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공략은 방관 효율에 대하여 알려드리기 위해 작성된 글이며, 챔피언 공략등은 다른 분들의 공략에 잘 나와있으니 SKIP
----------------------------------------------------------------------------------------------------------
2016. 02. 15 updated
드락사르 가세요. 현재 사기템이자, 암살자들을 위한 템이라 하는데, 오공도 ad 암살자로 분류할 수 있고, 제드나 탈론에 비해 훨씬 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 작성글의 아이템 효율 비교등을 다 망쳐버린 나쁜 템입니다.
아래의 분석글은 보지 않아도 이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이것도 귀찮으시면 바로 빨간 글을 읽으시면 됩니다.
요우무 + 멜모 기준 E평QR(4tick)로 발생시키는 딜이 1800에 육박합니다
( 드락사르 황혼검은 멜모 보다 높은 +75 AD 와 +10 방관이기에 계산되는 딜은 더 높습니다)
드락사르 황혼검이 2초동안 박는 딜에 25% 를 추가로 발생시킨다고 봤을 때,
넉넉하게 R을 빼고 계산해보면 1200부근입니다.
여기에 25%입니다. 즉 300 의 추가 딜이 박힌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멜모보다 공격력이 20이 더 높으니..
(솔직히 E평Q 하는데 2초도 안걸리기때문에 궁딜도 추가적으로 가산됩니다)
결국 2200이 넘는 딜을 2코어가 올린시점에 박아버릴 수 있습니다 .
/<--- 20160219 updated
확인 결과 e에는 일몰 효과가 시작되지 않습니다. 온힛의 경우만 일몰효과가 시작됩니다.(평타,Q)
시작되고 나서는 무슨 스킬이건 평타건 체력로스의 25%+ 90이 적용됩니다.
다만, e에 일몰이 적용되지 않는다하여도 2초라는 시간동안 오공의 스킬콤보 e평qr
사이에 딜이 충분히 적용되기 때문에 기존의 딜계산과 크게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E평QR을 한다면
E평(일몰적용)
QR 에 의한 2초간의 딜 추가 적용
이 됩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영상 편집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분석은 탱탱한 나서스 봇으로 한번 매끈한 루시안 원딜 봇으로 한번 테스트 한 결과입니다
-------->/
즉,요우무+멜모의 E평QR 로 발생시키는 오공의 딜을 1750이라고 계산했을때
요우무+드락사르는 2200 이상의 딜 효과를 가져온다고 보면 됩니다.
드락사르는 너프가 필요한 템인건 분명하지만 하위템을 봤을 때 방관은 변경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25%가 아닌 10%만이라도 적용된다면 오공한테는 여전히 꿀템이 되겠죠.
현 시점에 방관 오공으로 정하셨다면
1. 요우무
2. 드락사르
3. 멜모(상대편이 올AD 인경우는 블클)
: 고정방관 +40, 룬 방관 +14, 특성 방관 +6(10 렙기준) = 고정 방관 60
: Q방관 30% 적용시 딜러 방어력 최대 88을 0으로 만듬
: 해당 방어력을 18렙 기준으로 넘기는 원딜러는 얼건 가는 이즈 외에 거의 없음.
4. case by case
: 이제는 위 3개의 템만 가도 극딜 오공이 됩니다. 나머지는 벤시,망자, 가엔 같은
방템을 추천합니다.
으로 올리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탑 라인전에서 고통받아도 참으세요. 드락사르 나오면 상대편 딜러들은 한결같이 "?" 를 찍습니다.
아직 익숙치 않아서 확실치는 않지만, 예전처럼 E평QR 콤보를 활용하여
궁으로 최대한 딜러에게 딜을 박고 타겟이 되는 상황이 아닌 궁으로 적 챔프들을 긁으면서 탈출을 해도 목표로 했던 딜러는 이미 삭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목표로 한 딜러를 빠르게 죽이면 죽일 수록 궁을 활용한 탈출 및 포지션 선정이 훨씬 유리할것이니까요.
이제 자주는 못하지만 오공에게 변화가 생기면 다시 작성하러 올게요 건승하세요 ㅎㅎ
그리고 다음 번에는 밑의 아이템 비교도 대폭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ㅅ*
(해당 이미지는 드락사르 나온 시점부터 작성 직전까지의 골드 구간 오공 기록입니다.
해당 구간에서 만나는 분들은 전시즌 골드 플레 분들이더군요)

PS. 한판 진것도 드락사르 나오고 제가 역전해보이겠습니다를 말하는 순간
같은편 아군 4분께서 서렌을 시전하셨습니다....
똥싸면 치울려고 노력을 해야지.. 나쁜 니달리 빅토르

----------------------------------------------------------------------------------------------------------
*********************************************************************************************************
****** 하기의 분석은 드락사르 나오기 전에 작성된 글입니다. 살짝 수정은 하였으나 어찌됬건
****** 그 점은 양해해주시고 봐주시면 됩니다.
****** 아이템 밸런스 붕괴 양아치 템 드락사르는 너프가 확실시 되는바 그이후에 계산식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
[참고]
해당 계산은 라인전 압박하고 솔킬 여러번 따고 하는 잘 성장한 오공이 아닌,
그냥 무난하게 성장했을 시점의 오공을 기준으로 합니다.
계산식이 보기 힘드시다 하신 분들은, 3번째 항목(3. 2코어로서의 템 비교)을 바로 봐주셔도 됩니다
들어가기 앞서
: 오공이 라위 변경으로 인하여, 방관 오공이 안 좋아졌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이렇게 글을
: 작성합니다. 하기의 내용을 먼저 작성하고 분석한 결과, 라위의 변경이 '딜러삭제'를 목표로 하는
: 방관 오공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오히려 전보다 방관 효율이 좋을 수 있음)
0. 방관 템에 대하여
: 많은 분들이 플레이 상에서 체감을 했을 수도 있지만,
: 근접 챔프가 방관 템트리를 올리는 경우에는
: 중 후반에 탱커들을 상대하기가 매우 껄끄럽습니다.
:
특히 요놈만 나와도 힘들죠. (개인적으로 나서스를 얼심이 나오기 전과 후로 구분합니다.
얼심나오면 방관 오공으로 절대 못잡는다고 생각할 정도로 )
: 그 이유는 방어력이 딜에 적용되는 (y = x/(100+x), x는 방어력, y는 딜로스 비율)
: 공식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해당 공식에 대한 그래프는 생략하겠습니다.
: 요약만 하자면 해당 공식을 이용해서 방어력이 올라갈 수록 y값이 떨어지는
비율(미분 값으로 해석이 가능) 이 점점 감소하죠
: 따라서, 방관템트리는 딜러를 상대할 때 특화된 템트리라는거 고려 해주시길 바랍니다
1, 요우무가 나오는 시점
: 일반적으로 오공 렙 9, 상대편 원딜러 렙 8
: 이 시점에 원딜러가 가지는 방어력 50 초반
: 오공이 가지는 능력치는 공격력 160. 방관 룬 포함 35 , Q방관 20%
: (개인적으론 7렙부터 Q를 E보다 먼저 찍어서 25%정도 나옴)
계산해보면,
= 53 - (53/4) = 40 //Q 방관 적용, 특성 7% 적용 곱연산으로 25% 적용
= 40 - 15 - 20 = 5 // 룬 방관 15 , 요우무 방관 20적용
= 5 // 최종적으로 원딜러가 갖는 방어력은 5 정도 됨.
여기서 방어력을 적용한 딜 감소율을 적용해보면
Y= X/(100+X) , X = 5
Y= 4.7
오공이 160의 평타를 날릴 경우 153 정도의 딜이 박힌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딜로스가 거의 없게 되죠.
: E평QR 로 발생하는 딜
1.E평
= (320(E) + 160(평)) - X (X는 Q 방관 적용전 딜 로스)
= 480 -X
2.QR
= 270(Q) + 360(R, 4틱기준) - Y
= 630 - Y
3. E평QR
= 1110 - (X+Y)
. 원딜 피는 렙 8~9 사이에 1200정도입니다.
. X 딜로스를 80정도로 잡고 Y 딜로스를 20 정도로 잡아도
. 실제로 1000이라는 딜을 순간적으로 줄수있습니다.
. 따라서 E평QR E평 으로 혼자서 원딜을 삭제하실 수 있다는 거죠.
: 실제 이 렙에서는 아직 봇 라인전이 이뤄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오공에게 점멸이 있을 경우 봇 직선 로밍을 통해서 원딜과 함께
순식간에 적 봇듀를 잡아낼 수 있는 딜이 됩니다.
: TIP. 점멸과 요우무를 갖춘 오공이 봇 직선갱을 갈 시에 거의 확정 로밍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상대방이 보이지 않는 근처까지 가서, W + 요우무 + E (거리가 모자르면 점멸 +E ) + 평QR
탑이 봇에 직선 로밍을 간다는 것은 상대방으로선 예측하기가 힘듭니다.
탑에서 미아핑이 나온다면 미드는 긴장을 하겠지만, 봇은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쓰니까요.
: 해당 로밍은 텔을 들었을 때 좋습니다. 로밍 성공 시키고, 집갔다가 텔로 라인복귀.
: 물론 상대방이 라인을 압박하고 있지 않다면, 그냥 걸어서 라인 복귀해도 됨.
: 텔이 아닌 점화를 들었을 경우는 정글에게 백업을 부탁하던지, 상황을 보고 가야한다는 점.
2. 2코어가 나오는 시점
: 오공이 무난하게 성장을 했을 경우, 2코어는 13~14렙정도에 나오며 이 순간 원딜의 렙은 12렙 부
: 원딜이 12렙일 경우 방어력은 65 정도
: 오공 공격력 180, 방관 룬 포함 35, Q 방관 30 %
: (2코어 미설정) , 3번항목에서 비교예정
계산해보면,
1) 방관 효율 계산
[1]Q방관+특성방관 적용
= 65 - (65* 35/100) = 42.25
[2]요오무 및 룬 고정 방관 적용
= 42.25 - 35 = 7.25
[3] 실제 딜 감소율
= 100* (7.25/107.25) = 약 7%
2) 실제 발생하는 딜 ( E평QR 기준 )
[1]E평(E, 3 단계)
= (330(E) + 180(평)) - X (X는 Q 방관 적용전 딜 로스) = 510 -X
[2]QR
= 380(Q) + 680(R, 4틱기준) - Y ( Y는 Q방관 적용후의 딜로스, 위의값에서 7%로 도출)
= 1060 - Y
[3]E평QR
= 1570 + T - (X+Y) // T : 2코어 추가 공격력으로 인한 피해량
3) 모의값을 통한 추론
: 일반적인 12렙 기준 원딜의 체력은 1400.
: 기존에 구한 7%값을 Y에 대입해보면, Y는 대충 74정도 나옴
: X 값은 대충 120정도이고, 계산해보면
: K = 1386 +T , K는 딜러에게 박히는 최종 딜값
: 투코어를 올린 시점으로 계산했지만, 투코어는 없다 가정하고 계산하였는데도,
: 이미 원딜은 삭제 직전 까지 갑니다.
: 그리고 T의 값은 E,평,Q,R 에 각각 계수별로 묻은 값들이 추가되기때문에
: 100 이상을 잡아도 될만큼 큰 값입니다.
: 즉, 이미 충분한 방관 및 그로 인한 딜량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2코어로서의 템 비교
* 오공 13~14렙 기준 위에서 도출된 K= 1365 +T (K= 딜러에게 가해지는 최종 딜 기대값) 의 딜 계산식에 의한
1) 블클
: 공격력 55에 의한 딜 증가
: E 공격력 (+추가 AD 0.8) 증가 +44 평타 +55 Q 공격력 (+AD 1.1) 증가 + 60, R(1tic 당 30, 초당 60)
: Q방관 적용 전과 후 E(44 -> 33), 평타(55->42), Q(60->57) , R(1tic 당 28)
( 블클의 5% 방관은 계산이 약간 까다로워서, 실제 봇전에서 SIMULATION을 통해 추정을 해봤습니다)
: 추정 T(블클로 인한 공격력 증가) 값
= 244 + a
: 추정 K값
= 1630 ~ 1680, 3% 오차범위내
2) 삼위일체
: 공격력 25에 의한 증가 및 주문 검 효과로 인한 딜량 증가
: E 공격력 계수 증가 + 20 , 평타 및 주문검 효과 +(25 + 197) , Q 증가 +27.5
: Q 방관 적용 전과 후 E(20 -> 14), 평타(20 +151) Q 25.5 , R( 2tic당 25.5)
: 추정 T(삼위로 인한 공격력 증가)값
= 261.5 : 추정 K값
= 1647
3) 멜모셔스의 아귀
(자세한 계산 식은 생략하겠습니다. 위의 계산에서 예로들었던 원딜 방어력 65를 기준으로합니다)
: 공격력 55에 의한 딜 증가 , 고정 방관 +10 추가, 고정 방관 최종 45
: 기본 E평 510 + 44 + 55 = 609 에 방관 적용 5/6 적용시 506
: 기본 QR 1060 + 60 + 120 = 1240 , Q 방관 적용시 실제 방어력 0
: 추정 K값
= 1746
* Simulaiton Test (오공vs 5원딜 봇 전을 통해 실제 요우무 + 멜모 장착 시 원딜 삭제 까지)
- 체력 1400 ~ 1500 부근의 그브 삭제시 걸린 콤보 : E평QR(3 tick) , 궁은 1초당 2tick 총 8tick
- K값 - 170( 1tick/4tick ) =1546 , 식이 틀렸나 걱정하면서 돌려봤는데 얼추 비슷하네요 쫄보라..
--------------------------------------------------------------------------------------------------------
2016.02.15 added
4) 드락사르의 황혼검
: 추정 K값
= 1800 + a (a : 2초동안 입힌 물리 피해의 25% + 90, 추정 400)
= 2200 !!!
--------------------------------------------------------------------------------------------------------
4) 견해.
--------------------------------------------------------------------------------------------------------
2016.02.15 added
드락사르의 황혼검 때문에 아래의 견해가 다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딜 하나만 놓고봐도 너무 압도적인 딜차이가 발생하는 지라..
하기의 견해는 이제 3코어로써의 경쟁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요우무->드락사르 황혼검 -> 이후의 견해로 봐주세요 ^^
--------------------------------------------------------------------------------------------------------
[1] 삼위와 블클
: 실제 계산 값과 게임상에 적용되는 값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두 템간에 딜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 결국, 블클은 5%(총 30%)의 전방위 방깍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고,
: 삼위는 이속, 공속, 치명타 등의 다른 특성들이 붙어있다는 것을 보고, 상황에 맞춰서 가면 되겠습니다.
[2] ★삼위와 블클에 비교한 멜모의 효율
딜량
: 딜러에게 실제 박히는 딜량 기준, 블클과 삼위는 약 1650 정도, 멜모는 1746 으로 계산 되었습니다.
(해당 딜 값은 요우무 + 2코어 템만을 가진 경우라는 점)
: 즉 거의 100 차이의 딜을 더 박는다는 것이죠. 딜러의 체력을 생각해봤을 때 매우 큰 수준입니다
(실제 체력의 7~8% 수준이며 이는 딜러에게 힐,점멸 등의 스펠로 살아갈 확률을
극히 줄인다고 볼 수있습니다)
방어효과
: 삼위는 체력 +250, 블클은 체력 +300, 멜모는 마법저항력 +55 & 생명선 효과
: 올 AD 상대로는 당연히, 멜모의 효율은 최하. 물론 올 AD이면 게임은 어지간해선 이김..
가격 비교
: 멜모(3250) > 블클(3500) > 삼위(3800)
: 킬개념으로 보면 맬모 와 블클은 대충 1킬 로스, 멜모에서 삼위는 2킬 로스
효율 및 견해
: 가격을 무시하고서도 딜의 측면에선 멜모가 다른 두 템보다 훨씬 좋습니다.
: 무난하게 컸어도 코어템 두개를 딜로 올리는 순간, 지금부터는 딜러도 끊어주고 한타 이득도
: 봐야하는 순간이죠. 시간이 흐를 수록 방템트리 가는 챔프들의 성장력이 더 크기때문에...
: 게다가 멜모와 삼위간에는 550원의 차이가 있는데 이 돈은 사실 퍼블을 해도 벌 수 없는 돈이라는점..
151127add: 또한 맬모는 하위템으로 먼저 톱날단검을 올려 초중반부터 방관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151127add: 상황에 따라선 주포를 먼저 올릴실 수도 있는데 이는 템의 유동성을 가져다 준다는 점에서
151127add: 추가적인 장점을 가져다 준다고 볼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견해로는 이니시를 걸어 한타를 열 경우, 딜러를 조금 더 빠르게 삭제할 수록,
: 오공의 생존력이 더 높아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멜모가 생존력 측면에서도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 실제로 딜러 삭제 실패 시, 상대 챔프들한테 들어오는 딜을 생각해보면, +250~+300은 거의 없는값이죠
: 상대 미드나 탑 라이너 등이 AP챔이면 멜모의 효율은 더 올라가는게 당연하겠죠.
: 저의 분석과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로는, 방관 오공에게 있어서 셋중 2코어로 가장 좋은 템은,
: 멜모 인 것 같습니다. 제가 다마첼 구간을 가보진 않아서 모르겠지만 브실골플에선
: 2코어 시점에 블클을 가서 한타 시에 '전방위' 방깍을 통해 팀이 보는 이득보다,
: 멜모를 가서 한타시에 딜러를 '순식간에' 삭제 하는 것이 팀에 좀 더 큰 보템이 되었습니다.
: 추가적으로 요우무 + 맬모를 가게 될 시에, 딜러 방어력이 70 초반을 형성하는 중후반 까지 거의 방어력이
: 0에 수렴하게 되며, 이런 방관은 현 프리시즌 이전의 라위에 요우무를 간 경우와
비슷하거나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 입니다.
Tip _ 계산된 딜에 의한 중 후반 리븐 상대법
: 리븐과 오공은 뭔가 묘하게 닮았으면서도 다른 그런 챔프인데요.
: 계산된 E평QR 콤보의 딜값은 대충 1600~1700입니다.
: 초반 라인전 딜 교환에서는 리븐의 스킬이 모두 있을 경우 맞딜에서 오공이 이기기 힘듭니다.
: 거꾸로 Q스킬이 한번이라도 빠지던가 기폭발을 쓴 시점에 E로 들어가면 오공이 손쉽게 이깁니다
: 중반 이후의 딜교에서는 약간의 팁이 있다면, 여기서는 선빵 당하는 쪽이 진다. 라는 것
: 특히 오공이 W 와 요우무를 키고 다가가서 E평QR의 스킬콤보를 할 경우,
: 브실골플에서 반응하는 리븐이 흔치 않다는점 빨라도 Q가 박힌 시점에 기폭팔을 쓴다는 점
: 일반적으론 궁이 돌아가는 시점에 스턴을 맥이던지 할텐데 스턴이 맥혀도, Q에어본이 들어와도,
: 오공의 궁은 꺼지지 않습니다. 즉 리븐이 궁키고 기폭발하고 Q 하고 할 시간에 리븐은 죽습니다.
: 거꾸로 부쉬에 숨어있던 리븐이 궁키고 점멸 기폭팔로 먼저 다가올 경우,
: 바로 R을 쓰지 않는 이상, E평Q,EQ 혹은 Q평E 등을 쓰는 도중에 R도 못켜보고 죽습니다.
Tip 2 _ 요우무가 꿀템인 이유
: 요우무에 의한 공속 40%가 적용되고 E공속 50%가 적용되면
: E와 Q 사이에 평타가 굉장히 빠르게 나갑니다. 실제로 저는 한타시에도 E평Q를 무리없게 씁니다.
: 위의 리븐상대법도 그렇지만 일반적인 딜러 암살은 무조건 요우무를 켜주고, 스킬 사이에 평타를 섞으면
: 딜러들은 버텨내기 힘들것입니다.
4. 효율로 본 3,4코어 추천템
1) 서론
: 1,2코어 + 신발 을 갖추고 3코어를 올리는 시점은 무난하게 성장한 오공일 시에, 게임은 후반에 접어듭니다.
: 게임이 후반부에 접어들었다면, 두가지 선택이 남죠.
㉠ 조금 더 딜을 올려, 캐리력을 강화한다
㉡ 탱을 올려, 생존력을 강화한다.
: ㉠,㉡ 두가지 경우 중에 어떤 것을 올려도 뭐가 더 좋다 라고 말하기는 애매합니다. 상황에 맞춰 가는게
: 가장 좋겠죠. 여기서는 기존에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그 상황에 적용 시켜보겠습니다.
2) 요우무 + 맬모 + 3코어 + 4코어
: 요우무와 맬모에 적용되는 고정방관은 30, 방관룬으로 적용되는 값은 14, Q방관, 파쇄의일격 35% 등의
: 값을 통해 저희는 원딜러가 방어력 70 부근에서 실제 방어력이 0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봤습니다..
: 3코어를 올렸을 부근에 원딜러는 실제 70 초중반 됩니다.
: 즉 2코어에서 3코어로 올라가는 시점에는 꾸준히 원딜을 순삭 시킬 수 있다는 점.
A. 추천 공템 - 블클★★★,헤르메스★★★ 헤르메스★
a. 블클( AD +55, 추가 방깍 5% ~ 30%,체력 +300)
: 준수한 공격력과 추가 방어력 감소로 극 후반까지 딜러들을 녹일 수 있게 보장해줍니다
: 또한 후반부는 한타가 많이 생긴다는 점에서 전방위 방깍은 아군 딜러들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 적이 '한타'조합이고 우리 팀이 스플릿에 맞다면 삼위일체도 좋다는 것.
b. 헤르메스( AD +75, 마방 +35, 해로운 효과 제거)
: 3코어는 아니고 4코어정도로 올려보고 있습니다.
/** 151207 added
: 3코어 또는 4코어
: 오공의 성장이 빠를 경우, 블클의 방관은 요우무 멜모의 방관에 의해 딜러에게 적용되는 부분이
: 사실상 미미하며, 따라서 상황에 따라 3코어로 올릴 수 있음
**/
: 방관이 거의 적용 되어, 방어력을 0에 수렴되게 맞춰버리면, AD +75는
: 기존 오공의 공격력 대비 대략 +25% 향상이라는 깡패효과를 가져옵니다.
: +75AD를 가져오는 템들(피바,굶주린히드라)중에서 해로운 효과 제거가 좋아서 요즘 자주 가보고 있습니다.
: 모르가나 같은 챔프들이 있을 경우, 좋은 효과를 발휘하더라구요.
/** 151207 added
: 헤르메스를 여러번 사용한 결과, 개인적으로 재평가를 하게되었습니다.
: 기존엔 헤르메스의 시미터를 방해효과 제거 + 아이템중 가장 높은 ad 값 증가를
: 고려했었는데, 액티브 효과 발동시 추가로 적용되는 1초동안 50% 이속의 증가가
: 이니쉬 상황의 오공에게 아쉬운 3cm의 거리를 좁혀줍니다.
: 저의 경우, 적 원딜을 물려고 할 때, 점멸이 없는 경우엔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았는데
; 이 Active 효과는 점멸이 없을 시에도 오공이 막판 추진력을 얻게 해주는데 엄청난 효과를 줍니다
: 이는 애쉬,케틀,징크스 등 스턴,슬로우,속박등의 딜러는 물론이며, (수은 효과)
: 이즈,루시안 같이 이동 스킬이 있는 애들에게도 역시 주효하게 발휘될 수 있습니다.(50%이속증가)
: 기본적인 콤보는 같습니다. 디코이 + 요우무 후 달려가서 거리가 부족하거나 cc기에 걸렸을 경우
: 헤르메스 시미터 효과 Active 시키면 됩니다.
: 한번의 한타가 게임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순간이 온다면, 이 헤르메스는 오공에게 주요한 코어템으로
: 추천드리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입니다.
**/
B. 추천 방템 - 망자의 갑옷★★, 벤시★ ,스테락 ★
a. 망자의 갑옷 (체력 +600, 방어력 +50)
: 맬모의 마방 +50과 더불어 방어력이 +50이 되면서, 균형 잡힌 방어력을 형성합니다.
: 고유지속효과에 이속은 역시 오공이 디코이를 활용한 이니시에이팅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실제 요우무를 키고 달려갈시에 이속의 추가가 필요한 지는 의문
b. 스테락 (체력 +500, 기본공격력 +25%)
: 스테락이 좋은점은 오공이 이니시에이팅을 걸었을 경우, 궁이 4tick 즘 진행된 순간
: 상대 챔프들로부터 폭딜이 들어옵니다. 이때, 스테락의 분노효과는 거의 발생한다고 보면 됩니다
: 맬모의 생명선과 함께 발동되면 더욱더 좋은 생존기 및 추가 딜을 박을 시간이 생기는 것이죠.
c. 벤시 (체력 +500, 마법저항력 +70)
: 벤시는 특히나 적에 cc기가 많은 경우에 좋은 템이라고 볼 수 있죠.
: 오공같이 돌진해서 궁을 쳐박는 챔프같은 경우에, 벤시같이 한번의 cc기를 무시해 줄 수 있는
: 것이 좋은 효과인 것 같습니다.
: 무엇보다 상대방 ap챔프가 잘큰 경우 맬모와 함께 ap딜 측면에서는 무서울 게 없는 마방을 갖추게
: 됩니다.
C. 비추천 템 -히드라 굶주린 히드라, 필멸자, 도미닉
a. 히드라 , 굶주린 히드라
: 하단의 이미지를 보시면, 재미난 사실을 하나 볼 수 있습니다.
: 브론즈 실버에선 굶주린 히드라가보이는데, 그 상위티어에서는 히드라가 사라진 점.
: 참고로 오공은 피흡 효율이 좋은 편이 아님
: 오공이 이니쉬에이팅을 할경우 오공의 피는 거의 풀피를 유지하며 이경우에는 피흡 효과는 없다 보면되고
: 피흡효율을 보려면, 이니쉬에이팅의 역할보단 후진입의 역할로서 다른 템트리와 곁들이는 것이 좋음
: 이점이라면, 라인 유지 및 푸쉬가 향상된 다는것
: 히드라가 약간 너프를 받았다고 해서, 현재 히드라 분포가 저렇게 나오는 것 같은데
: 이전 시즌4,5에선 브론즈 실버에서 히드라 비율 순위는 거의 1,2등을 다퉜었음..
: 오공은 방관템의 효율이 제일 좋기에 굳이 간다면 4,5코어로 가보심이..
(FOW.KR 의 자료에 의하면, 블클은 상위티어갈수록 순위가 약간 씩 밀리는 것이 보일 텐데요)
(요즘 오공의 템트리로 요우무 이후에 다양하게 가는 시도들이 많이 발생해서로 보입니다.)
(마스터에서 맬모 하위템인 주포가 나왔다는 점은 해당 공략에서 봤을때 상당히 반갑네요)
b. 라위 상위템 (필멸자, 도미닉)
: 저도 가끔 갑니다. 그런데 절대 3,4코어로는 안 갑니다. 마지막 템으로 올리는 경우는 있지만..
: 라위가 기존 35% 방어력 감소에서 추가 방어력 관통 +40%로 바꼈는데,
: 기존 라위보다 방깍 효율이 좋을려면 추가 방어력이 800~900 이상을 넘어야 하는 시점이고
: 해당 방어력은 사실 말도 안되는 수치이기에.. 또한 그만큼 실제 방관에 미치는 영향이
: 미비 합니다. 수학적 계산식을 많이 쓰면 안 좋아하신다는 것은 알지만..
: 실제 방관이라는 놈이 딜러에게 효율이 좋다는 것은 방어력이 딜로스에 미치는 영향인
: x/(100+x) 라는 식을 한번 그려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것입니다. %로 감소시켜도 특정 방어력
: 이상을 넘긴 탱커에겐 효과가 크게 없어집니다. 오공이 치명타를 터트릴것도 아니고 해서..
: 즉, 추가 방어력 관통 +40%라는것이 수치상으론 커보이지만, 실제 딜러에겐 거의 무의미한 점.
: 그리고 3,4코어에는 부족한 딜이나 방어력을 보충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부분에서 비추천 드립니다..
5. 추천 템트리
0) 방관 오공의 핵심 템 (주요도 순)



1) 1,2코어
( * 방관 오공의 경우, 요우무가 주는 효율 및 유틸성은 상상을 초월
기존엔 야몽->라위->요우무를 갔지만, 이제는 요우무를 1코어로 올려도 충분한 딜과 방관효과를 줌)
1-1 : 상대편 딜러중 AP 딜러가 있을 시 - 일반적인 경우 및 본인이 가장 애용하는 1,2코어


1-2 : 상대편 딜러가 올 AD이거나, 한명 있는 AP딜러가 망했을 시

맬모 대신 블클, 하기의 3,4코어에서도 맬모를 빼고 조합하면됨
2) 3,4코어
2-1 : 2코어 까지 올린 시점에, 본인의 캐리각이 나온다면
(* 잘 큰 경우, 요우무 + 맬모 만으로 충분한 방관 효율을 보여주며, 헤르매스의 +75 AD 를
순수한 딜 자체로 즐길 수 있음 또한 헤르매스로 CC기를 풀어 딜을 좀더 지속 시킬 수 있음)
2-1-1: 
+
(상대방 CC기가 좋은경우)
2-1-2: 
+
(한타조합)
2-1-3:


+


(극딜)
2-1-4: 
+
(극딜2, 상대방 cc기가 빈약할 시) -- 151127 added
*2-1-4는 수치적으로 가장 좋은 딜을 뽑을 수 있으나, 거대한 히드라의 액티브 발생 후
E평QR에서 평타를 반드시 넣어줘야 그 딜을 뽑을 수 있습니다.
2-2 : 2코어 까지 올린 시점에, 무난하게 컸거나 약간 못 큰경우
2-2-1: 
+
(무난하게 큰 경우)
2-2=2: 
+
(약간 못 큰 경우)
2-3 : 망했으면 고기방패가 제일 좋음. 방어력 제일 낮은 원딜조차 삭제가 안됨.
사실 2코어로 맬모조차 올리기 힘들고,




등의 템을 상황에 맞춰서 올리는것이 가장 무난함
3) 필자가 일반적으로 가는 경우 -- 151127 added
3-1 : 무난하게

+
3-2 : 라인전에 이미 압승을 하고 멜모를 올리는 시점에 혼자서 5~6킬을 먹고 있다면

+ 
6.★★★ 결론
딜러 삭제를 목표로 하는 탑 오공으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통해 하기와 같은 결론을 내보았습니다.
1) 딜러 삭제의 측면에서 초중반에는 블클 보다 맬모가 효율이 좋다.
㉠. 요우무와 맬모의 고정 방관 30은 오공 Q 및 룬 방관과 함께 적용 되어
중반까지 딜러의 방어력을 0에 가깝게 만든다.
㉡. 맬모가 블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하위템(톱날단검, 주포)이
주는 유동성 역시 맬모가 더 좋다
2) 라위의 변경이 방관 오공의 직/간접적 너프를 의미하지 않는다
㉠. 초중반까지 요우무 맬모로 여전히 딜러 방어력을 0에 수렴하게 만들수 있다.
또한 블클까지 갔을 경우 극 후반까지 충분한 방관 지수가 나옴.
㉡. 기존 오공은 야몽>라위>요우무의 템트리를 탔는데, 이 사이에 주포를 올리게 될 시에
코어 템이 올라오는 시간 및 딜로스가 발생. 하지만 현 프리시즌에서는
요우무를 선으로 뽑거나 주포를 먼저 뽑아도 되는 등 상황에 맞는 유동성이
오히려 더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맬모와 요우무의 하위템 중 톱날 단검은 동일하므로)
이상입니다!
그럼 오공이 롤챔에 나오는 그날 까지 오공으로 건승하세요~ "우끼끼끼"
[Item 조합 Test]
** 해당 식은 요청 사항에 대한 계산을 해보는 것으로 계산식이 싫다 하시는 분들은 버리셔도 됩니다.



..
1)
vs
(레몬** 님이 말씀해주신 거드라 블클 삼위조합에서 거드라를 요우무와 비교해봄)
+
: E(330) +평(207+k) - a + Q(378) + R(338/2tick) -b
= 915 +k + 338/2tick - (a+b) ,(200
* a= (915+k)*50/150,
371.67
= 543+ 338/2tick - b
+ 
: E(342) +평(226) - a + Q(399) + R(364/2tick) -b
= 967 + 364/2tick - (a+b)
* a= 967 * (50-20)/(150-20)
= 967 * 30/130
= 223
= 743 + 364/2tick - b
:: 결론 > 블클과 거드라의 조합보다 요우무와 블클의 조합이 200이상을 넘어가는 딜 차이를 보여줍니다
q뎀+ 궁뎀 로스 값 b를 제외하고도 이미 200의 차이를 보여주며, b값은 방관이 더 적용된,
요우무 블클 조합이 훨씬 낮습니다. 추가적으로 요우무가 거드라보다 400원 저렴. 다만 거드라에는
450의 체력이 붙어있다는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