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MID]攀登(반등)

| 피의전령관 | 조회: 5,439 |



험한 산이나 높은 곳의 정상에 오르기 위하여 오름
물가나 주식 따위의 시가가 떨어지다가 오름

글을 읽기 전에 주의할 사항
이 글의 목적은 전문적으로 Yorick(요릭)을 다루고자 함이 아닌 요약본 느낌으로 접근하고자 노력한 글입니다.

Yorick(요릭)을 처음 다루시거나 Yorick(요릭)으로 11월 안에 반등하겠다!라는 분은 편안한 마음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애초에 이 글은 AD가 아닌 탱커 요릭에 관련된 아주 짧은 글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는 점
이 공략은 애초에 미드와 탑 둘 다 사용 가능한 공략을 만드는 것이 주 목표입니다.
요릭의 장점은?
1. 너프 이후에도 꾸준한 라인 유지력
2. 1ㄷ1 상황에서 매우 강력함
3. 지속적인 라인 푸쉬력 기반의 무언(無言)의 압박
4. 엄청난 효율을 자랑하는 궁극기
요릭의 단점은?
1. 궁극기와 소환수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
2. 대규모 한타와 한타 대치 상황에서 매우 무력함
Runes

룬 설명 : 철거냐 뼈방패냐?


Demolish(철거)
탱커로써 요릭이 완전 거듭나고 거기다가 게임이 후반으로 이어진다면 팀과 함께 빠르게 타워를 푸쉬하여 압박을 주기 매우 좋은 특성입니다. 게임이 후반으로 가는 양상을 요릭 플레이시 많이 보인다면 철거 룬을 추천합니다.

Bone Plating(뼈 방패)
라인전이 약하지도 그렇다고 강하지도 않은 챔프인 요릭이 중반 게임을 통해 강해질 수 있다는 전제로 가는 일반적인 세팅입니다. 요릭 플레이시 그렇게 많은 게임이 후반으로 가지않는 양상이라면 뼈방패 룬을 추천합니다.


룬 설명: 사전준비냐 재생의 바람이냐?
Conditioning(사전 준비)
현 메타에서 어울리지 않는 룬입니다. 혹시 나는 라인전에서 절대 죽지 않을 꺼야! 라는 생각으로 사전준비를 가려한다면 그 손 때세요. 뿐질러버리기 전에

Second Wind(재생의 바람)
싸움에서 요릭이 더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 에너자이저 건전지가 되어버립니다. 매우 추천!


룬 설명: 과잉성장이냐 소생이냐 불굴의 의지냐?

Overgrowth(과잉성장)
탱커 요릭과 매우 잘 어울리는 룬이라고 생각합니다. 탱커 요릭은 성장형 탱커로써 그 안에 숨겨진 무시무시한 진가를 가장 잘 보여주는 룬이라고 생각했기에 추천합니다.

Revitalize(소생)
Last Rites / Awakening(최후의 의식 / 각성)Grasp of the Undying(착취의 손아귀)과 매우 잘 맞는 룬, 탱커 요릭이 선호할만한 룬입니다. 다만 성장이라는 탱커 요릭의 목적에 있어서는 Overgrowth(과잉성장)쪽이 이 역할을 더 잘해낸다고 생각했기에 그렇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Unflinching(불굴의 의지)
상대가 cc기가 많다면 충분히 고려할 수는 있으나 Overgrowth(과잉성장)Revitalize(소생)보다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느낌이 심하므로 탈락


착취의 손아귀 외에 또다른 메인 룬 빌드는 없는가?
#1. 정복자 빌드

두 말하면 잔소리인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 혹시 설명이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요릭의 궁극기 및 구울도 정복자의 효과를 받는다."


보조빌드에 관하여
#1. 영감

Mourning Mist(애도의 안개) 적중 후 빠른 접근으로 이득을 보기 위해 필자가 자주가는 룬


#2. 마법



취향 차이지만 이 보조 룬이 훨씬 딜이 잘나오고 승률도 미약하지만 좀 더 잘나오는 편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서머너 스펠: 점화냐 텔레포트냐?



기본적으로 Teleport(순간이동)Flash(점멸)이 탑 탱커 요릭에게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탑 라인을 스플릿푸쉬하다가 한타 유도가 된다면 곧바로 Teleport(순간이동)를 통해 합류할 수 있으므로
탱커를 가는 요릭에게 Ignite(점화)보다 Teleport(순간이동)이 유용하다고 생각하고요.



Flash(점멸)은 설명불가 대체불가인 듯합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Dark Procession(망자의 진)을 손쉽게 뛰어넘는 챔프 (예: Riven(리븐) Renekton(레넥톤)Aatrox(아트록스) Irelia(이렐리아) 등등의 챔프) 상대로는 Dark Procession(망자의 진) 3렙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니 차라리 Mourning Mist(애도의 안개)를 Last Rites / Awakening(최후의 의식 / 각성)선마 이후에 찍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킬: 최후의 안식(Q)
Last Rites / Awakening(최후의 의식 / 각성)
최후의 안식(Q)

근접 범위에서 싸움이 발생하면 주된 피해를 주는 스킬로 해당 스킬을 통해 구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설명할 스킬은 아닌 것 같으니 이하 생략

스킬: 망자의 진(W)
Dark Procession(망자의 진)
망자의 진(W)

그냥 개사기 스킬이지만 이 스킬을 요릭이 가지고 있어서 빛나지 않죠...ㅠ
팀원은 통과하지만 적팀은 통과할 수 없다는 특징 때문에 빙닭마냥 로 팀원을 죽이는 그런 어색한 상황이 발생하지도 않으며
한타시에 W에 상대팀의 캐릭터를 가두게 된다면 가두어진 캐릭터는 자연스레 고립상태에 빠짐으로 한타를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습니다.
다만 상대방이 도주기가 있다면 쉽게 벗어날 수 있으므로 도주기가 없는 원딜(예: Vayne(베인) Kai’Sa(카이사) Miss Fortune(미스 포츈) Jhin(진)) 이나 미드라이너(예: 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 Malzahar(말자하) Cassiopeia(카시오페아) Karthus(카서스))를 고립시키는 데에 사용하도록 합시다.

추가적인 설명으로 Miss Fortune(미스 포츈) Jhin(진)이 궁극기를 쓰고 있다면 망자의 진의 벽이 올라오는 부분을 일부로 맞추어 끊어주도록 합시다.

(이떄 좀 더 벽 안으로 맞춘다면 훨씬 더 좋습니다,)


스킬: 애도의 안개(E)
Mourning Mist(애도의 안개)
애도의 안개(E)

해당 내용은 스킬 설명 중 가장 처음에 했던 말을 반복하는 것 뿐이므로 생략하겠습니다.

스킬: 군도의 장송곡(R)
Eulogy of the Isles(군도의 장송곡)
군도의 장송곡(R)

요릭이 탱커로 가는 주된 이유이자 요릭이 탱커로 가더라도 무시할 수 없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내용부터 말하자면 궁 없이 절대로 한타를 하지 말아주세요. 만약 한타가 궁이 없는 타이밍에 열린다면 죽어라 빽핑을 찍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요릭은 궁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할뿐더러 한타에서 패배할 확률이 크므로 차라리 팀원들에게 빽핑을 알림으로써 큰 손해를 막아야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요릭이 탱커로 가는 주요인이 되는것은 바로 궁에 달려있는 최대체력에 비례한 % 마법피해입니다. 
위의 장점과 관련하여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Conqueror(정복자)를 간 AD요릭과는 달리 딜을 넣다가 죽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존할 확률도 큽니다. 이를 통해 한타에 승리한다면 더 큰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갈만한 아이템
첫 귀환 시
  • 광휘의 검
    기타 - [적중시 효과]

시작 아이템: 도란의 방패냐 부패물약이냐?
Second Wind(재생의 바람)을 사용함에 따라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보다는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가 라인전을 버티는 데 있어서 더 큰 역할을 해주다보니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반에 피해를 덜 볼 자신이 있다면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도 고려해볼만하나 저는 아예 NEVER 가지 않는 템입니다.


아이템: 얼어붙은 건틀렛이냐 삼위일체냐?
보통의 요릭이라면Trinity Force(삼위일체)를 가는것을 선호하고 익숙해져 있겠지만 전 Trinity Force(삼위일체)요릭 공략을 쓰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Iceborn Gauntlet(얼어붙은 건틀릿)을 가는 것이 적절하다 아니, 무조건적으로 가라고 강요한다.
아이템: 정령의 형상
힐량의 증가 어마무시한 탱커의 탄생
아이템: 워모그의 갑옷
그냥 경험상 소규모 한타 이후 집을 가지 않고 Warmog's Armor(워모그의 갑옷)를 통해 체력을 회복하여 그대로 팀에 합류 혹은 라인으로 돌아가는 것이 더 큰 이득이라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또한 강제로 한타를 열기 위해 포탑 다이빙을 시도한 이후 잠시 포탑에서 빠져나와 체력을 쌓고 들어가는 플레이로 상대에게 말 그대로 헬파티를 열어 줄 수 있는 플레이를 할 수 있기에 선호하는 아이템입니다.


아이템: 칠흑의 양날 도끼
보조 룬을 마법으로 들었을 시에만 해당

좀 더 딜을 올려 상대를 괴롭히고 싶다면 극렬히 추천하는 아이템

아이템: 적응형 투구
Cassiopeia(카시오페아) LeBlanc(르블랑) Brand(브랜드) Kassadin(카사딘) Akali(아칼리)
왤케 아프냐 싶으면 사면 됩니다.


아이템: 란두인의 예언
Yasuo(야스오) Tristana(트리스타나) Caitlyn(케이틀린)
박멸 ㄱㅈㅇ~!


아이템: 강철의 솔라리 펜던트
요릭 특성상 약한 한타에서 원딜을 LeBlanc(르블랑) Talon(탈론) Kassadin(카사딘)과 같은 암살자로부터 세이빙 하기 위해 가는 아이템입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베이가
[MID/TOP]
요릭의 W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쉬운 상대인 듯하나 이후 E를 맞추더라도 베이가의 E에 구울의 돌진이 막히고 이 때문에 구울이 어리둥절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냥 쉽게 쉽게 이야기하자면 요릭을 쓰는 이유를 모두 무산시켜버리는 유일한 챔프입니다.
이렐리아
[MID/TOP]
재빠른 몸짓으로 요릭의 E를 무산시켜버리며 W로 가두어도 Q를 사용해 쉽게 빠져나가기에 요릭이 이 챔피언을 싫어합니다.
리산드라
[MID/TOP]
데미지가 강해서 요릭이 진다라는 느낌은 전혀 받지 않지만 리산드라의 모든 스킬은 CS를 관통하여 데미지가 들어오며 E를 통해 싸움에서 쉽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요릭을 하는 입장에서 라인전에서 빡치고 한타에서는 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아트록스
[MID/TOP]
아트록스는 강력하긴 하지만 이런식으로 근접하여 싸우는 형식의 챔피언 상대로 요릭은 질 수 없습니다.

구울이 없을 떄 싸움이 일어나는 것만 조심해주세요
카사딘
[MID/TOP]
6렙 이전에 W로 가두면 킬각이고 6렙 이후에 카사딘이 로밍을 가기 시작하면 포탑은 철거되므로 카사딘은 로밍을 맘놓고 갈 수 없습니다.

(물론, 대놓고 로밍 다니지는 않겠지만요)
아리
[MID]
요릭의 패시브 덕에 매혹이 간파됩니다.
6렙 이전, W에 갖히면 끔살이요 6렙 이후엔 로밍 다니면 포탑 붕괴요.

껄껄껄껄껄껄껄

MID: 이외의 챔피언 상성 [HARD]
LeBlanc(르블랑)Karthus(카서스)Katarina(카타리나)Akali(아칼리)Brand(브랜드)

미드로 만났을때 5대 죄악이다 조심하는 것이 좋다.

MID: 이외의 챔피언 상성 [EASY]
Zoe(조이)Yasuo(야스오)Anivia(애니비아)

하늘에서 내려오신 천사임이 틀림없다.


TOP: 이외의 챔피언 상성 [HARD]
Renekton(레넥톤)Jax(잭스)Tryndamere(트린다미어)Urgot(우르곳)Mordekaiser(모데카이저)Pantheon(판테온)Riven(리븐)

미드 5대 죄악보다 더하다.


TOP: 이외의 챔피언 상성 [EASY]
Gangplank(갱플랭크)Darius(다리우스)Ornn(오른)Vladimir(블라디미르)

쓰담쓰담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0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