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잼보장 정글 탈론@

5 / 7 | Second5 | 댓글: 10개 | 조회: 20,542 |
원딜이 날뛰는 지금!

암살자가 정답입니다.

미드탈론 공략은 너무 많아서

이색 정글러로써의 탈론을 소개합니다.

정글링이 개쓰레기라는 인식이 있는데 

정글링속도는 w의 광역딜과 평타캔슬이 되고 쿨다운이 짧은 q때문에 

준수한 편입니다. 템이 뜨기 시작하면 오히려 다른 정글러들보다도 정글링이 빠르죠.

그리고 현재는 사냥꾼의 물약이라는 아이템의 등장으로 피관리도 수월합니다. 용사가 뜰때쯤이면

피소모가 거의 없어요.

양심적으로 탈론정글이 1티어급 OP정글러라고는 말하기는 힘들겠으나 충분히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재밌는 챔프라고는 당당히 말할 수 있습니다. ㅎ_ㅎ 






Runes
  • 상급 물리 관통력 표식
    방어구 관통력 +1.6
    X 4
  • 상급 공격력 표식
    공격력 +0.95
    X 5
  • 상급 방어력 인장
    방어 +1
    X 9
  • 상급 성장 마법 저항력 문양
    레벨당 마법 저항력 +0.167
    X 9
  • 상급 공격력 정수
    공격력 +2.25
    X 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방어구 관통력
    +6.4
  • 공격력
    +11.5
  • 방어
    +9
  • 마법 저항력
    +27.054

표식 Mark : 공격력과 방어구관통력을 섞어서 넣었습니다. 

방관은 정글링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편견입니다.

정글몹에게는 방어력이 있기때문에 적당히 방관을 섞어주면 오히려 정글링이 효율적입니다.

다만 평균적으로 방어력이 10 정도니까 10 이상 방관을 넣으면 오히려 비효율적이겠죠?

결국엔 취향차이입니다만.


인장 Seal : 방어력은 고정입니다. 가뜩이나 초반에 몸약한 탈론인데 정글링을 위해서 꼭 들어줍시다.


문양 Glyph : 저는 주로 마법저항력을 듭니다. 별다른 이유는 없고 단지 문양에 넣었을때 가장 효율이 좋은 
룬이기 때문입니다. 쿨감을 넣으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Youmuu's Ghostblade(요우무의 유령검), (추적자의 검: 용사),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를 통해 쿨감 40%을 

찍기때문에 쿨감을 안 넣었습니다.


정수 Quintessence : 공격력이 가장 옳은 선택이라 생각됩니다. 
마스터리 Mastery
흉포
0
5
1
0
5
0
0
1
0
0
0
0
0
5
책략
0
0
0
1
5
0
0
1
5
0
0
1
0
0
결의
0
0
0
0
0
0
0
0
0
0
0
0

(모벤 배려)


12 / 18 이 제일 무난하다고 여겨집니다.

 

흉포


마술 : 말할 필요 없겠죠?

 
 
 
양날의 검 : 맞기전에 상대를 조지는 탈론에게 좋은 특성입니다.
 
 
 
 
흡혈귀 VS 타고난 재능 : 취향차이가 되겠네요. 저는 조금이나마 후반지향적이라
생각되는 흡혈귀를 찍어줍니다만 별로라고 생각되는 분들은 타고난 재능를 찍어주시면 됩니다.
 
 
 
압제자 : 둔화에 걸린적에게 추가피해를 줍니다. 레드와 w를 통해 효과를 발동시키기 쉽고 
탈론의 패시브와 시너지를 이룹니다.

 
 
 
현상금 사냥꾼 : 전라인을 돌아다니며 한 명씩 다 딸 자신이 있다면 드셔도 됩니다.







책략 

포악함 : 정글몹상대로 공격력이 5 증가되는 효과를 줍니다. 물론 평타에만 적용되지만

초반 정글링이 힘겨운 탈론에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되니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방랑자 : 발동됬을때 정수의 이속룬 두개낀 것과 같은 값어치를 합니다. 빠른 기동성을 통해

이득을 챙기는 탈론이기에 유용한 특성입니다. 


룬 친화력비밀 창고암살자(Assassin) : 셋 다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룬친화력이나 비스킷은 안정적인 초반을 위한 선택이고

암살자가 조금 더 후반지향적인 선택으로 보이긴 합니다. 

어차피 후반가면 포션은 필요없고 블루레드는 원딜미드꺼..


무자비위험한 게임 : 솔직히 말하면 이 특성들 때문에 책략을 찍는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체력40% 이하인 적에게 5%추가피해, 적을 처치하거나 어시했을 때 잃은 체력 5%. 

꿀 특성입니다.


정밀함 : 방어구관통력 5 + 레벨당 방어구관통력 0.5

룬으로 인해 1렙에 10의 방관을 가지고 시작하게 되고 

18레벨 기준으로 14의 방관을 더 주는데 찍는게 좋습니다.


천둥군주의 호령 : 이번 시즌 희대의 사기특성

0.3의 나름 높은 계수를 가지고 있고 마법피해를 입힙니다. 
 
콤보를 넣으면 무조건 터지게 되어있어(w평, rr평 등에 터집니다) 
 
암살에 용이합니다.
 






결의는 찍지 않습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굳이 설명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탈론 정글의 장점은 순식간에 파고드는 갱킹인데 점멸이 그런 갱킹을 완성시켜줍니다.

궁 이속 증가 + 점멸을 통한 원거리은신갱킹, 점멸 e q w r 같은 순간 폭딜 등등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킬 콤보

 E 평Q W R

 E W 평Q R

 E R W 평Q


스킬 활용 팁

 1 렙엔 반드시 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를 찍어줍니다.

 

짧은 쿨타임과 평타캔슬이 되기에 초반정글링의 핵심입니다.

 

 2 렙엔 당연히 Rake(갈퀴손)를 찍어줍시다. 한 가지 팁이라면 Rake(갈퀴손)를 쓴 뒤

 평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를 사용하면 쓰레기같은 패시브인 Mercy(자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_^ 

 

 3 렙엔 다시 Rake(갈퀴손)를 찍어주며

 상대라이너의 체력이 1/3이하로 남아있어 갱각이 보인다면 Cutthroat(목 긋기)를 배웁시다. ^_^

 

 이후엔 미드탈론과 동일하게 스킬을 찍어주시면 됩니다 ^_^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콜필드의 전투 망치
    공격 - [대미지]
  • 장화
    기타 - [장화]

  • 굶주린 히드라
    공격 - [대미지]
  • 요우무의 유령검
    공격 - [대미지]
  • 삼위일체
    방어 - [체력]
  • 무한의 대검
    공격 - [치명타]
(사냥꾼의 마체테)(충전형 물약)를 들고 시작합니다. 두꺼비나 작골형제를 먹은 뒤 버프를 먹고 바로 집으로가면
(사냥꾼의 물약)를 살돈이 나옵니다. 이후 최소한 700원 이상은 모은 뒤 집에 갑시다.(괜히 모으려고 무리하다 죽지는 마시고)
 
이때 (추적자의 검)를 구입해줍니다. 초반갱킹력이 개똥같은 탈론에게 한줄기 햇살이 되어주고 
소소한 옵션들이 정글링에 도움이 됩니다.
 
이후 Long Sword(롱소드)Long Sword(롱소드)를 구입한 뒤 (콜필드의 전투 망치)를 살때즈음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을 하나가주고
 
(추적자의 검: 용사)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가 같이 떠주면 베스트입니다. 
 
이제 Youmuu's Ghostblade(요우무의 유령검)(굶주린 히드라)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 가줍시다.
 
순서만 바뀔뿐 중반3코어는 무조건 (추적자의 검: 용사)Youmuu's Ghostblade(요우무의 유령검)(굶주린 히드라)가 되어야하니까 취향따라 가시면 됩니다.
 
둘다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엔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Trinity Force(삼위일체)를 가주면 되는데 상대가 방템이 많고 아군에 AD가 많거나 원딜이 잘컸으면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를 탈론이 캐리할 수 있는 그림이 나온다면 Trinity Force(삼위일체)를 가줍니다.
 
 
* 탈론을 많이 해보신 유저라면 모두 알겠지만 초중반의 탈론의 핵심이Rake(갈퀴손)Shadow Assault(그림자 기습)이라면
 
후반에는 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의 비중이 상당히 커집니다. 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한방을 상대딜러에게 꽂느냐 못꽂느냐에 따라
 
한타의 승패가 좌우되기도 하죠.
 
Trinity Force(삼위일체)는 탈론의 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데미지를 두배가량 증가시켜줍니다. 크리율도 20%로 상향되었고
 
쿨감까지 달려있으니 완소템입니다.
 
이후 Infinity Edge(무한의 대검)를 가준다면 상대딜러를 Cutthroat(목 긋기)Noxian Diplomacy(녹서스식 외교)에 죽일 수 있는 괴물탈론이 완성되지만
 
상황에 따라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헤르메스의 시미터)Dead Man's Plate(망자의 갑옷)Guardian Angel(수호 천사) 등의 아이템이 더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PS.
결국 모든 템이 취향이지만 (추적자의 검: 용사)Youmuu's Ghostblade(요우무의 유령검)(굶주린 히드라)Trinity Force(삼위일체)는 꼭 가주셨으면 합니다 ^_^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리 신
초반 카정이 매섭고 q와 e를 통한 은신감지가 짜증남.
그렇지만 무난하게 흘러가면 탈론이 더 좋아요.
케일
R
킨드레드
안만나봤지만 케일처럼 궁땜에 짜증날듯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니달리
카정오면 답도 없지만 그 타임만 버티면 보일 때마다 찢어요.
자르반 4세
e q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고 보통 용사를 먼저 올리기 때문에 녹기도 잘 녹음
카직스
탈론과 같이 AD암살자 정글러입니다. 선공권을 가진 탈론이 우세합니다.
딱히 카운터의 개념이 없습니다. 6렙이후엔 정글에서 만나면 거의다 이깁니다. 진다고 하더라도 궁을 통해 

도망치기는 쉽습니다.

탈론 정글의 카운터는 '초반' 입니다. 이 시기만 잘 견뎌내고 궁극기만 배워도 숨통이 탁 트입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1렙에 (사냥꾼의 마체테)(충전형 물약)를 가지고 옵니다. 작골이나 두꺼비 빡세게 리쉬받고 버프먹고 바로 집가서

 딱 (사냥꾼의 물약)이거 사오면 됩니다. 그때부터 팍팍 빨아가며 정글링하면 됩니다. 


 강타는 빨강하고 파랑중에 골라서 가면 되는데 저는 갱킹에 힘쓸라고 파란거 갑니다.  

 

초반 운영법

 7분대에 6렙이 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경험치갱도 가고 


 물약팍팍 빨아가며 정글링을 합시다. ㄱㄱ.

 

중반 운영법

 6렙부터 갱킹이 매서워집니다. 적 라이너가 반피이하인 곳을 찾아봅시다.


 가서 조지면 됩니다. 바텀같은 경우도 궁 > 플 > e 이런 식으로 순식간에 붙어서 조질 수가 있으니


 갱각을 잘 봅시다.

 

후반 운영법

 빈라인가서 히드라로 팍팍 밀어주고 만만한 놈이 오면 죽이고 더 밀고 여럿이 오면 


 요우무랑 스펠, 스킬들 잘 활용해서 도망갑시다. 그동안 아군은 타워를 밀거나 오브젝트를 챙기면 되죠.


 여기서부터는 미드탈론과 동일합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w살살 긁으면서 간보다가 이니시열리면 파고들어서 원딜이나 미드같이 몸약한 친구들을 죽입시다. 


 각나올때 아니면 들어가지마시고 후진입을 합시다. 미드탈론과 동일합니다. 만약 팀에 이니시에이터가 없다면

 

 정글탈론은 다음판으로 미룹시다.


 

챔피언별 대응법

 모든 정글러에 대한 대응법이 같습니다.


 초반에 장신구를 이용해 최대한 카정을 대비합시다.

마치며

 탈론은 기습적인 갱, 후반 왕귀력, 스플릿 능력 등등 여러가지 메리트 있는 정글러입니다.


 꿀은 아는 사람만 빤다고 밴픽창에서 아무도 탈론 정글일 것을 예측하지 못할 것입니다.


 탈론은 픽자체로 심리전까지 걸 수 있는 유능한 정글러죠.


 이외 질문은 덧글로 받겠습니다.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7명

나도 한마디 (10)

  • 브론즈는탈론 | [답글] 정글탈론 많이 해봤는데 포식자도 괜찮더라고요 ㅎ(쌓기가 힘들지만)
  • 조용한암살자 | [답글] 정글 탈론이 초반에는 무척 힘들지만 충천물약 사서 정글링하면 딜이 상당히 강력한데... 왜 머라고 하시는지....ㅋㅋㅋ 그리고 무대 한개만 가실꺼면 갈 이유가 없습니다. 한번 수정하는것이 어떤지요?
  • Second5 | 넴 아이템 부분 한번 지웠다 씁니당 ^_^
  • 아이콘 작은원두 | [답글] 인피랑 트포를 비교하자면 인피는 총공격력에 치명타터지면 250퍼지만 트포는 기본공격력에 200퍼임
    인피는 20퍼센트확률이지만 트포는 확정적임
    인피는 ad가 높지만 트포는 낮음 - 탈론의 주 광역딜인 wr딜이 높아짐
    탈론의 패시브는 쓰래기중 탑쓰래기지만 인피의 치명타와 조합되면 남부럽지않는 딜증가를 느낄수 있음
    트포는 이속증가와 쿨감 주문검딜이 좋지만 이속증가와 쿨감은사실 블클로 얻음
  • Second5 | 옙 저도 블클이나 트포 둘 중 하나만 가고 보통은 인피를 가는데 본 공략에선 cc가 강할때는 헤르메스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는걸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_^
  • 정글트위치 | [답글] 근데 무대랑 트포 비교할때
    무대는 항상발동이고 트포는 쿨도있고 스킬을써야발동되니
    그렇게 큰차이는 없어보여요
  • Second5 | 사실 두개다 가는 걸 제일 선호하는데 트포의 장점을 설명하다보니 비교를 해버렸네염^_^;
  • 정글트위치 | [답글] 잘봤어요
  • 아이콘 짜장 | [답글] 탈론정글 정글링이 씹쓰레기임
  • 떠도는고자 | [답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