려나보다'하고 뒷 무빙을 먼저 치기때문이죠.
Eclipse(일식) 데미지를 입히기에도 Zenith Blade(천공의 검)로 날아갈 때 써야 타이밍이 잘 맞기도하고요.

많이들 알고 계시겠지만
실제 게임에서 꼭 실천하도록합시다.


꼭 체화시켜서 사용합시다.


2. Zenith Blade(천공의 검)Eclipse(일식) 라인 꿀꺽해버리기

이것도 알고 모르고 차이가 큰 부분이니
꼭 잘 알아두시고 실전에서 활용하세요.

레오나Leona(레오나) EZenith Blade(천공의 검)와 WEclipse(일식)는 광역스킬이죠.

여기선 라인을 Zenith Blade(천공의 검)Eclipse(일식)로 빠르게 미는 방법에 대해 배워봅시다.
Zenith Blade(천공의 검)와 Eclipse(일식)순차적으로 적 미니언 라인에 쓰고,
그 위에 원딜러가 광역 스킬을 덮어주면
엄청나게 빠른 라인 클리어가 가능해요.

이득보고 집갈 때 이렇게 하고 가면
게임을 더더욱 굳히는 원동력이 됩니다.


레오나 'RSolar Flare(흑점 폭발)'에 대한 이해

스킬 파트는 이제 거의 끝나가네요!
매우 중요한 레오나Leona(레오나)의 궁극기Solar Flare(흑점 폭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흑 



1. 툴팁 뜯어보기


재사용 대기시간 : 90/75/60초
1렙 궁쿨이 90초...?
교전 유도를 위한 서폿인 레오나Leona(레오나)인만큼,
바텀에서 모든 것을 쏟아부은 영혼으 2:2 싸움을 하고 난 후
다시 각각 라인에 복귀하는 그 순간.
레오나Leona(레오나)의 궁극기Solar Flare(흑점 폭발)는 적 궁극기보다 대부분 빨리 돌아오게 되죠.
룰루Lulu(룰루) - Wild Growth(급성장)110초
소나Sona(소나) - Crescendo(크레센도)140초
쓰레쉬Thresh(쓰레쉬) - The Box(영혼 감옥)140초
알리스타Alistar(알리스타) - Unbreakable Will(꺾을 수 없는 의지)120초
자야Xayah(자야) - Featherstorm(저항의 비상)140초
기타 등등.
주요한 적 챔피언들의 궁극기 쿨타임을 생각해보면
적보다 확연히 궁쿨이 빠르게 도는걸 알 수 있죠.
이를 이용해서 라인에 복귀하면서 우리 정글러한테 뒤를 봐달라고하고,
먼저 돌아온 궁극기로 싸움을 열면 이득볼 확률이 매우 높아요.

관련 재탕 영상 한번 다시 보시죠.
이번엔 적 자야Xayah(자야)와 쓰레쉬Thresh(쓰레쉬)에 집중해서 봅시다.
아마 처음 영상을 보셨을 때 의문점이 남으셨을지도 모르겠어요.
'왜 자야Xayah(자야)는 궁을 안쓰지? 쓰레쉬Thresh(쓰레쉬)도 그렇고. 바보들인가?'
그런데 이게 위에서 설명한 궁쿨을 이용한 전형적인 플레이 패턴이에요.
이전에 레오나는 바텀 교전에서 자야Xayah(자야)에게 4킬이나 내주게되면서
쉽지 않은 흐름이었지만,
라인에 복귀한 뒤 레오나는 궁이 돌고 적들은 궁이 없는 이 타이밍에
럼블Rumble(럼블)에게 뒤를 봐달라는 콜을 했죠.
그리고는 이렇게, 매우 큰 이득을 챙기고요.

반드시 궁쿨을 의식하면서 플레이하기. 잊지맙시다.



데미지, 기절, 둔화... : 얘네는 다들 아실테니 Pass.



시전 후 5초 동안 '작열 효과'를 얻습니다. 
다음 기본공격 3/4/5회 동안 사거리 100증가, 추가마뎀, '패시브Sunlight(햇빛) 적용'
제일 중요한건 마지막 패시브 적용부분이에요.
평타 한방 한방 당 패시브Sunlight(햇빛)가 터져버리기 때문에 이를 의식하고 플레이하면
좋은 장면들을 만들어 낼 수가 있죠.

영상 갑시다.

나서스Nasus(나서스)를 잡아낸 후 나미Nami(나미)를 쫓아가며 궁 평타를 때립니다.
그런데 나미Nami(나미)에게는 트위치Twitch(트위치)의 맹독이 묻어있죠.
그래서 Solar Flare(흑점 폭발) 평타 한방 한방에 패시브Sunlight(햇빛)가 터지면서
큰 데미지가 들어가는걸 볼 수 있습니다.


오리아나Orianna(오리아나)의 평타와 레오나Leona(레오나)Solar Flare(흑점 폭발) 평타를 합치면
오리아나Orianna(오리아나) 스킬이 빠진 상태여도 이렇게 강한 데미지를 낼 수 있죠.


궁극기Solar Flare(흑점 폭발)가 빗나가며 스킬 연계가 좋진 않았지만,
자이라Zyra(자이라)의 식물이 패시브Sunlight(햇빛)를 터트려 줄 것을 생각하며
Solar Flare(흑점 폭발) 평타로 적을 잡아내는 모습입니다.
리산드라Lissandra(리산드라)에게는 자이라Zyra(자이라) 식물에서 묻은 리안드리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 도트딜때문에
패시브Sunlight(햇빛)가 터지면서 잡아내는 것도 볼 수 있죠.

위에서 보시다시피 레오나Leona(레오나) 궁극기Solar Flare(흑점 폭발)
우리 팀원의 도트딜과 매우 궁합이 좋습니다.

우리 팀원의 Ignite(점화)죽음불꽃 손길(Deathfire Touch)Liandry's Torment(리안드리의 고통)
말자하Malzahar(말자하)   Malefic Visions(재앙의 환상)
모데카이저Mordekaiser(모데카이저)   Children of the Grave(무덤의 자식들)
미스포춘Miss Fortune(미스 포츈)   Make It Rain(총알은 비를 타고)
트위치Twitch(트위치)   Deadly Venom(맹독)
코르키Corki(코르키)   Gatling Gun(개틀링 건)
기타 등등

팀원의 도트딜과 궁Solar Flare(흑점 폭발) 평타 시너지를 의식하며 플레이하면
안보이던 킬각이 보일 때가 있으니 알아두세요!



2. 레오나 궁Solar Flare(흑점 폭발)은 참 길다.

Solar Flare(흑점 폭발)은 길죠.
그런데, 다른 긴 사거리를 가지는 스킬들하고
레오나의 Solar Flare(흑점 폭발)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어요.

Solar Flare(흑점 폭발)는 투사체 형식이 아니라는거죠.

즉, 날아가는 딜레이가 없기때문에
최대사거리에서 쏘던 눈앞에서 쏘던
똑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이런 레오나Leona(레오나) 궁극기Solar Flare(흑점 폭발)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면
적이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지점에 포지셔닝을 하고 있어도
예측을 뒤엎고 잡아낼 수도 있습니다.


럭스Lux(럭스)님은 저 위치에서 자기가 죽을거라고 생각했을까요?
팀원이 용을 치고 있다고해도 이렇게 긴 궁극기의 사거리 장점을 이용하여
추가 이득을 더 만들어볼 수도 있죠.

안전지대는. 없습니다.
Solar Flare(흑점 폭발)Solar Flare(흑점 폭발)Solar Flare(흑점 폭발)



3. Zenith Blade(천공의 검)Solar Flare(흑점 폭발) E날아가는 도중에 궁

Zenith Blade(천공의 검)Solar Flare(흑점 폭발)콤보가 가능하고 상당히 자주 사용됩니다.
Zenith Blade(천공의 검)는 0.5초 속박으로 속박시간이 짧은 편이에요.
그런데 그 시간동안 날아가면서 Solar Flare(흑점 폭발)를 박아주면,
논타겟인 Solar Flare(흑점 폭발)스턴을 거의 확정적으로 박을 수 있기때문에
CC연계 측면에서 이득을 볼 수 있게 되죠.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경계
    공격 - [대미지]



  • 지크의 융합
    방어 - [체력]
  • 강철의 솔라리 펜던트
    방어 - [체력]
  • 기사의 맹세
    방어 - [체력]
  • 구원
    방어 - [체력]
첫 귀환 시 골드에 따른 아이템 선택
1. 900원 -> 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
2. 800원 -> Ruby Crystal(루비 수정)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Control Ward(제어 와드)
3. 600~700원 ->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Refillable Potion(충전형 물약)Control Ward(제어 와드)
...
핵심은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를 일단 사시고 남는 골드에 맞춰 
Ruby Crystal(루비 수정)같은 하위템이나 포션, 핑와를 사주시면 됩니다.
단, 상황에 따라 체력이 너무 급하면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보다 Ruby Crystal(루비 수정)을 우선시하셔도 됩니다.

Relic Shield(고대유물 방패)업그레이드

Targon's Brace(타곤산의 보호)는 서폿템 퀘스트가 생긴 이후로
가성비 좋은 아이템이 됐기 때문에
적당히 500원이 남았다거나하면 먼저 업그레이드해주세요.


아이템별 설명

저는 선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을 매우 선호하는 편입니다.
스노우볼 굴리기에 최적화된 챔피언인 레오나만큼 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이 어울리는 챔피언이 없죠.
만약 탑미드가 정말 흥했는데 바텀은 망했을 때는 Sightstone(시야석)을 먼저가도 되지만
저는 무조건 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을 먼저가서 게임을 터트리는 플레이를 좋아합니다.

Eye of the Equinox(태양의 눈)
저는 원래 태양의 눈을 선호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프로분들이 대부분 태양의 눈을 가는 것을 보고
한 번 해볼만한 가치가 있겠다고 생각이 들었죠.

제가 태양의 눈을 가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산악방벽Face of the Mountain(산악 방벽)의 쉴드 액티브를 고평가했기 때문인데요,
막상 태양의 눈을 가보니 몇가지 장점으로 산악방벽의 메리트를 이겨버리더군요.

1. 루비시야석Ruby Sightstone(루비 시야석) 트리를 타는 것에 비해 돈템 업글이 빠르다.
즉, 돈 수급이 빠르고 타곤산 퀘스트를 더욱 빨리 깰 수 있게되어
타곤산 퀘스트 보상 쉴드가 이른 타이밍에 완성되기때문에
산악방벽 액티브가 없어도 탱킹력이 크게 부족하지 않다.

2. 2코어 지크Zeke's Convergence(지크의 융합)를 가기가 편하다.
루비시야석 트리를 타게되면 아무래도
쿨감도 붙어있지 않고 액티브 쿨감 20%라는 메리트가 사라지기에
2코어로 지크를 가기가 망설여진다.
그런데 태양의 눈에는 10% 쿨감도 붙어있고
지크를 못갈 이유가 없기때문에 2코어로 지크를 가면
쿨감 20%가 빠른 타이밍에 확보되고
2코어 지크 타이밍에 큰 이득을 보게되는 경우가 많았다.

3. 쿨감 확보가 편하다.
2번과 연결되는 부분이지만
기존 루비시야석 트리를 타게되면
산악방벽Face of the Mountain(산악 방벽)-루비시야석Ruby Sightstone(루비 시야석)-솔라리Locket of the Iron Solari(강철의 솔라리 펜던트)로 이어지는 템트리는
분명 서로간에 시너지도 좋고 성능도 좋지만
쿨감 확보가 잘 안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태양의 눈의 10% 쿨감과 솔라리 이후 기사의 맹세Knight's Vow(기사의 맹세)를 올릴 때
점화석Kindlegem(점화석)을 먼저 올리면 30%가 맞춰지기때문에 쿨감측면에서 편하다.
지크가 궁쿨감이 짧을 수록 좋은 아이템이기때문에 시너지가 난다고 볼 수 있다.


Zeke's Convergence(지크의 융합)
현재 가격이 150골드나 싸졌으면서도
성능까지 더 올려줘버려서 정말 좋은 아이템이 됐습니다.
원딜의 데미지가 폭발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마딜이기에 더욱 유리합니다.
Ardent Censer(불타는 향로)메타 때의 향로급은 아니지만, 조금 불리한 상황에서도
지크가 나오면 교전이나 한타를 비벼볼 수 있겠다 라는 자신감이 생기고
실제로 지크의 힘으로 인해 게임을 역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동이 되면 적에게 3초간 40%의 무한 슬로우 지옥을 선사합니다.
또한 레오나에게 지크의 융합 버프의 의미는 
레오나에게 시너지가 나는 지크로 인해 중후반 캐리력도 보강되었다는 것입니다.


(지크 7.19 패치 사항입니다.)

지크의 융합 툴팁이 이해하기가 좀 힘든데요,
우선 원딜/나/같이 이렇게 3 케이스로 나눠서 생각하면 쪼금 나은 것 같아요.
궁극기를 사용하면 
1. 우선 '원딜'에게는 슬로우 없는 레드같은 평타 강화 버프가 붙고,
2. '나'는 서리 폭풍이라고하는 원이 주변에 생기면서 그 안에 있는 적을 둔화시킵니다.
3. 마지막으로 '같이' 아군 원딜이 때린 적이 내 서리 폭풍 안에 들어오면
서리 폭풍이 빨갛게 변하면서 적을 3초간 40% 둔화시키고 
초당 40의 마뎀을 줍니다.



(마지막 사진 설명은 지크 버프 전 설명입니다. 지금은 둔화만 묻히면 빨갛게 변해요!)



지크를 쓸 때 주의할 점

지크를 사고나면 더 이상 우리의 궁은 그냥 궁극기가 아니게 됩니다.
아군 원딜의 딜을 뻥튀기 시켜주면서 적에게 광역 슬로우와 마뎀을 묻히는 도구일뿐이죠.
지크가 한타 시작부터 발동되고 안되고가 한타 판도를 좌우할만큼 중요합니다.
최대한 한타 시작과 동시에 궁을 사용해주세요.


Knight's Vow(기사의 맹세)
 최근 연달아 너프를 먹긴했지만
여전히 쿨감도 붙어있고 후반에 가기엔 좋은 아이템입니다.


Redemption(구원)
태양의 눈 템트리를 타니 막템 자리가 상당히 애매했습니다.
구원을 선호하는 편은 아니지만 후반에는 갈만 한 것 같습니다.
상황에 따라 Warmog's Armor(워모그의 갑옷)Mikael's Crucible(미카엘의 도가니)Zz'Rot Portal(즈롯 차원문) 등으로 대체해도 좋습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알리스타
Q버프덕에 통계 상으로는 살짝 우위를 점하고있긴하나
알리스타 상대로는 먼저 적 원딜을 물어도 알리스타가 우리 원딜을 밀어내면서
킬각을 흐리거나 반대로 역킬각이 나오는 일이 잦기때문에 상대하기 힘듭니다.

알리스타 궁극기때문에 6렙 이후에는 정글러를 불러도 킬각 잡기가 쉽지 않고요.
그래도 6렙 이전에는 Q버프때문에 각을 잘 보면 이기는 각이 많이 잡히긴하니
잘 노려봅시다.
잔나
레오나의 E를 잔나가 Q나 R로 끊어버립니다.
더 문제는 보호막이나 궁 힐때문에 킬각이다 싶어서 들어갔다가도
역관광당하는 일이 많다는 점이죠.

하지만 이번에 보호막쿨이 크게 늘어나는 패치로 인해
싸움에서 잔나는 보호막 쿨을 2번 돌리기는 힘듭니다.
이점을 활용해서 초반에 적극적으로 킬각을 노려봐야합니다.

그래도 한타 때 적 원딜을 잔나가 대놓고 지키면 안티캐리를 당하기때문에
필밴을 하고 협곡에서 배제하는 편이 좋습니다.
타릭
타릭의 스킬 구성상 근접 서폿 상대로 좋은 편이고
시간이 갈 수록 타릭 궁극기 무적의 변수때문에
쉽게 이니시각을 볼 수가 없습니다.

저렙 단계에서는 타릭 몸이 그렇게 단단한건 아니기때문에
타릭이 조금 앞포지션을 잡고있다면 타릭에게 E를 꼽고 타릭을 포커싱해서 잡아주시면 됩니다.

픽률도 높지 않기때문에 밴할 정도는 아니지만, 귀찮은 서폿이긴합니다.
실제 통계상에서도 잔나와 더불어 상대전적이 50%가 크게 못 미치는 챔피언입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카르마
나미, 카르마, 소나, 룰루, 질리언, 라칸 등 유틸형 서포터 모두 포함됩니다. (소라카 제외)

카르마의 경우 정말 어떻게 싸워도 지기가 힘든 수준입니다.
워낙 칼질을 많이 당한 챔피언이라서죠.
제가 한 번은 마나 계산을 잘못하고 들어가서 Q마나가 없었는데,
그런데도 풀피 풀마나 카르마는 이기는걸 보고 조금 어이가 없는 정도였죠.
적이 카르마면 무조건 적극적으로 킬각을 보시면 좋습니다.

일단 적이 물몸 유틸폿이면 모두 카운터가 가능하며
질리언같이 Q 한방 한방이 중요한 챔피언은 Q 쐈을 때 물면 무조건 이깁니다.
벨코즈
자이라, 벨코즈, 바드, 럭스 ,애니 같은 챔피언이 포함됩니다.
예외적으로 딜 서폿이지만 브랜드는 스킬 구조상 레오나가 상대하기 까다롭기때문에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에는 넣지 않습니다.

이 챔피언들은 일단 어떻게든 점멸만 빼놓으면 점멸Q로 연계할 시 거의 킬각이 나오기때문에 상대하기 쉽습니다.

초반에 너무 앞포지션잡고 체력이 다 빠지고 시작하지만 않으면 됩니다.
애쉬
트위치, 코그모, 애쉬, 진, 바루스, 미스포춘, 징크스 같은 챔피언들이 포함됩니다.
또한 미드 뚜벅이 챔피언인 신드라, 오리아나같은 챔피언도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레오나의 E 스킬은 미니언을 관통한다는 엄청난 이점이 있기때문에
뚜벅이 원딜러를 상대로는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

궁극기의 사거리도 매우 길고 투사체가 아닌 판정이기때문에 궁극기를 배운 이후로는 이 챔피언들을 상대할 땐 일단 억지로라도 점멸만 빼놓으면,
한타 때 무조건 궁박고 포커싱하게되면 중후반에도 이기기가 매우 쉬운 편입니다.
이런 뚜벅이 챔피언들을 상대할 땐 플체크를 잘 하시고 노플일 때 한타를 여세요.
Thresh(쓰레쉬)는 자주 만나기는 적이기에 잠깐 언급하겠습니다.
원래 기존에는 Thresh(쓰레쉬)를 레오나 카운터픽으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현재 Thresh(쓰레쉬)VSLeona(레오나) 상대 승률은 레오나가 53.58%로 매우 우위에 있으며
실제 플레이할 때도 이젠 전혀 어려운 상대가 아닙니다.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 버프 이후로는, 쓰레쉬가 사슬채찍Flay(사슬 채찍)으로 레오나 EZenith Blade(천공의 검) 진입을
밀쳐낸다고해도, 스킬 쿨타임이 훨씬 레오나쪽이 빨리 돌아오기때문에
2:2 싸움을 질 수가 없는 수준입니다.

특히 쓰레쉬의 사형 선고Death Sentence(사형 선고)를 우리 원딜 대신 맞아주기만하면
쓰레쉬는 사실상 스킬이 없고 레오나는 계속 QShield of Daybreak(여명의 방패)쿨이 돌아서
교전 승리확률이 매우 높아진다는 점 알아두시고 활용하시기바랍니다.

적이 쓰레쉬 일 때 쫄지마시고 그냥 EZenith Blade(천공의 검)로 물다보면 이기는 경우가 대다수이니
'아 이거 어차피 들어가봤자 사슬채찍Flay(사슬 채찍)으로 밀쳐지는데'하고 킬각을 포기하지마세요.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20명

나도 한마디 (43)

  • bravekirix | [답글] 자세한 공략 감사합니다!
  • 마이샬레 | [답글] 플1 레오나 2500판 유저입니다. 대 쓰레쉬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네요. 저도 공략을 써보려고 몇번 생각했었는데 진짜 쓰레쉬에 관해선 할 말이 정말 많아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듯
  • 아이콘 AsuraSH | [답글] 유행하는 열광레오나 어떻게 생각하세요?
  • 아이콘 한우물갑 | 몇판 해봤는데, 상황에 따라서 들면 좋은 것 같아요. 적 바텀이 압박이 그렇게 세지 않아서 6렙전까지 레오나 피관리가 잘 될 수 있고 2:2가 만만한 조합일 땐 굉장히 이득을 많이 볼 수 있었어요. 반대로 적 견제력이 빡세고 2:2 견적도 내기 힘든 조합이라면 중반부터는 파괴전차의 쉴드가 그리워질 때가 많고요. 열광 특성 자체가 지속딜용이라서 레오나 체력이 높을 때 싸움을 시작해서 평타를 여러번 때릴 수 있어야하니 적 견제력이 빡세고 우리 원딜이 라인클리어가 안되면 그런 상황자체가 쉽게 나올 수 없으니까요. 범용적으로는 파괴전차가 나은 것 같은데 아이템으로치면 주문포식자같이 특정 상황에서는 특성으로 캐리가 되는 그런 느낌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프로들도 그렇게 쓰고있듯이 우리 원딜이 열광을 들었을 때 하면 좋다는 조건도 하나 더 있고요.
  • 아이콘 김진궁 | [답글] 잘 보았어요 특히 지크 설명이 좋네요 ㅎㅎ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 감사합니다. 저도 지크에 대해 긴가민가하긴했는데 공략에 쓰는 김에 정리해봤어요! 감사합니다.
  • 서폿장인 | [답글] 잘봣어요 ~
  • 아이콘 한우물갑 | 감사합니다! 더 발전하겠습니다
  • 북미미드 | [답글] 공략 너무 멋지네영.. 잘 맞는 원딜과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적어주시면 정말 많이 도움이 될거같네영
  • 아이콘 한우물갑 | 제가 아이번공략도 썼었는데, 쓰다보니 너무 본문내용이 길어지는게 좋지는 않은 것 같더라구요. 저도 쓰고 싶긴하지만 본문이 길어지는걸 최대한 지양하려고 합니다. 혹시 특히 궁금하신 챔피언 있으시면 제가 댓글로 답변드릴게요! 잘 맞는 원딜은 베인, 시비르 정도만 빼면 다 괜찮게 어울리는 것 같고 특히 스택형으로 킬각을 보기 쉬운 트위치나 칼리스타, 자야같은 챔피언이 좋긴해요. 댓글 감사합니다!
  • 균시티 | [답글] 소라카상대로 레오나 좋은거 아니였나염 통계상으로 소라카가 우위네요 들어갔을때 소라카가 침묵쓰니까 아무것도 못하던데 그래서인가 상대법좀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챔피언상대법 챔프 하나하나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아이콘 한우물갑 | 소라카는 저도 많이 상대해본 녀석인데, 다른 유틸서폿들보다는 확실히 난이도가 높아요. 그래서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에도 언급하지는 않았죠. 소라카라는 챔피언이 워낙 기본적으로 뒷포지션을 잡는 경우가 많은 챔피언이고 진입기인 e를 카운터치는 침묵때문이죠. 기본적으로 소라카를 상대할 때는 포커싱이 가장 중요해요. 소라카를 물던 적 원딜을 물던, 한쪽만 제대로 포커싱해서 때리면 잡을 딜이 나오기는 하는데 포커싱이 조금 흐트러지면 킬각이 흐려지고 역킬각이 나오는 경우도 많거든요. 다른 챔피언들을 상대할 때도 너무 당연한거지만 소라카는 이 포커싱 미스가 조금만 발생하면 적 원딜 피를 빼놨다고해도 금방 소라카가 힐로 채워주면서 우리는 집을 가야하는데 소라카쪽은 라인을 밀면서 라인손해, 포탑손해가 크게 나기때문에 더 중요해요. 원딜을 믿을 수 없는 티어라면 아예 시작부터 누구 물자고 말하고 하는게 나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상대법은 1렙 소라카는 매우 약하기때문에 1렙 삼거리 부쉬 대기로 이득보기가 편해요. 꼭 1렙 부쉬대기로 이득 보고 라인전 시작하시길 바라고요, 소라카나 적 원딜을 E로 물면 소라카가 그 아래에 침묵 장판을 깔텐데, 당황하지말고 최대한 그 장판을 빨리 벗어나고 Q를 켜고 기절을 먹여주면 조금 성가시긴하지만 스턴을 먹일 수는 있어요. 장판 아래에 있지말고 최대한 침묵 장판을 벗어나세요. 소라카상대로 킬각이 안보인다하면 급하게 생각하지마시고 첫 귀환 이후에 바로 기동신을 무조건 사오세요. 그리고 미드 상황을 보고 호응이 될 것 같다하면 미드로밍을 달리시면 소라카 입장에선 로밍 대처도 힘든 챔피언이라서 서폿 차이를 벌리실 수 있어요. 또 기동신을 산 후 미드로밍각이 안보이더라도 기동신 이후에는 이동속도 차이로 인해 E나 R을 적중시키기가 훨씬 쉬워지기때문에 뒤에 우리 정글을 부르고 적극적으로 갱호응을 해서 킬을 따주세요. 킬 견적을 낼 때 소라카 궁도 의식하고 플레이하셔야하고요. 주절주절 길었지만 제가봤을 때 핵심은 '선 기동신'이에요. 킬각도 안보이는데 소라카랑 계속 맞라인을 서고 있어봤자 시간이 흐를 수록 레오나쪽이 불리하게 되니, 꼭 선기동신을 신고 다른 라인에 개입하거나 갱콜을 하셔서 게임을 푸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아이콘 한우물갑 | 그리고 이건 좀 어려운 부분이긴한데, 만약에 적 소라카랑 원딜이 라인프리징을 해놓고 있으면 바텀에 있어봤자 CS도 못먹고 킬각도 절대 안나오기 때문에 우리 원딜한테 말을 해서 같이 탑을 가고 대놓고 적 탑타워랑 우리 바텀 타워를 교환하는 플레이도 좋아요. 강제로 라인전을 끝내버리면 소규모 교전에선 활용 여부에 따라 레오나가 충분히 소라카보다 중반에 활약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죠. 모든 챔피언 상대법은 쓰다보면 볼륨이 너무 커질 것 같아서, 이렇게 따로 댓글로 부탁하시면 댓글로 자세하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티롤리아 | [답글] 앗! 렙찌라 엑셀못박네여 ㅋㅋ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만으로도 감사합니다!! 더 노력해서 양질의 공략 만들게요
  • 티롤리아 | [답글] 인장에 체력 정수에 방어력을 특성에서 전쟁의환희를 쓰는건 어떤가요. 라인전을 훨씬 더 강하게 가져갈수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루비시야석 대신 그 타곤산상위템시야석 가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항상 그렇게가는데요. 엑셀 박고갑니다
  • 아이콘 한우물갑 | 인장에 체력은 나쁘지 않아요. 정수에 방어력보다는 이속룬을 추천드려요. 익숙해지면 이속룬이 좋다는걸 알게 되실거에요. 레오나는 W 스킬로 방마저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왕룬까지 방어력을 투자하는건 다소 과투자인 느낌도 있고요. 환희는 서포터가 들기에는 너무 리스크가 큰 특성이에요ㅠㅠ..파괴전차, 넓게봐서 굳은약속이나 천둥까지는 허용범위라고 쳐도 환희는 위험부담이 너무 커요.
  • 아이콘 한우물갑 | 템트리는 최근 저도 타곤산상위템 시야석으로 가보는 중인데 괜찮은 것 같고 아이템트리쪽에 보면 태양의눈으로 가는 최근 실험중인 템트리가 있는데 그렇게 가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 아이콘 밀레이안 | [답글] 잘쓰시네 공략 굿뜨
  • 아이콘 한우물갑 | 감사합니다!
  • 화결 | [답글] 와 열심히 하십니다 잘 보고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붉은망치뽀삐 | [답글] 공략 잘 쓰셨네요. 엑셀 드립니다 ㅎㅎ
  • 아이콘 한우물갑 | 감사합니다! 더 알찬 공략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잌쿠엨쿠 | [답글] 공략 되게 잘쓰셨네. 픽창에서 허겁지겁찾다가 간단공략 보고 게임 이기고 제대로 봤습니다 굿
  • 아이콘 한우물갑 | 간단 공략 쓴 보람이 있네요!! 더 발전하는 공략 만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ijino | [답글] 와우 정말 레오나에 대해서 쏙쏙히 알게되었네요. 레오나로 다이아 찍을 수 있을 것 같네요! 와우
  • 아이콘 한우물갑 | 와우 댓글감사합니다! 다이아 가시길 기원합니다.
  • 아이콘 MayM | [답글] ㅠㅠ 레오나로 꿀빨고 있었는데 공략을 이렇게 잘쓰시면 하향당해버렷...
  • 아이콘 한우물갑 | 감사합니다! 더 발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아이콘 호야상 | [답글] 3년만에 롤 다시 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최종템트리는 알겠는 데...아이템도 아군팀조합 적팀조합
    현재보유하고 있는 골드 및 상황등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가야 된다는 건 알겠는 데 조금 더 내용을 보강해주셨으면 좋겠어요ㅠㅠ다른 부분은 너무 설명 잘해주셔서 엑셀드리구가요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 감사합니다! 1. 일단 저는 80% 이상을 이렇게 가요. 기동신 -%gt; 시야석 -%gt; 루비시야석 -%gt; 타곤산 -%gt; 솔라리 -%gt; 지크 -%gt; 기사의 맹세 다른 챔피언이면 사실 조합에 따라 아이템트리를 변경해야할 필요가 있긴한데, 레오나는 워낙 이 템트리가 최적화되어있어서 큰 변화는 안주셔도 무방해요. 이 중에 고대유물방패 업그레이드 정도만 유동적으로 500원이 딱 남았다거나할 때 먼저 해주시면 좋아요. 2. 보유하고 있는 골드에 따라서는 아마 첫귀환쯤이 중요할텐데 첫귀환에 900원이 있으면 선 기동신을 신는게 베스트구요, 800원이 있어도 레오나는 선 시야석이 별로 좋지 않기때문에 똥신+루비수정+핑와 정도 사서 복귀해주시면 돼요. 500원 600원 이럴 때는 똥신에 충전형물약에 핑와를 사오시면 돼요. 3. 아이템트리에 쪼금 변화를 줘야할 때가 있다면 루비시야석-%gt;산악방벽 이후에 솔라리가 아니고 지크를 3코어로 먼저 올릴 때가 있어요. 팀에 광역보호막보다는 데미지가 더 중요하다거나 적 브루저들이 뚜벅이일 때 슬로우로 우리 원딜에게 접근하기 힘들도록 만들기위해 그렇게 가는 경우가 있고 지크 버프 이후로는 이렇게 가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아요. (다만 아직까진 솔라리를 먼저 가는게 범용성면에서 안정감이 있다보니 공략 본문에는 솔라리를 먼저 썼습니다.) 댓글 감사하고 성공적인 롤 복귀하시길 바랍니다!
  • 아이콘 한우물갑 | 아이템쪽 보강을 일단 해봤습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 퍞퍞 | [답글] 구원도 좋은템 인것같은데..
    구원은 안가시나요?
  • 아이콘 한우물갑 | 구원이 칼질을 많이 당한 편이고, 힐 증가 옵션이 있는 다른 아이템을 가야 효율이 오르게 바뀐 이후로는 다른 아이템을 가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보호막으로 산악방벽 솔라리만 있어도 크게 부족하다고 느껴지지 않아요. 구원이 들어간다면 지크를 빼고 들어가야할텐데, 현재로서는 그 자리에 지크를 채우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구원을 한타때마다 기가 막히게 잘 쓴다하시면 괜찮은 옵션으로 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버프된 지크를 썼을 때 높은 효율을 느끼실 것 같아요. 댓글 감사하고 즐추석 보내세요!
  • 늘해랑 | [답글] 팁 감사합니다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 감사합니다! 더 발전하는 공략 만들게요
  • Lilacbloom | [답글] 레오나 vs 탐켄치는 어떤가요?
  • 아이콘 한우물갑 | 분명 라인전에서 이득봐야하는 레오나인데 이상하게 탐켄치 상대로 통계상 상대승률은 되게 높더라고요. 아마 탐켄치들이 자기가 물려도 안죽을거같아서 앞포지션잡을 때 정글러가 갱와서 레오나가 호응해서 잡는 그런 그림이 많이 나와서 그런거 같아요. 저도 상대해보니까 라인전은 디게 까다로운데 결국 겜은 이기더라구여. 근데 또 맞딜하면 q버프때매 2:2도 아주 못할정도는 아니긴해요. 상대법은 그래도 안전하게 우리 정글 갱부르고 호응하는게 최고인 것 같습니다.
  • 복무는카투사 | [답글] 흠...팁이 있는건 다른공략에 비해 이공략뿐인데 ... 다른공략은 그냥 당연한얘기만 나열햇고... 배워갑니다 레오나로 꿀빠는중입니다. 엑셀드려요
  • 아이콘 한우물갑 | 댓글 감사합니다. 지금 레오나 진짜 좋은 시기이니 같이 꿀빨아요!
  • 귀여운멍멍이 | [답글] 정말 좋은 공략인것 같습니다.다 좋은데, 스킬부분의 설명에 비해서 아이템쪽의 설명이 조금 빈약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투표할수 있을때 다시 돌아와서 엑셀 드릴게요 :)
  • 아이콘 한우물갑 |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부족한 부분 말씀해주셔서 정말 감사하고 피드백 감사히 잘 받겠습니다. 아이템쪽 추가할 부분 생각나면 더 보강하도록 할게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