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버전 피즈

| Poroward | 조회: 10,189 |

 현재 다이아 4에 서식하고 있는 피즈 유저 입니다.

 시즌 3때 브론즈부터 시작해서 다이아까지 거의 피즈로 올라왔습니다. (고3때 아이디를 삭제해서 시즌3부터 했던 것은 인증x)

 처음 롤을 시작할 때 뭘 하던 인벤에 와서 글을 찾아 보았던 것이 생각나서
 다른 유저들이 처음 피즈를 접할때 조금이라도 편하게 플레이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씁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저는 이론적으로 생각하고 머리굴려서 게임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그냥 손으로 무작정 플레이하는 스타일이기에 설명이 정갈하고 이쁘지 않습니다.

 이점 유의하여 글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Runes
개인적으로 룬은 개인 취향,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찍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메인룬은 감전 - 돌발 일격 - 시야 수집 - 굶주린 사냥꾼 으로 고정하고

서브 룬에서 정밀 or 영감으로 나뉩니다.

정밀 - Triumph(승전보) , CoupDeGrace(최후의 일격)
보통 정밀 룬을 자주 사용합니다.

영감 - MinionDematerializer(미니언 해체분석기) , TimeWarpTonic(시간 왜곡 물약)
리산드라, 카사딘 처럼 혼자 이기기 어려운 챔프가 상대일 때 사용합니다.
정밀 룬의 피해량 증가, 승전보 처럼 싸움에서 좋은 능력보다 라인관리에 도움이 되는 룬들입니다.


능력치 룬은 하는 사람 취향에 따라 다릅니다.
필자는 시즌 3부터 룬과 관련하여 공격속도 룬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OFFENSE(공격)을 선호합니다. (안쓰면 답답해서)
그러나 천상계에 계신 장인분들은 OFFENSE(공격)를 사용하더군요.
두번 째는 FLEX(유연)고정이며
세번 째는 상대가 ad면DEFENSE(방어) ap면 DEFENSE(방어)를 사용합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점멸은 F입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위 스킬 트리는 유동적으로 변합니다.



보통 피즈 유저들은 선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를 마스터하고 난 후 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Urchin Strike(성게 찌르기)순으로 찍습니다.

그러나, 상대에 따라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와 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 중 하나를 선택해서 선 마스터 해야합니다.


카타리나, 제드, 야스오, 아트록스 와 같은 경우에는 w를 마스터 합니다. (특히 브루저들 상대할 때)

그러나, 르블랑, 오리아나, 리산드라 같은 경우에는 e를 마스터 합니다.

스킬 콤보

 기본적으로 스킬을 사용할 때 Doran's Blade(도란의 검)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를 사용합니다. 


라인전에서 딜교할 때는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Doran's Blade(도란의 검)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Electrocute(감전)후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나오거나,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 Doran's Blade(도란의 검)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Electrocute(감전)후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로 나옵니다. 


만약, 굳이 스킬 하나를 소모하며 나오지 않고 당당히 걸어나오는 것이 가능하다면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Doran's Blade(도란의 검)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든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Doran's Blade(도란의 검)Urchin Strike(성게 찌르기)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든 좋습니다.


보통 6렙 전에 킬각을 낼 때는 위 콤보에 점화만 더하면 킬각이 잡힙니다.

특히, 상대가 죽을까봐 거리를 주지 않더라도Flash(점멸)Urchin Strike(성게 찌르기)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Ignite(점화)로 킬을 자주 만들 수 있습니다. 


6렙 이후에는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을 맞추고 위의 콤보를 시전



스킬 활용 팁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는 광역 슬로우 , 거리 좁히기/벌리기 , 스킬 회피 + 딜 스킬입니다.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중요 스킬 하나를 씹고 딜교를 하거나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슬로우를 묻히거나 두 가지로 경우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판테온 w나 럭스 q처럼 cc기 를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피해야겠죠.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슬로우를 묻히는 경우 (상대방에게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쓰는 경우)

슬로우를 걸어 Doran's Blade(도란의 검)Seastone Trident(심해석 삼지창)Doran's Blade(도란의 검)Doran's Blade(도란의 검) 할때 사용합니다.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는 슬로우, 데미지 스킬 입니다.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는 자신이 스킬을 시전한 위치로부터 상대방까지의 거리에 비례해서 데미지가 증가하며, 크기도 멀수록 커집니다. 가장 큰 상어를 소환해서 데미지를 넣는 것이 베스트지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는 슬로우용으로 사용해서 갱킹 호응하거나 그냥 딜링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적어도 뻘궁쓰는 것 보다는 좋기 때문입니다. 


어느정도 올라가다 보면, 멀리서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을 대놓고 쓰면 상대가 대놓고 피합니다. (은근 피하기가 쉬움)

그래서 라인전에서 갱킹호응이나 킬각을 잡을 때는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확정적으로 궁을 넣기 위함)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최종 아이템
Corrupting Potion(부패 물약)를 시작 아이템으로 갑니다. 무조건
이후 첫 귀환때 The Dark Seal(암흑의 인장)을 삽니다. (이게 있어야 라인전 유지력이 올라가서 버티기 쉬워집니다) 



아이템 빌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가는 빌드와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가지 않는 빌드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가면 이후,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Lich Bane(리치베인)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Void Staff(공허의 지팡이)를 올리면 됩니다.

Hextech Protobelt-01(마법공학 초기형 벨트-01)를 가지 않는다면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1코어로 올리고 Lich Bane(리치베인)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Morellonomicon(모렐로노미콘)후 마지막 아이템은 자유롭게 선택하셔도 됩니다.

추가로, Lich Bane(리치베인)를 바로 올리지 않더라도, 아이템 트리에 Sheen(광휘의 검)하나를 먼저 섞으셔도 좋습니다. 

신발은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Ninja Tabi(닌자의 신발)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 중 유동적으로 선택해서 가시면 됩니다. 
카운터픽 Counter pick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Best 3

카사딘
기발 카사딘, 착취 카사딘, 감전 카사딘 , 콩콩이 카사딘 등 여러 카사딘을 상대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카사딘을 라인전에서 갱킹 없이 이기는 것은 매우 힘듭니다. 어떤 방식으로 딜교해도 반반이거나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그러니 갱킹을 부르도록 합시다. 카사딘을 이기는 방법은 아군 정글러가 초반에 자주 찔러주는 것입니다. 얘도 6렙전엔 뚜벅이라서 갱킹당하기 쉽기 때문이죠.

굳이 라인전을 이기고 싶다면 감전대신에 집공을 들면 됩니다. 그러나 집공 피즈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카사딘은 파워가 강해지는데 피즈는 파워가 약해집니다... 그러니 집공 들었으면 30분전에 게임을 끝내야 합니다.


갈리오
갈리오도 카사딘처럼 ap근접 챔피언과의 라인전에서 우위에 있습니다. 갈리오가 e를 쓸 때 엉덩이를 뒤로 빼는 모션을 보고 e로 피하면서 딜교해야 합니다.

9시즌 초반에는 갈리오가 미드로 오면서 밴하기도 했습니다만, 9.3이후에는 미드로는 잘 안나오고 서폿으로 나오더군요. 따라서, 이 친구는 무서워 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일러스
신캐 사일러스는 얼마 만나보지는 못했으나, 단 한번도 이긴적이 없습니다. (라인전 1대1을)
사일러스와 딜교는 압도적으로 사일러스가 우위에 있습니다. 어떤 방식의 딜교환으로도 이길 수 없어서 이 캐릭터와는 반반을 가져가는게 베스트입니다.

팁이라면 싸울 때 중간에 점화를 박아 놓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일러스가 w로 피흡하는데 잃은 체력 비례 피흡이기 때문에 사일러스가 w를 쓰겠다 싶은 타이밍에 점화로 피흡을 감소시켜야 합니다.

상대하기쉬운 챔피언 Best 3

신드라
아리
말자하


3렙 이후 피즈는 Syndra(신드라)Ahri(아리)Xerath(제라스)Taliyah(탈리야)Malzahar(말자하)와 같은 메이지를 압살할 수 있습니다. (Ahri(아리)는 6렙 전까지만)
그러나 현재 9.4 버전에는 이런 메이지들은 잘 나오지 않습니다.

Katarina(카타리나)Yasuo(야스오)Zed(제드)LeBlanc(르블랑)Aatrox(아트록스)Akali(아칼리)Zoe(조이)는 손 싸움입니다. (자신이 못하면 집니다)
예를 들어 조이는 쿨쿨 방울을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로 피하냐 마냐의 싸움이며, 제드는 표창을 잘 피하고 유리한 딜교를 성공하냐 마냐의 싸움입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 운영법
최근 바위게 싸움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정글 2렙 때 바위게 싸움이 자주 일어납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군 미드라이너가 초반 라인 주도권을 갖고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해졌습니다. 그러나 피즈는 3렙 전까지 라인 주도권을 가져오기가 매우 힙듭니다.(거의 불가능함) 이 점을 유의하고 아군 정글을 신경쓰면서, 어느정도 상대에게 맞더라도 2렙 찍는 것을 신경써야 합니다. 

중반 운영법


후반 운영법


팀파이트시 역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
솔직히, 현재 전적 검색 사이트에서는 피즈가 2티어라고 나와 있는데,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훨씬 좋은 캐릭터, 메타에 맞는 캐릭터가 있고, 더 좋은 암살자가 널렸습니다. 


여러 장인분들을 하나씩 검색해서 찾아보며 플레이 하다가 저장용 + 다른 유저분들이 가볍게 글을 보고 플레이 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씁니다.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0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