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즈 붐은 온다

| 현무받아라 | 댓글: 2개 | 조회: 33,994 |
흔히 말하는 미드 4대장이 있는데 굳이 피즈를 쓰나?

네.

재밌잖아요

그럼 피즈 붐도 올까요?

네, 네. 당연히 옵니다. 그런데 그때가 되면 나는 없을거 같아요.

피즈를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유저도 있구나라고 생각하고 이 글은 참고용으로 써주세요!
Runes

감전 트리


이전 시즌에도 써왔고 프리시즌에도 쓰고 있습니다.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 평 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Electrocute(감전) 

잘 아시는 그 콤보.  저는 아직도 이렇게 사용중입니다.

Dark Harvest(어둠의 수확) 핫한 어둠의 수확은 안쓰느냐?

저는 수확을 드니 초반 3렙의 강함이 약한듯해서 감전을 들지만, 룬은 취향이니 자신에게 맞는걸 드세요.

게다가 이번 패치로 어둠의 수확이 너프까지 됐으니, 감전이 조금 더 메리트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혹시나 피즈를 처음 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룬 설명을 해드릴께요.

피즈의 핵심인

Electrocute(감전)혹은 Dark Harvest(어둠의 수확) 

Sudden Impact(돌발 일격) 돌발일격. 

이 두가지는 고정으로 가지고 갑니다.

왜 인지는 설명을 읽어보시면 아실껍니다. 

그리고 3번째와 4번째는 그냥 취향입니다.

3번째는 진짜 취향이고 

4번째는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상황에 따라 맞추면 됩니다. 

Ravenous Hunter(굶주린 사냥꾼) - 피흡이 달린만큼 유지력이 다른 룬 보다 좋습니다. 
본인이 스플릿, 혹은 라인에 오래 있는다는 분들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드시면 됩니다. 

Ingenious Hunter(영리한 사냥꾼) - 아이템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이건 내가 먼저 한타를 열어 들어가는걸 좋아하시는 분들이 들면 좋을것 같습니다. 
피즈의 핵심 아이템인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의 쿨타임 줄여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으므로 잦은 한타때 생존력을 높여줍니다.

Relentless Hunter(끈질긴 사냥꾼) -  전투에 벗어나 있을시 이속 증가입니다.
딱 각이 나오죠? 상대가 로밍 캐릭터 혹은 자신은 로밍을 자주 가는 스타일이다.
그럼 이 룬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UltimateHunter(궁극의 사냥꾼) - 궁극기 쿨타임 감소 룬입니다.
제드 같은 친구들 상대할때 사용합니다.
피즈의 궁은 맞추더라도 Death Mark(죽음의 표식) 이걸로 무시가 됩니다.
하지만 제드의 궁도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이걸로 씹을 수 있죠. 그럼 뭐다?
궁이 먼저 들어온 쪽이 이긴다.

이러한 이유가 아니더라도, 암살자에 걸맞게 안정적인 짤라먹기를 하려면 궁이 필수니 보통때엔 이걸 듭니다.

사실 나름대로 공략글이라 길게 써봤지만, 룬은 취향입니다.

보조룬은 

Triumph(승전보)Coup de Grace(최후의 일격) 정밀.

Celerity(기민함)Scorch(주문 작열) 마법.

Minion Dematerializer(미니언 해체분석기)Time Warp Tonic(시간 왜곡 물약) 혹은 Biscuit Delivery(비스킷 배달)Time Warp Tonic(시간 왜곡 물약) 영감.


결의는 잘 안듭니다. 
옛날엔 뼈방패와 번데기를 들었는데. 지금은 번데기 대체할만한것이 없네요.

특성은 공격 두개에 체력을 찍습니다.

방어는 상대에 따라 방어력이나 마저를 찍기도 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룬은 취향입니다.

다만, 감전과 돌발일격만큼은 고정입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고정.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간혹 w 선마도 계시던데 저는 e 선마를 추구합니다.


w 선마를 할시 라인 클리어가 극악의 난이도가 되어버립니다. 그럼 정글 싸움 개입도 힘들고 로밍도 힘들죠.


그래서 저는 e선마를 추구하고, 가끔 근접 캐릭터를 만날시 4,5렙에 w를 찍기도 합니다.


하지만 앵간하면 e를 무조건 마스터후 w를 찍습니다.


아.


내셔피즈라면 w 선마가 좋습니다.  

스킬 콤보

흔한 3렙 콤보


q 각이 나오면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 평 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Electrocute(감전) 후에 걸어나오거나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재간둥이로 빠져나오면 됩니다.


위험한 상황도 아니고 상대 미니언도 별로 없다면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상대 스킬을 씹으면서 딜을 넣고 나오시면 됩니다.



상대가 먼저 스킬을 사용했을시.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스킬을 피하고 평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 Electrocute(감전) 후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로 빠져나오기


6렙이후엔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 맞추고 들어가면 됩니다.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쓰며 가는 도중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이거도 됨. 

스킬 활용 팁

 피즈의 핵심은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이겁니다. 재간둥이.


재간둥이를 얼마나 잘쓰냐에 따라 게임이 달라집니다.


상대 스킬 하나를 없는 수준으로 만들고 도망도 기똥차게 잘치고. 어그로 핑퐁도 미치고. 피즈의 꽃이라 할수 있습니다.


피즈하는 이유라 할 수 있죠.


다만, 남용하면 극심한 마나 고갈에 시달릴겁니다. 주의하세요.


가끔 초보분들이 e 선마라고 e로 먼저 들어가 딜을 넣으시는데 그러지 마세요ㅠㅠ


핵심 스킬 재간둥이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이건 딜만 넣는 스킬이 아닙니다. 상대 스킬을 하나 무마시키며 자신은 딜을 넣는 희대의 사기 스킬이예요.

 회피와 공격을 동시에 하라 만든건데, 회피를 버리고 공격만 하면 qUrchin Strike(성게 찌르기) 이게 두개 있는거랑 다를게 뭡니까.


그러니 이걸 딜 넣는다고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진입은 자제해주세요. 


선 재간둥이를 써야할 땐 상대 챔피언을 추노중일때. 상대가 딸피인데 q 거리가 안될때, 상대 스킬이 아군 챔피언에 모두 빠졌을때. 이러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아끼세요. 


어차피 상대도 생각이 있으면 중요한 스킬은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때문에 씹힐까봐 조심스레 사용합니다.


다시 강조합니다!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이건 롤 희대의 회피기입니다. 이거 없으면 그림자 없는 제드나 다름 없어요.


아!


재간둥이는 얇은 벽 넘기도 됩니다. 


도망칠때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로 넘으면 상대가 점멸로 따라옵니다. 그럼 Trickster / Playful(재간둥이 / 장난치기)로 되돌아가면 상대를 싱글벙글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충전형 물약
    방어 - [체력 재생]
  • 암흑의 인장
    방어 - [체력]
  • 마법공학 교류 발전기
    마법 - [주문력]
  • 마법공학 로켓 벨트
    방어 - [체력]
  • 리치베인
    마법 - [주문력]
  • 존야의 모래시계
    방어 - [방어력]
  • 광휘의 검
    기타 - [적중시 효과]
시작템은 보통 두 가지로 합니다.

Refillable Potion(충전형 물약)The Dark Seal(암흑의 인장) 물약 + 인장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 부패.

상대의 초반 견제가 심하다 싶으면 부패. 그게 아니라 고만고만하다. 그럼 부패

그 후로는 조금 많이 바뀝니다.

선 리치베인트리와 선존야. 그리고 선 벨트 트리.

위의 빌드는 선 벨트 트리인데, 저게 좋은점은 빠른 시기에 나오는 Hextech Revolver(마법공학 리볼버) 총. 이걸로 초반 딜을 극대화 시킬수 있습니다. 

피즈가 강한 타이밍은 3레벨. 그리고 마법공학 리볼버가 나왔을 때 입니다.

이때 스노우볼을 굴리다 후에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 가 완성되면, 쿨감과 화염탄환을 이용한 기동성. 그리고 쿨감, 체력을 모두 가지며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다만 다른 빌드에 비해서 존야 타이밍이 늦어집니다. 그래서 한타때 포커싱이 맞춰지면 재간둥이로 피하는데에 한계가 오기에 한타시 먼저 진입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물론 3레벨과 리볼버 타이밍에 상대와 격차를 벌려두면 크게 문제될 상황은 없을겁니다.

선 리치베인은 

Sheen(광휘의 검)-Lich Bane(리치베인)-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

보통 이런 식으로 갑니다. 

너무 잘큰 경우 존야와 모자 순서를 바꿀수도 있지만, 안정성을 위해 2코어로 존야를 갑니다.

이럴 경우 초반 임팩트의 경우 리볼버때와는 다르지만, 리치베인 나온 순간부터 벨트와는 다른 딜을 경험하실겁니다.

그래서 저는 초반 상대 플레이를 보고 '이건 이겼다.' 란 느낌이 들면 선 리치베인으로 솔킬을 노립니다.

선 존야 트리는 볼것없이 상대가 AD딜러일때 갑니다.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Lich Bane(리치베인)-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

선 존야인 만큼 생존력이 어마어마 해집니다.

존야 + 재간둥이 조합은 당해본 사람만 알죠.

존야로 약해진 딜은 빠른 광휘의 검과 리치베인으로 커버를 쳐줍니다.


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선 벨트 빌드가 아니면 벨트는 올리지 않습니다.

실험이나 자료 수집을 하지 않고 그저 제 개인적인 생각이자 느낌으로.

2코어 혹인 3코어로 벨트를 가려고 할시 갑자기 데미지 정체기가 옵니다.

피즈를 강하게 해주는 리볼버도 1코어가 나온 시점에서 크게 체감이 안되고요. 

그래서 저는 선 벨트 빌드가 아니라면 벨트는 손절합니다.



그 후의 아이템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가면 됩니다.

보통은 저 3코어면 게임이 끝나기에 이 정도만 하겠습니다.


신발도 상황에 따라 바꿔 신습니다.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 상대 ap딜러가 3명 이상이다. 혹은 cc가 너무 많다. 이럴때.

Ninja Tabi(닌자의 신발) 올 ad 혹은 평타기반 ad 딜러가 너무 잘큰 경우. 또는 ad 딜러 상대로 내가 말려 cs도 절하면서 먹을때. 그외에로는 이건 잘 안갑니다. 필수 아이템인 존야가 있기 때문에.

Ionian Boots of Lucidity(명석함의 아이오니아 장화) 보통때 제가 자주 가는 아이템입니다. 쿨감으로 빠르게 재간둥이 쿨을 돌려 상대가 '*발둥이'라며 부들대는걸 지켜보는 재미가 있어 자주 애용합니다.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역시 남자는 딜이지. 할때 가시면 됩니다. 아니면 상대 탱커가 마저 둘둘할때.

 
덤으로 저는 내셔 피즈 안합니다. 제 스타일 아니예요.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판테온
그냥 벤.

이 형님 나오면 cs는 타워랑 나눠먹으면서 경험치만 먹게되요

그래도 6찍으면 숨통은 트입니다. 궁 로밍간다고 빠지면 다른 라인에서 크거나 cs 먹으면서 크면 되거든요.

후반에는 유명한 빵통기한.
갈리오
ap카운터.

들어가면 도발. 방어막. 그냥 짜증나지만, 잘 나오는 편은 아님.
야스오
이 친구는 플레이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데. 상대가 못해도 짜증남. 잘하면 더 짜증나고. 그래서 카운터 픽에 올렸어요.

재간둥이를 e로 미니언 타서 피하거나, 궁을 w 로 막거나. 그렇다고 초반 q 짤이 약한것도 아니고. 실드량이 적은것도 아니고.

후...

여러모로 짜증나는 챔피언.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 운영법
3렙까지는 사리면 됩니다^^

초반 바위게 싸움할 때 미리 말하세요. 라인 당기니까 조심하라고.

그후로는 q평w 감전으로 짤짤이 넣다가 잡으면 됩니다.

중반 운영법
다른 미드 라이너와 다를건 없습니다.
로밍 or 미드 밀기.


후반 운영법
와드 장악을 하며 암살자의 본분에 맞게 짤라먹기 하면서 플레이 하시면 됩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머리말에서 말했듯.

이런 식으로 플레이하는 피즈 유저도 있구나~ 생각하며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현 2018-12-06 오전 4시 기준으로 현 시즌에 맞는 다른 피즈 공략이 존재 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혹시 추가할만한 내용이나 다른 피즈 유저들이 알았으면 하는 팁 같은것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참고하여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0명

나도 한마디 (2)

  • ililzizi | [답글] 고로 부패
  • 아이콘 Cantabile | [답글] 상대의 초반 견제가 심하다 싶으면 부패. 그게 아니라 고만고만하다. 그럼 부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