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11.23/리뉴얼] 직스킹 사슴소의 직스 공략.

102 / 114 | 사슴소 | 댓글: 501개 | 조회: 838,795 |

(서머너 스펠: 총명 관련 설명이 수정되었습니다.)

(vs 카사딘 관련 정보 추가하였습니다.)

(vs 카서스/ 아칼리 관련 정보 수정 및 추가하였습니다.)

(질의응답란 추가하였습니다.)

(vs 모데카이저 관련 정보 추가하였습니다 / 룬페이지 정보 추가하였습니다.)

(vs 자이라 관련 정보 추가하였습니다. / 질의응답 추가하였습니다.)

(속성 영상강좌 추가하였습니다.) 

(속성 영상강좌 HTML적용하였습니다. / 질의응답 추가하였습니다.)

(8월 26일자 이후로 모든 친구추가요청을 거절할예정이며, 기존의 친구목록 역시 전부 삭제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친추였지만 공략도 정독하지 않은 채 질문하는거 답변해드리는 것도 지쳤고, 생판 초면인 사람에게 직스플레이를 강요당하는것도 지쳤습니다. 저도 사람이고 재미를 위해서 시작한 게임입니다. 몇몇 특정한 장인분들처럼 한 챔피언만 고집하는게 아니라 다른 여러 챔피언도 하는 유저이며, 일반게임에서 직스만 하면 재미없어서 솔직히 랭크게임이 아닌이상 일반게임에서 직스 거의 안합니다. 직스 플레이 관전은 리플레이 사이트를 이용하시길 바라며 앞으로 질문사항은 덧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 특성 수정하였습니다. )

(패치로 인해 궁데미지 간접적 상향 및 W스킬의 날라가는 속도가 정상화 되었으며, 날라가는 거리 또한 늘어났습니다. 체감상 생존률이 매우 높아졌으며 이 거리에 적응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상대방이 띄워지는 높이가 늘어남에따라 넉백효과도 한타때 제법 쓸모있게 되어서 한타 존재감도 커진 듯 합니다. / 블라디미르 및 다이애나 상대법 추가하였습니다.)

(말파이트 상대법 추가하였습니다.)

(제라스 상대법 추가하였습니다.)

(AP마이 상대법 추가하였습니다.) 

(가독성을 높이기위해 줄 바꿈 관련 수정하였습니다.)

(플래티넘 인증 추가 / 갈리오상대법에 대해 내용 보충했습니다.) 

(10월 23일자 기준 레이팅과 전적 수정하였습니다.)

 

(현 추세에 맞게 아이템 빌드 수정하였습니다.)

 

 

 

 

 

자칭 국내에서 직스 No.1 !! 직스킹 사슴소 입니다.

 

 

 

'스'자 돌림이라고 직쓰레기라고 하시는분 계시는데

 

직스 OP입니다 한번하지말고 두번, 세번하세요.

 

 

 

 

p.s

 

공략이 매우 깁니다... 대충 훝어 보시면 전혀 도움이 되질 않으니

정독하실게 아니라면 뒤로가기 눌러주셔도 됩니다.

 

 

 

 

 

 

 

 6월 28일경에 1905 플래티넘 달성한 것으로 기억됨.

 

 

 

 

 

 

 

10월 23일자 기준 레이팅 1934 입니다.

 

 

 

 

 

직스 속성 영상강좌

 

 

 

Runes
  • 상급 마법 관통력 표식
    마법 관통력 +0.87
    X 9
  • 상급 성장 체력 인장
    레벨당 체력 +1.34
    X 9
  • 상급 성장 주문력 문양
    레벨당 주문력 +0.17
    X 9
  • 상급 주문력 정수
    주문력 +4.95
    X 3
옵션 합계 (18레벨 기준)
  • 마법 관통력
    +7.83
  • 체력
    +217.08
  • 주문력
    +42.39

마관 * 9

성장체력 * 9

성장주문력 * 9

고정주문력 * 3 를 갑니다.

 

AP누커라면 마관은 필수이며,

 

마나리젠보다 성장체력이 훨씬 효율이 좋습니다.

 

상대적으로 마나소비량이 높은 직스이지만 결국엔 마나관리하시면 될 문제입니다.

 

마나관리를 잘 하신다면 상대방을 견제하면서 킬을 노릴 마나는 항상 충분합니다.

(Bouncing Bomb(반동 폭탄)난사 절대로 하지마세요)

 

 

성장 주문력레벨 6부터 8정도 까지 딜로스 구간이 생깁니다.(아이템의 변화가 없어서)

 

그 구간을 커버하기 위해 성장주문력을 사용해 줍니다.

 

 

고정주문력초반 라인전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사용합니다.

 

실제로 1렙 딜교환에서 직스 딜이 안나온다고 판단되면

 

적극적인 라인푸시와 딜교환을 하려고 하는 라이너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런 경우엔 정글러를 호출하거나 Bouncing Bomb(반동 폭탄)를 통해 cs를 챙겨하는데

 

결국 마나 고갈로 먼저 집을 가게 됩니다.

 

이러한 초반 라인전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고정 주문력을 갑니다.

 

 

**7월 24일자 내용추가**

 

르블랑이나 아칼리, 애니비아처럼 순간 누킹이 매우 쌘 챔피언을 상대할땐

 

룬페이지에 여유가 있으시다면 파랑에 고정 마법방어력을 가주시는 게 좋습니다.

 

체력이 약 100정도 늘어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안정적인 라인전을 하실 수 있습니다.

(초반엔 주문력에 의한 딜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딜량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마스터리 Mastery
흉포
1
3
0
0
4
4
0
0
1
1
0
0
0
2
책략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결의
1
0
3
0
1
3
0
0
0
1
0
0
0

Sheen(광휘의 검)Lich Bane(리치베인)의 물리데미지를 생각해서 민첩성(Alacrity)무기 전문가(Weapon Expertise)을 찍습니다.

 

짐승같은 힘(Brute Force )의 경우 cs를 잘 못챙긴다면 도살자(Butcher)로 대체하시면 됩니다.

 

대파괴(Havoc )의 경우 실질적인 데미지 증가치가 높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신속(Swiftness)을 4까지 찍지 않는 이유는

 

직스 자체의 이속이 느려서 티가 나지 않을 뿐더러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 효과를 더욱 높이고자 명상(Meditation )을 찍어줍니다.

 

 

 

서머너 스펠 Summoner spells

말이 필요없는 미드라이너 스펠입니다.

 

 

 

직스는 기본 이동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갱킹을 당했을 경우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만으로 탈출하기 매우 힙듭니다.

 

따라서 을 사용함으로서 생존력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플레이를 할 수있습니다.

 

 

 

 

 의 경우

카사딘은 상관없지만, 순간 접근기가있는 르블랑을 상대할 경우 킬보다 생존을 우선시해야하기 때문에 회복을 들어주시면 좋습니다.

 

 

 

 

 

일반게임의 경우 어쩔 수없지만 랭크게임의 경우 상대 미드라이너가 베이가라면 사용해줍시다.

(단, 스턴 걸렸다고 바로 쓰시면안되고 상대 정글러가 갱킹왔을때만 그때 사용해주시면됩니다.)

 

 

 

 

------------------사용하면 안되는 스펠--------------------------------------

 

 

 

닷지 유도용으로 최고죠 뭐...

 

 

 

카서스가 아닙니다.

 

 

 

음... 천리안을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으나.

실제 플레이하시면서 경험이 쌓이시면 시야가 없어도 귀환하고있는 적 저격하는거라던가

추노할때 예측샷하는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또한 이 스펠을 든다면 점화를 뺄 가능성이 높은데 점화를 빼실경우

한번 말리면 라인전이나 한타에서 복구하기가 굉장히 힘듭니다.(한번 발리시면 계속 발리신다는 말.)

 

 

 

총명 직스 많이들 하십니다.

저도 인벤 총명 직스 공략 보고 해봤으나, 총명 직스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1. 라인전에서 q를 자주 사용하게 되서 원치않게 라인이 밀려 갱킹의 위험이 있습니다.

2. 총명은 쿨이고 마나는 바닥인 상황이 자주 발생

3. 점화의 부재로 문도, 스웨인을 상대하기 힘들고 아군의 갱킹호응도가 매우 떨어짐(갱와도 킬 따기 힘듬)

 

 

 

순간이동역시 쓸모없습니다.

직스에게 cc기는 넉백과 슬로우뿐 속박과 기절과 같은 영향력이 큰 cc기가 없습니다.

순간이동으로 빠른 지원을 갈 수 있으나, 미드에서 조금만 움직이셔서 궁부터 던지시고 합류하셔도

늦진 않습니다.(경험에서 우러나오는 말입니다. 텔레포트로 합류하는 것도 좋지만 직스의 긴 사정거리는 텔레포트를 통한 로밍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습니다.)

 

 

 

이걸 들 바에는 를 들어줍시다.

직스는 정상적으로 성장할 경우 어떠한 상대방이 달라붙어도 역관광을 할 수 있는 챔피언입니다.

살을주고 뼈를 취한다 처럼 맞아주시면서 폭발적인 누킹으로 역관광 시켜주시면됩니다.

 

 

 

어차피 한번 물리면 cc기까지 맞았을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 후방에서 q짤짤이로만 싸우시는분들이라면 괜찮으실지 몰라도

그런식의 플레이는 딜이 전혀 나오지 않습니다.

 

스킬 Skills
선마순서:
스킬 빌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스마트키 절대 사용하지마세요.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의 경우 정확한 사거리 계산과 세밀한 스킬사용을 요구하므로 스마트키를 사용할 시 원하는대로 스킬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정확하고 세밀한 스킬사용이 가능하신다면야 스마트키 쓰세요..)

 

 

 

Bouncing Bomb(반동 폭탄)의 스마트키 필요성에 대해 각각의 의견들이 있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직스를 하다보면 Bouncing Bomb(반동 폭탄)을 10번중 9번은 최대사정거리로 던지게 됩니다. 그런데 사정거리를 넘어선 곳에 사용할 경우 앞으로 걸어나간 후 스킬이 발동되는데 이때 약간 이동하는 것이 한타때 자리 이탈을 유도하고, 추노시에 상대방에게 도망갈 시간을 주며Bouncing Bomb(반동 폭탄)가 쿨타임이 상당히 짧으므로 이러한 실수가 나올 경우 딜이 지연되므로 폭발적인 딜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정말 뛰어난 반사신경의 소유자 아니면 Bouncing Bomb(반동 폭탄)스킬이 한번 튕기는 것까진 보고도 피하지 못하므로 짧은 시간안에 재빠르게 던져서 맞추시면됩니다. 

 

 

 

 

3렙에 Bouncing Bomb(반동 폭탄)를 찍는 이유는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를 곁들어 사용할만큼 충분한 마나통이 아니기 때문이며,

저는 보통 6렙 전까지 1 vs 1 맞다이를 허용해주지 않습니다. 모기처럼 피만 쪽쪽 깎는 플레이를 주로 합니다.

물론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을 찍음으로써 3렙때 Short Fuse(짧은 도화선)Bouncing Bomb(반동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를 통한 킬을 하셔도 무방하나.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이나 Bouncing Bomb(반동 폭탄)빗나갈 경우 대부분 역관광 당합니다.(저렙때 빗나가는 경우가 은근히 많습니다.) 또한,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를 맞으면 보통 뒤로 빼기때문에 생각처럼 많은 딜이 나오지 않습니다.

 

 

 

 

스킬 콤보

 1 vs 1 맞다이나 갱킹호응 콤보는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 슬로우 및 퇴로를 차단한 후 Bouncing Bomb(반동 폭탄)를 통해 한방 먹여줌과 동시에 Short Fuse(짧은 도화선)패시브를 이용하여 바로 평타를 같이 넣어줍니다. 그러면 상대방이 나를 때리거나 도망치기 위해서 무빙을 하게 되는데요우월한 사거리의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 을 이용하여 내쪽으로 튕기게 설치하거나,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깔린 곳으로 튕겨지도록 설치한 후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궁을 날림과 동시에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을 한번더 눌러서 터트려줍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1 vs 1 맞다이에서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빗나가면 포기하시고 빠져주시는게 좋습니다.

모든 스킬들이 논 타겟팅이기 때문에 맞추면 딜교환시 이득이지만 맞추지 못하면 딜교환에서 많은 손해를 보게됩니다.

 

 

 

스킬 활용 팁

 

 

Short Fuse(짧은 도화선)의 경우 1~4렙정도의 쪼렙구간에서 스킬과 같은 딜이 나옵니다. 잦은 견제가 힘드실 경우 이 패시브 발동때 만이라도 Short Fuse(짧은 도화선)Bouncing Bomb(반동 폭탄) 콤보로 견제해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Short Fuse(짧은 도화선)은 직스의 5번째 공격스킬이기도 하니 스킬을 써주시면서 틈틈히 평타를 날려주셔야 미친듯한 딜이 나옵니다.

 

 

 

 

Bouncing Bomb(반동 폭탄)는 폭탄을 던진 후에 최대 2번까지 튕겨지며 3번째때 자동으로 터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 전에 적군이나 몹에 닿으면 바로 터지는 스킬이죠.

Bouncing Bomb(반동 폭탄) 스킬의 핵심은 거리에 따른 최대사정거리 폭탄이 날라가는 속도에 대한 이해, 그리고 빠른 발동을 위해 숙련된 손놀림입니다. 최대사정거리와 폭탄의 속도는 많은 경험을 통해 익숙해지시면 되며,

숙련된 손놀림은 Ahri(아리)Spirit Rush(혼령 질주)이동하는것을 맞출 수 있을 정도로 빠르고 정확하실 정도면 됩니다.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의 경우 설치 후 다시한번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을 누름으로써 터트리는데 깨알같은 넉백효과가 있습니다.

아군을 제외한 자신과 상대팀 모두를 튕겨버리며 상대팀이 튕겨나가는 거리보다 자신이 튕겨나가는 거리가 더 깁니다.

벽 넘는게 가능하며 얼마나 스킬범위의 가장자리에 있느냐에 따라 튕겨나가는 범위도 다르므로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스킬을 얼마나 잘 쓰냐에 따라 실력이 결정된다고 볼 수있습니다.

또한 직스 콤보의 핵심인데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넉백을 당할경우 체감상 1초정도 상대방은 스킬, 스펠을 포함한 모든 행동들이 불가능합니다. 이 때를 노려서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콤보로 점멸 혹은 회피기, 회복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 후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의 경우 한타가 벌어질때 모여있는 곳이나 좁은 길목에 써주시면 우왕 ㅋ굳 ㅋ.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의 경우 스킬의 쿨타임이 다른 챔피언들의 궁극기에 비해 상당히 짧습니다.

또한 얼마나 멀리 날리느냐에 따라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지므로 이것 역시 많이 사용하셔서 감을 익히셔야합니다.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을 써야할 경우는 5가지가 있는데

1. 적이 밀집해 있을때 머리 위로 쾅!

2. 낚시를 하는데 상대방이 마침 다가올때 미리 써주고 시작.

3. 적이 안심하고 귀환하며 쇼핑을 즐기고 있을때 예측으로 쾅!.

4. 미니언을 정리할때 (상대팀이 타워를 부수려할때 미니언을 궁으로 잡아주시면 타워를 살릴 수 있습니다.)

5. 상대라이너가 블루를 먹으러 갔을때 혹은 용 및 바론 스틸.(블루의 경우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으로1/3피에서 1/2정도까지 깎이며 바론이나 용 스틸의 경우 상대 정글러의 스마이트보다 딜이 더 높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최종 아이템
아이템 빌드
  • 장화
    기타 - [장화]


  • 마법사의 신발
    기타 - [장화]
  • 라바돈의 죽음모자
    마법 - [주문력]
  • 리치베인
    마법 - [주문력]
  • 공허의 지팡이
    마법 - [마법 관통력]
  • 존야의 모래시계
    방어 - [방어력]

일반적인 아이템 세팅을 소개하자면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Health Potion(체력 물약)Health Potion(체력 물약)Health Potion(체력 물약)로 출발합니다.

 

 

 

그 이후 바로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를 구매함으로써 마나 수급문제를 해결한 후 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로 업그레이드를 해줍니다.

 

그 후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로 신발 업그레이드를 해주며  Blasting Wand(방출의 마법봉) 혹은 Needlessly Large Rod(쓸데없이 큰 지팡이)을 가서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을 완성합니다.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을 완성한 후의 다음 템트리는 상대팀에 따라 유동적으로 가야하는데.

 

내가 너무 상대팀에게 포커싱을 당하고 Poppy(뽀삐)Jax(잭스)처럼 누커암살형 챔피언이 있다면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를 이어서 가줍니다.

 

 

 

 

만약 Poppy(뽀삐)Jax(잭스)가 없다면 상대팀 아이템을 보게 되는데 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을 간 사람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물리방어력이 낮기 때문에 Lich Bane(리치베인)을 가줍니다.(리치베인은 주문력만큼의 물리데미지를 추가로 입힙니다)

 

 

 

 

Negatron Cloak(음전자 망토)이 아니라 Thornmail(가시 갑옷)Chain Vest(쇠사슬 조끼)Warden's Mail(파수꾼의 갑옷)과 같은 물리방어력 템을 맞추었다면 마법방어력이 약하다는 뜻이므로 Void Staff(공허의 지팡이)를 가줍니다.

 

 

 

 

그 후에 딜이 부족하다면 Void Staff(공허의 지팡이)Lich Bane(리치베인)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중에 효율적인것을 선택해가며 최종 아이템들을 완성하시면 됩니다.

추가 공략 Etc

 

 

라인 운영법

상대방이 라인을 무지막지하게 푸쉬할 경우

적극적으로 아군 정글러를 호출하여 대응해 주시고, 라인을 밀기위해 다가왔을때 어김없는 Short Fuse(짧은 도화선)Bouncing Bomb(반동 폭탄)견제를 해주시면됩니다.

 

블루 버프를 획득하셨으면 아군 정글몬스터중 하나인 유령 4마리를 1분마다 잡아주시면 빠른 레벨업과 cs차이를 벌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건 역시 Sight Ward(시야 와드) 입니다.

 

첫번째 귀환때부터 사주시는 것이 바람직 하며 Sight Ward(시야 와드)의 목적은

 

(카운터정글 방어) (상대방 로밍 확인) >>>>>>>>> (적 정글러의 갱킹 방어) 입니다.

 

나는 안죽을 자신있다고 안사시는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다시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Sight Ward(시야 와드) 상대 정글러의 갱킹을 막는 것 보다 카운터정글을 예방하고 상대방이 로밍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역관광 혹은, 적절한 대처를 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큽니다.

 

우선순위 역시 Sight Ward(시야 와드) >>>>>>> 넘사벽 >>>>>> (아이템) 입니다.

 

첫 귀환때부터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를 가신 후에 Doran's Ring(도란의 반지)를 포기하더라도 Sight Ward(시야 와드)는 꼭 2개씩 사줍니다.

(다만 라인전에서 라인이 계속 당겨져있고 말리고 있는 상황이라면 2번째 리콜부턴 사줍시다.)

 

또한, Sight Ward(시야 와드)가 사라진 후에 다시 설치하러 가시는분들이 계시는데

상대팀이 노련하다면 Sight Ward(시야 와드)가 박히는 시간을 체크한 후, Sight Ward(시야 와드)가 사라지는 3분후에 바로 가서 갱킹을 하므로 사라지기 전에 미리미리 박아줍시다.

 

** 상대라이너도 자주 와드를 박아준다면 Sight Ward(시야 와드)대신 Vision Ward(투명 감지 와드)를 2개 사줍시다. 100골드나 더 들어가지만 그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합니다.**

 

 

 

 

 

초반 운영법

 

  1~5레벨에선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를 통한 견제로 피를 깎아주신후에 6레벨때 Ahri(아리)처럼 Flash(점멸)을 이용한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 콤보로 킬을 노려주시면 됩니다.

 

 이후 아이템창에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Doran's Ring(도란의 반지)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 3가지가  있는 시점부터 호시탐탐 로밍기회를 노리셔야합니다.

로밍기회가 포착되면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의 마나 리젠 옵션을 바탕으로 빠르게 라인을 미시고 로밍을 갑니다.

이때 로밍가는 곳에 이미 교전이 벌어졌다면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을 먼저 사용하셔서 딜 or 교전 중재를 하시고 Bouncing Bomb(반동 폭탄)의 반동 2번을 이용하여 멀리서부터 폭탄을 던져주며 접근합니다. 그 후에 상대방의 퇴로에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을 써주시고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상대방 앞에 설치해줌으로써 도망치지못하게 아군쪽으로 튕겨준 후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로 처리해주시면 됩니다.

 

 

 

 

 

중반 운영법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을 가기전에 Needlessly Large Rod(쓸데없이 큰 지팡이)가 있다면 마법사 미니언들은 Bouncing Bomb(반동 폭탄)한방에 죽습니다. 이를 이용해서 상대방 미드라이너를 디나이 시켜주며 로밍을 갈 시간을 벌어줍니다.

 

 

Ziggs(직스)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가 나오면 상대팀의 그 누구라도 1 vs 1로 싸워 패배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강력해집니다. 이때 침체된 팀분위기를 역전시키기 좋으며, 엄청난 누킹을 바탕으로 용쌈이나 로밍, 부쉬낚시를 통해 팀파이트를 유도하여 한타를 벌이시는게 좋습니다.

 

 

 

 

 

후반 운영법

 후반에서 AP누커는 얼마나 오래 생존하면서 딜을 넣을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때는 상대방의 탑라이너, 정글러가 Ziggs(직스)를 잡으려고 혈안이 되어있기 때문에 가급적 팀원들과 거리를 두시고 굳이 위험하게 한타를 바로 참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안전하다고 판단됬을때 한타에 참여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만약 물렸을때는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를 통해 뒤로 빠져주시면서 Short Fuse(짧은 도화선)Bouncing Bomb(반동 폭탄)Lich Bane(리치베인)으로 다가오는 상대방부터 짤라주시면됩니다.

 

 

 

 

 

팀파이트시 역할

한타가 일어났을 경우 상대방이 많은 곳에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 콤보를 써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예외적으로 상대팀중에 한명이 너무 컸다 싶으면 그 사람에게만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콤보를 해주시는게 더 도움됩니다.(특히 원딜의 경우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만 해주셔도 보통 죽습니다.) 

 

그리고... 스킬의 사정거리 때문에 Ziggs(직스)최후방챔프라고 생각하시는데, 절대 그런식의 운영을 해서는 안됩니다.

 

Ziggs(직스)의 폭딜 핵심은 Short Fuse(짧은 도화선)이며, Lich Bane(리치베인)이 있을경우 Bouncing Bomb(반동 폭탄) 1.5배~2배의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상대 주요 탱커나 암살챔프에게 물린게 아니라면 평타 사정거리 내에서 싸우세요.

 

 

 

 

 

 

챔피언별 대응법

 Galio(갈리오)의 경우 Bulwark(방벽)를 쓰는지 잘 보셔야합니다.

만약 쓸 경우, 보통 앞으로 나오면서 cs를 먹던가 견제를 하려고 오기 때문에 cs를 먹으려고한다면 평타를 날려주시는게 좋고, 이때 패시브가 묻은 평타가 나온다해도 회복되는 체력은 미비하므로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그리고 너죽고 나살자 식의 맞다이가 아닌이상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최대한 신중하게 쓰셔야합니다.(Bulwark(방벽)를 쓴 후 비비면 체력이 회복이 되기 때문에..)

Resolute Smite(단호한 일격)Righteous Gust(정의의 돌풍)는 그냥.. 최대한 피해주시는게 좋고, Idol of Durand(듀란드의 석상)로 인해 갱킹호응이 매우 좋은편에 속하므로 조금이라도 위험하다면 망설이지말고 Flash(점멸)을 써주시는게 좋습니다.

 

Bulwark(방벽)빠졌을때 스킬을 잘 맞춰만 주시면 솔로킬을 충분히 딸 수 있으니 직스로 상대하기에 그렇게 부담되는 챔피언은 아닙니다.

 

 

 

 

 

 

Gragas(그라가스)의 경우 동레벨과 같은 아이템을 착용했을때 직스의 딜이 더욱 큽니다.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 견제를 해주시면 분명 기회가 찾아오니 그때를 노리셔도 되고, Body Slam(몸통 박치기)를 통해 자신에게 왔을때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을 통해 역관광 해주시면됩니다. 그리고 갱킹호응도의 최고봉인 Explosive Cask(술통 폭발)만 조심해주시면 됩니다.

부쉬에 정글러가 있는데 궁을 쓴다하면 Flash(점멸)을 사용하셔서 타워로 날아가시면됩니다.(언제든지 준비만 하고 계신다면 Explosive Cask(술통 폭발)이 터지기 전에 Flash(점멸)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Ryze(라이즈) 1 vs 1 맞다이를 허용하지 않으시면됩니다. 스킬을 맞추기위해 무리하게 앞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때를 노려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 짤짤이 해주신 후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Ignite(점화)로 킬을 노리시면됩니다.

 

또한 로밍이나 소규모 교전에서 직스가 더 뛰어나므로 로밍으로 격차를 벌여주시면됩니다.

 

 

 

 

 

 

LeBlanc(르블랑)의 경우 Ethereal Chains(환영 사슬)는 최대한 피해주시면 되고, Distortion(왜곡)를 통해 접근했을때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로 맞대응 해주시면서 사려주시면됩니다. 이때 신발은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을 가줌으로써 속박, 침묵에서 빨리 벗어나주시면되고, Doran's Ring(도란의 반지)보다 마법저항력 옵션이 붙은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을 더 빨리가서 생존 및 파밍을 해주시면됩니다.

그리고 6렙 이후에 르블랑이 로밍을 자주가게 되는데 Sight Ward(시야 와드)를 통해 빠르게 합류하시면서 역관광 해주시면됩니다.

 

 

 

 

 

 

 

Lux(럭스)의 경우 Light Binding(빛의 속박)Lucent Singularity(광휘의 특이점)만 신경써서 최대한 피해주시면됩니다.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일땐 대부분 맞을 수 밖에 없으니 최대한 Health Potion(체력 물약)으로 버텨주시다가 정 안되겠다 싶으면 레벨 6 되기전에 귀환하신 후에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로 업그레이드 하시면됩니다.

 

럭스의 경우 체력이 매우 낮으므로 Lucent Singularity(광휘의 특이점)피했다 싶으면 바로 들이대주시는게 좋고,  맞다이 중에도 Light Binding(빛의 속박)을 아직 사용하지 않았다면 지속적인 무빙으로 피해주시면됩니다.

 

 

 

 

 

 

 

Malzahar(말자하)의 경우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보다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를 먼저 가서 디나이를 막으시면 됩니다. 또한 아군 미니언에게 구름(?)같은게 씌워져있다면 거리를 벌려주시고 멀리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 견제만 하셔도 쉽게 상대하실 수 있는 챔피언 입니다.

 

다만 Short Fuse(짧은 도화선) 를 이용한 평타 욕심을 내시면 Nether Grasp(황천의 손아귀)역관광을 당할 수 있으므로 접근은 자제해주시면됩니다.

 

 

 

 

 

 

 

 

Mordekaiser(모데카이저)Malzahar(말자하)와 마찬가지로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를 먼저가셔서 파밍해주시고, 정글러 호출을 자주 해주시기만해도 충분히 이기는 챔피언입니다.(모데카이저는 회피기가 따로 없고 이동속도가 느린편에 해당하기 때문에 라인을 당겨놓고 정글러 호출을 한다면 손쉽게 킬을 먹을 수 있습니다.)

 

주의하실점은 개피라고 얕봤다간 쉴드때문에 역관광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면됩니다.

 

 

 

 

 

 

 

Morgana(모르가나) 음... 모르가나의 카운터가 직스인것 같습니다.Dark Binding(어둠의 속박)이 매우 느리므로 쉽게 피하실 수 있고, 맞아주셔도 안됩니다. 모르가나는 Tormented Soil(고통의 대지)를 통한 디나이가 강력한데 말자하처럼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를 먼저가서 같이 라인 밀어주시면 됩니다. 직스가 모르가나보다 라인푸시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Doran's Ring(도란의 반지)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와 블루 버프만 있다면 모르가나를 로밍도 못다니게 타워허그하게 하고 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짤짤이 하다가  Black Shield(칠흑의 방패)가 빠졌을때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으로 처리해주시면 됩니다. (모르가나 이동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맞추기 쉬우며, Black Shield(칠흑의 방패)선마가 아닌 이상 Bouncing Bomb(반동 폭탄) 한방이면 바로 무용지물됩니다.)

 

 

 

 

 

 

Veigar(베이가)말이 필요없는 까다로운 챔피언입니다.Cleanse(정화)를 들어 주시면 좋고,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대신 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를 가주시면됩니다. 또한 예외적으로 Primordial Burst(태초의 폭발) 때문에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이 아닌 Rod of Ages(영겁의 지팡이)를 가주시면됩니다.

베이가는 체력이 굉장히 낮고 초반엔 Baleful Strike(사악한 일격)을 이용한 cs챙기기 위주로 가기 때문에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 1레벨때부터 견제를 해주시면 베이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합니다.

그리고 갑자기 베이가가 앞으로 나오면 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을 사용하려는 의미이므로 뒤로가다가 방향을 틀어 앞으로 가시며 스턴을 피해주신 후 바로 맞다이 해주시면 무조건 킬을할 수 있습니다.

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를 얼마나 잘 피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좌지우지 되는 챔피언 입니다.

 

 

 

 

 

 

Brand(브랜드)은 직스보다 좋은점이라곤 스턴기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맞다이시 스턴걸리게 하는 주 요인인 Sear(불태우기)을 피하기 위해 평타를 포기하시고 움직이면서 스킬만 사용해 주셔도 쉽게 이기실 수 있습니다.(가까이 붙어서 싸울수록 유리합니다.)

 

 

 

 

 

 

Viktor(빅토르)Gravity Field(중력장)쓴다면 벗어 나오거나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써주시면 되고, Death Ray(죽음의 광선)를 쓰려 한다면 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맞대응 하시면 전혀 어렵지 않는 챔피언 입니다.

 

 

 

 

 

 

 

Swain(스웨인)6레벨 전에 약하지만 6레벨 이후에 매우 강한 챔피언입니다. 무려 2초간 속박시키는 Nevermove(부동진)만 피해주시고 접근을 허용하지만 않으시면 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손쉽게 이기실 수있습니다. 또한 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대신 Morello's Evil Tome(모렐로의 사악한 고서)을 먼저 가주셔서 Ignite(점화)와 함께 고유사용효과를 발동시켜주면 됩니다.(그러나 2킬정도만 차이나도 상대하기 굉장히 어려운 챔피언이므로 한타할때 팀원들에게 일점사 요청을 해서 최대한 빨리 잡아주시면됩니다.)

 

 

 

 

 

 

 

 

Ahri(아리) 6레벨 Spirit Rush(혼령 질주)콤보만 조심하면 장땡인 챔피언입니다. 의외로 Orb of Deception(현혹의 구슬)Fox-Fire(여우불)가 피하기 쉽기 때문에 최대한 안맞아주시면 되며 Charm(매혹)을 대비해서 미니언 뒤에 숨어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하셔도 되고,  사정거리 밖에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 짤짤이 해주시면됩니다.

6렙 이전에 솔로킬을 할수있는 타이밍이 생기므로 놓치지않고 Flash(점멸)Ignite(점화)를 써주시면서 킬을 따내시면됩니다.

 

6레벨 이후 Spirit Rush(혼령 질주) 을 쓴다면 바로 사용될 Charm(매혹) 을 생각하셔서 피해주신다음 계속해서 움직이시면서 Orb of Deception(현혹의 구슬)도 최대한 피해주며,  Spirit Rush(혼령 질주)가 두번째로 사용된 후 바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세번째로 Spirit Rush(혼령 질주)를 사용하면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Ignite(점화) 콤보를 써주시면 됩니다.  

 

만약 첫 Spirit Rush(혼령 질주)Charm(매혹)맞았다면 Fox-Fire(여우불)Orb of Deception(현혹의 구슬)도 연속적으로 맞게 되므로 바로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Flash(점멸)로 빠져주시면됩니다.(이 경우 맞다이하시면 무조건 죽을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Annie(애니)1 vs 1 맞다이를 피하시는게 핵심입니다. 애니의 스킬 사정거리에 비해 직스의 평타 사정거리가 비교적 짧으므로 평타는 포기하시고 Bouncing Bomb(반동 폭탄)만으로 짤짤이 하시면서 디나이시키면 됩니다. 단, 스택을 쌓은후 Flash(점멸)을 이용해 콤보를 노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허리띠가 둘러져 있으면 손가락을 항상 Flash(점멸)위에 두시고 대비하시면 궁이나 스킬까지 피하면서 역관광 시킬 수 있습니다.

 

 

 

 

 

 

 

 

Anivia(애니비아)Flash Frost(냉기 폭발)만 피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나가면서 피하는건 무의미하며, 뒤나 양 옆으로 피하시면서 거리 유지하시면 됩니다. 다만 패시브인 Rebirth(환생) 때문에 라인전에서 솔로킬은 거의 불가능 하므로 다른 챔프 상대하는 것처럼 Ignite(점화)를 낭비하지 않으시면됩니다.  라인 푸시력과 로밍력이 직스에 비해 떨어지므로 정글러분에게 블루를 빨리 받으셔서 라인을 후딱 밀고, 로밍을 가거나 타워허그하고있는 애니비아에게 Bouncing Bomb(반동 폭탄) 짤짤이 해주시면 됩니다.

(애니비아도 역시 이동속도가 낮기때문에 쉽게 맞추실 수 있습니다.)

 

 

 

 

 

 

 

Orianna(오리아나)직스로 상대하기 매우 까다로운 챔피언 입니다. Command: Attack(명령: 공격)Command: Dissonance(명령: 불협화음)이 매우 강력하므로 이 두 스킬을 피하셨다면 바로 달려들어서 끝장을 보셔도 되고, 누킹이 직스에 비해 떨어지므로 한타나 소규모 교전 혹은 로밍을 할때까지 버티시는것도 좋습니다. 참고로 궁극기인 Command: Shockwave(명령: 충격파)에 당할경우 매우 위험하므로 이 스킬이 어떻게 발동되는지 알아두셔야 하며,  Flash(점멸)을 아껴주시는게 좋습니다.

 

 

 

 

 

 

 

Karthus(카서스)은 cs를 챙기려고 Lay Waste(황폐화)를 쓸때마다  Bouncing Bomb(반동 폭탄) 견제를 해주시면됩니다.(황폐화의 사정거리가 훨씬 더 길기때문에 q를 한두번 더 튀기고 맞춘다는 생각으로 플레이하시면 됩니다.)

 간혹 1레벨부터 디나이하려고 라인을 엄청나게 미는 카서스가 있는데 그 경우에는 Lay Waste(황폐화)를 피한후 바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로 견제해주시면 됩니다.(만약 견제를 잘못해서 디나이를 심하게 당할경우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으로 오히려 디나이 시켜주시면 됩니다.)

 

 

 

 

 

 

 

 

Cassiopeia(카시오페아)의 경우 Noxious Blast(맹독 폭발)를 맞추려고 달려들면 뒤로 빠지시면서 피해주신후 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견제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중독되지 않는 미니언이나 자신에게 Twin Fang(쌍독니)를 썼다면 바로 달려들어서 맞다이를 거시면 됩니다. 단 Short Fuse(짧은 도화선)를 포기해서라도 꾸준히 움직여서 Noxious Blast(맹독 폭발)안맞아주시는게 핵심이며, 주로 좌우로 움직이시는게 Petrifying Gaze(석화의 응시)을 피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Katarina(카타리나)는 의외로 정말정말 간단합니다. 초반부터 라인을 당기신 후에 아군 미니언보다 앞장 서시면 됩니다.

이렇게 앞으로 나오면 카타는 cs를 먹기위해 Bouncing Blade(단검 투척)Shunpo(순보) 이 두가지 스킬을 사용해야하는데 Bouncing Blade(단검 투척)을 사용할 경우 바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를 해주시면 카타는 손해만 입게 되며, Shunpo(순보)를 쓸 경우 바로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Ignite(점화) 콤보를 해주시면됩니다.

단, 확실하게 킬을 할 수 없다면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 항상 남겨두었다가 카타리나가 Death Lotus(죽음의 연꽃)을 쓸때 써주셔서 캔슬시켜주시면 됩니다.(한타때도 아껴두세요!)

 

 

 

 

 

 

 

Kennen(케넨)미니언뒤에 숨어서 표창만 피해주시면됩니다. 여러모로 직스에게 매우 약한 챔피언입니다.

 

 

 

 

 

 

 

 

Talon(탈론)시작을 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이나 Cloth Armor(천 갑옷)중 하나를 택하셔서 가시면됩니다. Cloth Armor(천 갑옷)을 가면 상대적으로 갱킹에 취약해지므로 자신에게 맞는쪽으로 가시면됩니다.

첫 귀환때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Doran's Ring(도란의 반지)가 아닌 Chain Vest(쇠사슬 조끼)을 감으로써 생존해주시고 그다음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을 바로 감으로써 못먹은 cs를 챙겨주시면됩니다. 이때 구입한 Chain Vest(쇠사슬 조끼)은 나중에 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보다 먼저 가주시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점은 초반에 디나이를 자주 당하게 되므로 탈론이 로밍을 자주가게 되는데, 이때  Sight Ward(시야 와드)로 꼭 로밍위치를 파악해주셔야합니다.(첫 리콜부터 꼭 사주세요)

 

 

 

 

 

 

 

 

Pantheon(판테온)은 탈론과 같은 템트리로 가며 대신 시작아이템을 무조건 Cloth Armor(천 갑옷)Health Potion(체력 물약)x 5개로 시작하셔야합니다.

초반에 상대하시는 동안 창을 맞을때마다 바로바로 Health Potion(체력 물약)으로 체력회복해주신 후에 다 떨어지거나, 버틸수가 없을때 빠른 귀환을 해주시면됩니다. 이 역시 Sight Ward(시야 와드)가 생명이므로 꼭 사서 박아주시면됩니다.

 

 

 

 

 

 

 

 

Fizz(피즈)피즈는 궁극기인 Chum the Waters(미끼 뿌리기)만 조심하면 무난하게 상대할 수 있는 챔피언입니다. 근접 챔피언이므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을 이용한 견제를 하되, Urchin Strike(성게 찌르기)로 접근하면 바로 아래에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을 설치하신 후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로 바로 빠져나와주시면 됩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초반에 마나가 부족해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을 이용한 견제가 가능할 뿐이지 한번 따이기 시작하면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견제는 포기하시고 Bouncing Bomb(반동 폭탄)만 이용해서 최대한 짤짤이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가 있기 때문에 Playful / Trickster(장난치기 / 재간둥이)의 사용유무에 따라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을 적절히 사용해주셔야합니다.

 

 

 

 

 

 

 

 

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트페를 상대할땐 상대방의 마나량을 집중하시면서 플레이하시면됩니다.

마나가 부족할 경우 Pick a Card(카드 뽑기) 블루카드를 뽑고 회복하려고 다가오므로 그때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견제를 해주시는게 핵심입니다. 다만 Pick a Card(카드 뽑기)골드카드를 뽑을경우 갱킹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빠지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Wild Cards(와일드 카드)까지 피하셨다면 다른 공격스킬은 없다고 봐도 되므로 적극적으로 딜교환을 노리시면됩니다.

 

마지막으로 트페가 상대팀 미드라이너라면 미니맵에 안보이자마자 미아콜을 해주시면서 라인을 밀고있는 라이너에게 퇴각표시를 해주시는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Kassadin(카사딘)의 경우 6렙 이전이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Null Sphere(무의 구체)를 사용할 경우 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응수해주시는게 핵심이며 cs를 챙기러 올때 Short Fuse(짧은 도화선)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견제를, 각오하고 다가오면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을 써서 견제해주시는게 가장 좋고. 이런식의 운영을 하면 6렙전에 솔로킬을 딸 수있는 기회가 반드시 생깁니다

 

6렙이 되었다면 6렙전과 똑같이 견제를 하면서 Riftwalk(균열 이동)로 카사딘이 다가오면 그 자리에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설치해주신후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 바로 거리를 벌려주신 후에(근접 평타를 방지하기 위해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을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은 맞추는경우가 거의 드문데,  카사딘이Riftwalk(균열 이동)쓴 직후에 날려주셔야 그나마 맞추기가 쉽습니다.

 

그리고 로밍력은 직스보다 우월하나 라인푸시력은 직스보다 한참 떨어지기 때문에 가급적 미니언 웨이브가 오자마자 빠르게 처리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늦게 처리할수록 그만큼 Null Sphere(무의 구체)견제를 더 당하게 됩니다.)

 

** 참고로 카사딘을 상대하기 이전에 노랑에 성장체력룬을 박아주시는게 좋습니다.

초반 딜교환에 유리할 뿐더러 체감상  Null Sphere(무의 구체) 견제에 맞더라도 피가 많이 깎이진 않기 때문에 갱킹에 당하지 않는이상 한번에 잘 죽지 않더군요. **

 

 

 

 

 

 

Akali(아칼리)는 최근에 상대한 경험이 별로 없어서 이론적인 성향이 다분한 상대법입니다.

Twilight Shroud(황혼의 장막)을 대비해 Vision Ward(투명 감지 와드)를 하나더 챙겨가시는게 중요합니다. 초반에 아이템을 빨리 맞추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아칼리는 은신으로 인해 생존력이 높으나 체력이 낮은편이기에 라인 한가운데에 핑와를 박아두시면 아군 정글러가 갱킹하기도 편하고, 오히려 킬을 따기 수월해집니다.

또한 Mark of the Assassin(암살자의 표식)을 cs챙기기에 주로 사용하는데 이걸 사용하고 난 직후부터가 딜교환을 해야할 시기이니 Mark of the Assassin(암살자의 표식)을 썻다 싶으면 Short Fuse(짧은 도화선)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딜교환을 해주셔야합니다.

 

6렙 이후부턴 Shadow Dance(그림자 춤)을 이용해 달라붙는데, 이때 바로 자신한테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를 설치해주시고 뒤로빠지시면서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로 조금이라도 거리를 벌려주셔야 합니다. 이럴경우 다시한번 Shadow Dance(그림자 춤) 로 접근하거나 Twilight Shroud(황혼의 장막)로 도망치게 되는데 Shadow Dance(그림자 춤)접근할경우 서로 템차이가 크게 없을경우 상황에 따라 맞다이  or 도망치시면 되고, Twilight Shroud(황혼의 장막)탈출할경우 Bouncing Bomb(반동 폭탄) 한번만 던져주시고 빠져주시는게 좋습니다.( 이경우 딜교환에선 직스가 보통 이깁니다.) 만약 Bouncing Bomb(반동 폭탄)한번 던지고 Short Fuse(짧은 도화선)를 노리려고 다가가면 스킬쿨 채우고 Shadow Dance(그림자 춤)Mark of the Assassin(암살자의 표식)Crescent Slash(초승달 베기)역관광 당하니 빠져주시는게 바람직합니다.

 

 

 

 

 

 

 

 

Zyra(자이라)의 경우 Rampant Growth(맹렬한 성장)을 심으면 밟아주고 Deadly Bloom(치명적인 꽃)Grasping Roots(휘감는 뿌리)을 쓰면 피해주고 Stranglethorns(올가미 덩굴)을 쓰면 맞다이 하시던지 바로 도망치시면 됩니다.

 

속박이라는 cc기 빼곤 직스에게 유리한점은 크게 없는것 같 라인을 당기는것 보단 라인을 중간에 유지하던지 미시는 쪽으로 플레이 하시는게 더 수월하게 상대하는 방법인것 같습니다.

(단, 죽이고 나서  Queen of Thorns(가시 덩굴 여왕)는 항상 조심하셔야 합니다.)

 

 

 

 

 

 

 

 

Diana(다이애나)의 경우 Crescent Strike (초승달 검기)를 피해주는게 핵심입니다. 일정한 각도로 발동되기 때문에 자신이 윗쪽 진영일 경우 위쪽으로, 아랫쪽 진영일 경우 아랫쪽으로 피해주시면됩니다.

 

Pale Cascade(은빛 가호)의 경우 구슬 3개가 다 터지지 않으면 추가보호막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Lunar Rush(월광 쇄도)Moonfall(달빛 낙하)으로 달라 붙을 경우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를 바로 발밑에 써주신 후에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로 탈출하시면 Moonsilver Blade(서늘한 달빛 검)을 비롯해서 Pale Cascade(은빛 가호)데미지를 완화 할 수 있습니다.

 

 

 

 

 

 

 

Vladimir(블라디미르)의 경우 자잘한 짤짤이는 안하는게 좋습니다(즉, 한번에 몰아쳐서 죽이셔야합니다).

Sight Ward(시야 와드)가 확보되어있고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혹은 블루버프를 가지고 있을 때부터 적극적으로 견제를 해주시는게 좋으며,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빠르게 라인을 밀어준 후에  cs를 챙기러 올때마다 견제해 주시면됩니다.

*다만 주의해야할 점은, Sanguine Pool(피의 웅덩이)를 대부분 아끼기 때문에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을 아끼셔야하며 Sanguine Pool(피의 웅덩이)가 끝날 쯤에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이 터지도록 써주시면 됩니다. 또한, 영혼의 맞다이가 된다 싶으면 Ignite(점화)최대한 빨리 써주는게 중요한데, Transfusion(수혈)Tides of Blood(선혈의 파도)를 통한 회복을 막기위한 것도 있고, 점화로 인해 체력이 빨리 닳는 만큼  Sanguine Pool(피의 웅덩이)빨리 쓰게해서 맞다이중에 충분한 딜을 넣지 못하게하고 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으로 타이밍 맞춰서 바로 끝낼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Ignite(점화)를 쓰는게 큰 이득이 됩니다.

 

 

 

 

 

 

 

 

Malphite(말파이트)는 라인을 당기는게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초반일때의  Seismic Shard(지진의 파편)는 별로 강력하지 않으므로  맞아주며 4레벨까지 라인을 당기신 후 프리징하셔야하며(물론 이때까지 직스는 견제를 자제해야합니다.) 잦은Seismic Shard(지진의 파편)견제로 인해 약 4레벨 이후에 말파이트의 마나가 고갈되 별다른 견제를 못하게 되므로 그때부터 짤짤이 넣어주시면서 피를 깎으셔야합니다.

 

여기서 최대한 피를 많이 깎아주셔야하며 지속적인 짤짤이 면에선 직스가 우위에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 레벨 6이 될쯤엔 말파의 체력이 낮아져서 cs를 먹으러 다가오지 못하게됩니다. 이때 솔로 킬을 노리시는게 좋습니다.

 

Seismic Shard(지진의 파편)는 허용하되 Ground Slam(지면 강타)는 절대 맞으시면 안되고

6렙이후에  Unstoppable Force(멈출 수 없는 힘)Seismic Shard(지진의 파편)Ground Slam(지면 강타)Ignite(점화)콤보에 대비하여 체력은 50%이상 남겨두시면됩니다.

 

첫 귀환 후부턴 라인 당기고 자시고 할 것없이 누가 더 견제를 잘하냐의 싸움이니 포션을 충분히 가져가시고, 성배를 빠르게 가셔서 cs포기한다는 생각으로 Granite Shield(화강암 방패)가 발동되지 않게 끊임없이 견제를 해주셔야합니다.

 

 

 

 

 

 

 

 

Xerath(제라스)를 상대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건 Arcanopulse(비전 파동)를 피하는 것입니다.

 

물론 Arcanopulse(비전 파동)피한다는건 저로써도 굉장히 힘든부분이기 때문에 맞으면 어쩔 수 없지만 피했다면 바로 Bouncing Bomb(반동 폭탄)로 반격해주셔야합니다.

Locus of Power(힘의 근원)의 경우 대부분 엄청 멀리서 스킬을 사용하게 되는데 Bouncing Bomb(반동 폭탄)3번까지 튕겨서 맞출 수 있으므로 뜸들이지말고 바로바로 견제해주셔야합니다.

 

서로 원거리 포킹형 챔프라 라인전은 누가 더 견제스킬들을 피하냐가 승부를 가리는 것 같고

맞다이시에 팁을 드리자면 보통 Locus of Power(힘의 근원)Mage Chains(마법사의 사슬)Arcanopulse(비전 파동)Arcane Barrage(비전 폭격)Arcane Barrage(비전 폭격)Arcane Barrage(비전 폭격) 콤보로 공격하기 때문에 Mage Chains(마법사의 사슬)를 저한테 날리면서 Arcanopulse(비전 파동)의 발동전 표시인 빨간색 바닥이 보이면 바로 Xerath(제라스)쪽으로 Flash(점멸)을 쓴 후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Bouncing Bomb(반동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Mega Inferno Bomb(지옥 화염 폭탄)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 콤보를 넣어주시면됩니다.

 

 

이렇게 점멸로 피해주면 1.도망, 2.공격 이렇게 2가지 선택지가 제라스에게 주어지는데

도망일 경우 Hexplosive Minefield(마법공학 지뢰밭)로 인해 지뢰 데미지 + 슬로우가 걸리기 때문에 피가 많고 맞 점멸을 쓰지 않는 이상 킬을 딸 수 있습니다.

반면, 공격할 경우 스턴은 어쩔수 없이 걸리겠지만 그렇게 긴 편이 아니고 이미 Arcanopulse(비전 파동)를 피했기 때문에 딜교환에서 이득을 볼 수 밖에 없으므로 응수해주시면됩니다.(단지 이 경우에 두번째 Arcanopulse(비전 파동)를 맞을 수가 있기 때문에 제라스에게 바짝 붙어서 빙빙 돌아주시면 쉽게 피할 수 있습니다.)

 

 

 

 

 

 

 

 

Master Yi(마스터 이)일단 생각자체를 편하게 하셔야합니다. 라인전에서 까다로운 상대임에는 부정할 수 없으므로 라인이 원치않게 당겨지고, 디나이 당하더라도 죽지않고 버텨주시는게 1차적인 목표입니다.

 

Meditate(명상)를 대비해서 Satchel Charge(휴대용 폭약)를 아껴주셔야하며 Alpha Strike(일격 필살)는 운을 믿고 안 맞길 바라셔야합니다.

단, Alpha Strike(일격 필살)의 경우 최대 4개의 타겟을 맞추므로 아군 미니언이 3마리 이하라면 뒤로 빠져주시는게 좋습니다.

 

 

 

 

 

질의응답

 

1. Morello's Evil Tome(모렐로의 사악한 고서) 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모렐로의 경우 쿨감이 메리트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특성의 4% 쿨감과 블루버프의 20%쿨감, 영약의 10%쿨감 도합 34%의 쿨감효과를 다른 아이템이 없어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모렐로의 쿨감 20%를 사용해도 최대 쿨감인 40% 제한이 있기때문에 20%가 아닌 6%라는 그다지 좋지 않는 효율을 내서 저는 사용하지 않고, 공략에도 적었듯이 스웨인을 상대할때가 아니면 추천하지 않는 아이템입니다.
(모렐로를 완성시키기 위한 하위 아이템들이 라인전에서 크게 좋은점이 없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2. 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을 먼저가는 이유가 뭔가요??

 

첫째로, 상대 정글러의 갱킹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먼저 마관신발을 가면 이속이 늘어나기때문에 아직 신발이없거나 똥신뿐인 정글러의 갱킹에 비교적 안전합니다.(보통 신발업글먼저 가는 정글러는 없기 때문에...)


둘째로, 룬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 마관신발을 갑니다.

상대방보다 주문력이 높거나 비슷할 경우 마관룬과 마관신발이 합쳐져서 스킬 데미지가 체감상 30%늘어납니다. 반면에 도란링을 가서 주문력 15가 올라가도 스킬의 ap 계수가 1.0이 아니므로 딜량이 실질적으로 크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셋째로, 상대방이 라인을 밀어서 디나이하지 않는이상 내가 로밍을 갈 기회는 별로 없고, q난사를 하면 라인이 오히려 밀어지기때문에 최대한 자제하게되는데 이로인해서 마나가 크게 부족하게 느껴지지 않습니다.(상대가 라인을 밀경우 성배부터 먼저 가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보통 빠르게 첫귀환을 하면 1000정도 모여지기 때문에 도란링을 사자니 약간 돈이남고, 성배를 사자니 와드와 회복물약까지 살돈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도란신발을 먼저 추천하는겁니다. cs를 잘챙기실정도면 상관 없지만 공략의 주 타겟층인 초보~중수분들을 위해서 선 마관신을 추천하였습니다.

 

 

 

 

3. Karthus(카서스)를 상대할때  Lay Waste(황폐화)의 사정거리가  Bouncing Bomb(반동 폭탄)보다 더 긴데 어떻게 라인전을 하나요??

 

 

카서스를 상대할때 주로 q를 한번 더 튀긴후에 맞추도록 거리조절을 합니다 ㅎ
카서스도 딱콩을 파밍용으로 주로 쓰기때문에 저한테 견제가 잘 오지 않고, 한번정도 튀기는것 까진 어지간한 반응속도가 아닌이상 거의 다 맞기때문에 한두번 더 튕기게끔 한 후에 맞춘다는 생각으로 플레이하시면 됩니다.

 

 

 

4. Tear of the Goddess(여신의 눈물)이나 투도란 빌드를 가지않고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을 가는 이유가 뭔가요???

 

 

성배의경우 마나회복도 있고 가장 결정적으로 '마법저항력'옵션이 있기때문에 효율성 만큼은 더 뛰어나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블루에 의존하지 않는 장기적인 플레이도 가능하기때문에 성배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묻지만 마시고 제발 한번이라도 써보세요. 성배를 부정적으로 보는 분들이 많으시는데 그냥 한번 써보시면 압니다.)

 

 

 

5. Chalice of Harmony(조화의 성배) 아니라  Sheen(광휘의 검)을 가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직스의 마나소모가 만만치 않은만큼 마나량을 늘리던지 마나젠률을 늘려야하는데 마나량을 늘리기위해서 로아나 여눈을 갈경우 딜교환에서 많이 후달립니다. 반면 마나젠률을 늘리는 쪽으로 선택해서 성배를 갈 경우엔 라인유지력도 좋아지고 마법저항력옵션때문에 딜교환에서 오히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 리치베인을 갈 경우에 주문력이 매우 낮기 때문에 지속적인 딜을 할때 그리 좋지않습니다. 트페의 경우엔 로밍시 짧은시간안에 최대한 많은딜을 뽑아내기 위해서 선 리치베인을 가는 것이지만 직스의 경우는 해당하지 않는 사항이기 때문에 선 리치베인은 추천하지 않습니다.(텔레포트를 들 경우엔 괜찮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p.s 성배를 가는 시기가 주문력이 많이 차이나봐야 30~40정도인 시점입니다. 주문력 계수가 1.0이 아닌이상 딜에서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반면에 마법저항력은 조금더 큰 차이를 보이죠.. ㅎ

 

 

 

6.Rylai's Crystal Scepter(라일라이의 수정홀)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라일라이의 수정홀이나 라바돈의 죽음모자가 나올쯔음엔 소규모 교전부터 시작해서 한타가 자주 일어나는 시점입니다. 특히 드래곤을 두고 자주 교전이 일어나는데 이때 라일라이의 수정홀을 가신다면 딜이 상당히 부족해집니다. 반면에 라바돈의 죽음모자를 갈 경우 250원 포션까지 마시면 대략 주문력 300이 나옵니다. 수정홀에 비해 대략 주문력 100~120 정도가 차이나며 원딜이나 서포터, 미드라이너를 콤보한방에 죽일 수 있습니다. 또한 상대방의 딜량이 아직 높지않기 때문에 이니시에이팅 당하지 않는한 죽는 일이 별로 없기때문에 수정홀을 가지 않습니다.
(수정홀 다음의 코어템을 가는데 딜로스도 심각해지죠...)

 

 

 

마치며

 글을 쓰며 결론은...Bouncing Bomb(반동 폭탄)Short Fuse(짧은 도화선)짤짤이가 생명인 챔피언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보통의 인식처럼 최후방에서 Bouncing Bomb(반동 폭탄)만 사용할 경우 마나고갈과 함께 딜이 나오지 않으므로 평타 사거리 내에서 싸워주시는게 가장 바람직하지 않나 싶습니다.

 

 

추천해주세요!!!

이 공략에 대한 평가는? 참여자:114명

나도 한마디 (500)

  • Nexiris | [답글] 안녕하십니까 사슴소님
    상대가 ad여도 그냥 조화의성배를 가는겁니까?
    조화의성배는 ap방어력이 붙어잇어서...
    아 참고로 asky
  • Giggler | [답글] 이번에 휴가 나가서 하면 처음 롤하는건데 이 생쥐같은 녀석이 맘에 들어서 한번 해볼려고 하는데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지럴육갑 | [답글] 이분 같이 랭해봤는데 진짜 잘하시던데 안정적이게 딜넣을거 다넣으시고

    진짜 잘하심 ;;
  • 아이콘 사슴소 | 이 글이 시즌2 공략이라... 몇줄아래에 시즌3공략이 있는데 거기에 추천을해주세요 ㅠㅠ
  • 아이콘 사슴소 | 그래도 칭찬 감사드리고 아칼리 플레이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ㅎ
  • 어니부기찡 | [답글] 도란링은 안가나요 ㅎㅎ?
  • 아이콘 사슴소 | 시즌3에서 도란활용방법에 대해 여러 실험중입니다.
  • J러디 | [답글] 시즌 3 공략 올려주세여~
  • 아이콘 사슴소 | 약간 시일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ㅠ
  • 강화하다망함 | [답글] 요번에 여눈을 가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아이콘 사슴소 | 여눈스택쌓기는 여전히 직스에게 힘들뿐더러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 수영장직스 | [답글] 이번에 시즌 3 패치되면서 아이템을 어떻게 가야할지 좀 고민되네요. 부정성배가 주문력 60으로 하향 먹어서 모렐로노미콘을 먼저가는 템트리를 생각하고 있는데 어떤가요.
  • 수영장직스 | 성배 가는대신 여눈-가면을 가는 템트리도 괜찮다고는 하는데 이게 상위템이 후반가서 별로일거같아서 모렐로노미콘을 빨리 가는게 더 나을거같은데 말이죠.
  • 아이콘 사슴소 | 음.. 데파를 먼저가는 방법도 구상중에 있는데 제 개인적으로 지금 바빠서.. 시간적인 여유가 없네요.. ㅠㅠ
  • 무적창조 | [답글] 직스다 'ㅡ' 좋은 공략 감사해요 ㅎ
  • 아이콘 사슴소 | 감사합니다 ㅎ
  • 아이콘 쟝피엘 | [답글] 오늘 특성 패치를했는데... 제가 아직 롤 초보라서.... 바뀐 특성을 어떻게 찍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패치된 특성트리로 새로이 수정해주실수 잇나여?
  • 아이콘 사슴소 | 시험기간이라 공부하랴.. 패치 적응하랴.. 정신이없습니다.
    저도 아직 시즌3에 대해 아는게 별로 없어서... 공략을 갱신하는데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습니다.
  • 아이콘 ScvGoSiR | [답글] 오 럭스(사거리긴챔프) 같은 캐릭터가 아니면 직스가 마스터리에 방관을 박아서 그런가 평타 짤이 엄청 좋은거 같아요..ㅎㅎ 이공략을 보고 직스가 미드 모원이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 아이콘 사슴소 |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ㅎ
  • 강화하다망함 | [답글] 사람들이 자꾸 직스 유통기한이라고 하던데요 전 아니라고생각해서요 만약에 라인전이 망하면 템트리변화를 어떻게주는게 좋은가요?
  • 아이콘 사슴소 | 처음부터 망했다고 가정한다면... 케이지의 행운을가셔서 데파로 업글하시는 것도 괜찮은 선택입니다. 도란도 2개이상 스택하시는것도 좋고요ㅎ
  • 강화하다망함 | [답글] 만약 컨이 어느정도된다면 노랑룬에다가 뭘더박는게 효율적인가요??
  • 아이콘 사슴소 | 일단 저는 3개의 룬페이지를 씁니다.
    마관/고방/고마저/고ap 인 스탠다드한 AP룬세팅과
    마관/성체/성ap/이속 인 논타겟챔프 상대용 이속룬세팅과
    마관/고방/성ap/고방 인 AD챔프 상대용 방어룬세팅 이렇게 3가지 종류를 사용합니다.

    공략에서 마관/성체/성ap/고ap 룬을 추천하는이유는 룬페이지 제한을 생각해서 어느 챔피언을 상대해도 크게 밀리지 않는 세팅이라고 생각해서 추천한 것이고 곧 있을 대규모 공략 수정에서 제가 쓰는 룬세팅을 비롯한 심화된 직스 공략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 아이콘 사슴소 | 파랑에 성장주문력룬을 사용할 경우라면 성장체력룬이 무난해 보입니다..
  • 프질 | [답글] 사슴소님 이제 직스안하시는건가?ㅎㅎ
  • 아이콘 사슴소 | 부계정과 번갈아가면서 하다보니 '사슴소'계정의 랭크게임 횟수가 적긴 합니다.. ㅠㅠ
    지금 부계정이 아마 1732고 본계정이 1736일꺼에요 레이팅이 ㅎ
  • 끝이없는한기 | [답글] 작성자야 시즌2 직스 한국 랭킹 1위는 피아제 인데 왜 너가 자칭 NO.1 이냐? 플레기 인건 잘해서 온건 알겠는데 피아제 직스 하고 1대1 한번 해봐 만약 니가 이기면 그공략이 뜰거야
  • 아이콘 사슴소 | '자칭'의 의미 아시나요??? 자칭의 뜻이나 알고 태클걸어주셨으면...
  • Blackteng | [답글] 저는 후반에 성배가긴하는데,,,성배대신 대천사는어떰?
  • 아이콘 사슴소 | 대천사는.. 마나부족을 커버하기위해서 가는 아이템으로 알고있는데.. 성배만 있어도 마나수급은 충분하기때문에 굳이 가실 필요가 없을 듯 하네요.. ㅎ
  • 활동중지회원 | [답글] 이건님이못하는거임 아리6렙전에는 라인전에서 직스가우위고 무빙만되면 아리는상대할만한데
  • KimchiLoL | [답글] 아니무슨 카운터가 미드마이말고는 없나 ㅋㅋㅋ 아리만나면 그냥 할짓이 없는데 갈리오도 답없는데 무슨 이 글에는 모든 챔피언을 이길 수 있다는 식으로 적어놨네
  • 아이콘 사슴소 | 쉽게 상대할 수 있다는 말의 의미는 '무조건 이긴다'가 아니라 '밀리지 않는다'의 의미인데 어떻게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지... 난독증 ㄷㄷ;
  • 드네 | [답글] 예전 투도란시절에는 몰랐는데 요즘은 투도란을 안가고 성배부터가다보니까 딜이부족하다고느껴서 저는 성장체력룬말고 마관에 올성장주문력룬을 박고하는데 효율성이 성장체력룬이 더 좋나요? 좋다고하시면 저도 바꾸려고요 ㅋㅋㅋ
  • 아이콘 사슴소 | 좋다고 말하긴 보단.. 직스를 처음하시는 분들이나 아직 미숙하게 사용하시는 분들은
    생존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위해 성체룬을 권장하였습니다.
  • 추임검 | [답글] 스웨인 상대로 모델로 갔는데 걍조져놨는데 중후반가서 모델로는 파는게좋조?
  • 아이콘 사슴소 | 요즘 추세로 보면 라인전에서 발렸을때 선 모렐로를 가주는게 좋습니다.
    평타를 치거나 그 이상 이득을 취하셨으면 데켑이나 성배 업글하시면 되고요 ㅎ
  • 추임검 | [답글] 스웨인 상대로 모델로 갔는데 걍조져놨는데 중후반가서 모델로는 파는게좋조?
  • 머리말 | [답글] 직스 스킬들이 재미가있어서 하고싶은데
    내가 못하는것도 있겠지만 너무 잘죽는거같음 ㅠ
  • 아이콘 사슴소 | 어려운게 사실이긴 합니다.. 직스가 ㅠㅠ
    하지만 생존의 문제만 잘 해결하면 OP챔프가 될 수 있어요 ㅎ
  • 아이콘 world | [답글] 조화의 성배다음 아테네 부정성배간다음 라바돈은 별로인가요
  • 아이콘 사슴소 | 제가 요즘 그 템트리로 플레이중인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아마 이 템트리로 공략 리뉴얼 될 것 같네요..
  • 한국산채소 | [답글] 하이머딩거 공략좀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사일 터렛으로 무지막지하게 푸쉬하니 상대하기 힘드네요....;;
  • 아이콘 사슴소 | 딩거가 1:1 강챔프이기 때문에 라인전에서 이기겠다는 마인드로 상대하기 보단
    아군 정글러를 호출해서 갱킹압박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 아이콘 Cyphers | [답글] 워모그 가는거 어때요?
  • 아이콘 사슴소 | 가본적이 없어서 확답을 못해드릴 것 같습니다... 저도 잘 모르겠네요 ㅠㅠ
  • 순진한안경뚱 | [답글] 밤에 피븝피 해봐야겠네요. 좋은공략 감사합니다^^
  • 아이콘 사슴소 | 감사합니다~
  • 다시와주라 | [답글] 덕분에 직스 재미있게 하고있습니다! 공략 감사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