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 구간 20승 4패 여눈 카이사 공략 (마나무네 폭갈 템트리 비교)
| Logik | 조회: 30,876 | 작성시간 05-22



9.9에서 마나무네 상향 이후로 카이사가 써보면 어떨까 해서 시작했는데
다이아 4에서 허덕이면서 카이사 승률이 51%정도에 불과했던 제가 고승률을 달성하는 걸 보고
이 빌드가 좋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아이템 빌드에 관해서 주로 이야기하고 싶어서 공략을 쓰게 됐지만
공략은 공략이니까 다른 이런저런 이야기들도 쓰게 됐네요.
읽어보시면 카이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룬은 취향이라서 집공을 들던 기발을 들던 상관 없다고 봅니다.기발의 장점은 라인전이 좀 편해진다는 점과 카이팅이 편해진다는 점이고
집공의 장점은 교전이 세진다는 점, 한타에서 앞라인부터 정리하는 구도에서 더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승전보는 교전이 잦은 경우에 좋고,
과다치유는 딜교환이 짧게 단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좋습니다.
카이사는 핓빛길과 도란검을 제외하면 흡혈이 없기 때문에
과다치유보다는 승전보가 일반적으로 더 좋긴 합니다.
카이사가 킬 결정력이 좋은 편이기도 하구요.
저는 카이사의 AD빌드가 더 효율적이라고 느끼기에 핏빛길을 택했지만
민첩함을 드셔도 좋습니다.
최후의 일격 또한 필수가 아니고, 탱서폿에 탱정글이다, 블라디 클레드같은 체력이 높은 챔피언들이 많다고 하면 체력차 극복을 택합니다.
최후의 저항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
비스킷의 체력회복이 필요 없다고 느껴지는 경우엔
마법 쪽에서 마순팔을 드셔도 좋습니다.
보통 힐을 들지만 여눈 카이사의 경우엔 마나무네의 구입 시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텔레포트를 활용해도 좋습니다. 아니면 힐을 들어도 유리한 교전을 열기 어려운 구도라는 생각이 든다면 텔레포트를 드시면 됩니다.
W는 계수가 높고 스킬 포인트를 투자해도 깡뎀이 증가하는 폭이 낮으므로 가장 나중에 찍습니다. Q는 핵심스킬이므로 가장 먼저 마스터해줍니다.
스킬 콤보
딱히 콤보라고 할만 한건 RW와 W점멸 외엔 없습니다.
RW를 연속해서 시전하면 R의 이동시간 중에 W를 시전하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W점멸의 경우엔 상대에게 대응할 시간을 주지 않기 위해서 사용하는데요
보통 저렙 교전때 w를 반드시 맞춰야하는 상황에서 종종 씁니다.
W 캐스팅이 끝날 즈음에 점멸을 써야 상대가 반응하기 더 어렵습니다.
스킬 활용 팁
Q - 이케시아 폭우는 체력이 낮은 미니언에 대해서 추가 피해를 입힌다는 점을 이용하면 라인을 효율적으로 밀 수 있습니다. 단일 대상에게 입히는 피해가 매우 높기에 교전시엔 분산되지 않도록 유의하셔야 합니다. 적 미니언이 많다면 함부로 싸우지 말아주세요. 혹은 궁이나 e스킬로 위치를 조정해서 q가 한명에게만 닿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W - 공허추적자는 데미지가 높아 맞출 경우 딜교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지만 남발했다가는 패시브 2스택을 중요한 타이밍에 쌓지 못해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교전이 벌어진 경우엔 w가 있고 없고에 따라 스택이 터지냐 안터지냐가 갈립니다. 쿨타임이 길기 때문에 포킹용으로 쓸 때는 신중히, 교전을 하지 않을 상황에서 써주세요.
투사체가 두꺼워서 미니언에 막히기가 쉽지만, 반대로 미니언만 없다면 맞추는 것도 어렵진 않습니다. 딸피 미니언에 q를 써서 라인을 지운 뒤 w를 바로 시전하거나, 라인을 지워서 시야에서 사라진 뒤 w로 포킹을 하면 상대가 피하기 어렵습니다.
E - 고속충전은 시전하면 잠깐동안 이동속도가 높아지며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됩니다. 스펠은 쓸 수 있지만 모든 스킬과 아이템 액티브를 시전할 수 없죠. 이 상태가 끝나면 4초동안 공격속도가 증가합니다. 기본 공격을 할 때마다 쿨이 감소하기 때문에 올라간 공격속도로 딜을 하며 쿨까지 줄이는게 가장 좋은 경우입니다.
딜을 하려면 e스킬을 써서 공속을 올려야 하지만, 동시에 은신 + 이동기가 빠진 상태가 되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스킬이니 신중히 사용하셔야 합니다. e를 썼는데 정작 평타를 때릴 수 없는 상황이 가장 애매한 상황이겠죠. 베인의 구르기와 비슷하지만 이 쪽이 더 쿨이 길기 때문에 조금 더 조심스럽게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R - 사냥본능은 먼 거리를 돌진함과 동시에 2초간 보호막을 생성합니다. 교전 합류, 교전시 상대 스킬 회피, 데미지 흡수, 대규모 한타에서 포지셔닝 등 무궁무진한 활용도를 지닌 스킬입니다. 초중반에는 궁을 쓸 때 신경쓸 일이 많지 않지만, 한타에서 어느 위치가 가장 좋은 위치인지, 즉 어느 위치에서 가장 중요한 대상에게 가장 높은 피해를 큰 위험 없이 넣을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넓은 시야와 높은 집중이 필요합니다.
나를 물러오는 전사나 암살자를 피해 적 딜러쪽으로 갈 수도 있는거고, 아니면 공격적인 위치에서 딜을 하다가 더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는 데에 써도 되겠죠. 그저 생존하는 데에만 쓰는 것도 안전한 선택이기는 합니다만, 그런 선택만으로는 이길 수 없는 게임도 있으니까 궁극기를 최대한 잘 쓰기 위해 한타의 구도를 머릿속에 그려보시고, 궁을 시전할 적절한 타이밍과 위치를 미리 생각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템 Items
시작 아이템
핵심 아이템
AD 치명타
AP

내셔의 이빨
공격 - [공격 속도]

존야의 모래시계
방어 - [방어력]

밴시의 장막
방어 - [마법 저항력]

라바돈의 죽음모자
마법 - [주문력]
먼저 마나무네와 폭갈을 비교하는 것으로 아이템 공략을 시작하겠습니다.
1. 스탯 : 마나무네의 AD가 상향되면서 챔피언의 최대마나가 1200정도에 도달할 때 부터는 AD가 폭갈만큼 높아집니다. 사실 마나무네의 마나 250과 마순팔 혹은 비스킷으로 높인 마나가 보태지기 때문에 마나무네를 구입한 시점부터는 AD가 충분히 높아 폭풍갈퀴와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폭갈엔 공속이 30% 붙어있지만, 마나무네는 700원이 더 쌉니다. 700원어치 공격속도는 단검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28%입니다. 따라서 폭갈과 마나무네는 스탯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패시브: 폭풍갈퀴는 충전 상태를 강화해줍니다. 효과 35% 강화에 더해 둔화 효과가 추가되죠. 마나무네의 패시브는 AD증가이므로 무라마나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패시브가 없는 셈입니다.
3. 템 올리는 과정: 폭갈은 BF를 살 1300원이 모으기 힘들다는 대수롭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마나무네는 마나무네를 사기 전, 사파이어 수정이나 여신의 눈물만을 구입한 타이밍에 딜로스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어차피 카이사는 라인푸쉬력이 높기 때문에 마나가 거의 필요없는 스탯이라는 걸 생각하면 꽤 큰 단점입니다.
4. 진화: 마나무네쪽이 q진화가 700원 빠르고, 대신 폭풍갈퀴를 올리는 편이 e진화가 800원에서 1400원정도 빠릅니다.
5. 무라마나 완성 이후 데미지
폭풍갈퀴 DPS 422/ 합계 피해량 1628
무라마나 DPS 542/ 합계 피해량 1984
고속충전을 킨 뒤 4초간 딜한 상황을 비교했습니다.
깜빡하고 무라마나쪽에 도란검을 추가하지 않았음에도 DPS가 30%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루난까지 올라가면 무라마나 패시브가 3배로 터지는 만큼 DPS가 또 벌어지겠죠.
무라마나의 높은 AD와 시너지를 갖는 치명타 아이템들이 나오는 타이밍이 700원씩 앞당겨진다는 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후반 DPS는 마나무네쪽이 훨씬 우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마나무네 빌드는 폭갈 빌드와 스탯은 비슷한데 패시브가 없는 채로 15분정도를 버티면
후반에 훨씬 센 것으로 보상을 받습니다.
그러니까 그 15분간 폭갈의 패시브가 필요한 판이냐, 없어도 되는 판이냐가 판단 기준 중 하나가 되겠습니다.
또한 귀환을 했을 때 돈이 얼마가 모여있냐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1300원이 모여있을 때 원딜에게 BF만큼의 효율을 보이는 아이템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때 BF 대신 곡괭이+마나수정을 사는 것은 마나무네 전까지 정말 아무 일 없이 파밍만 하는 상황이 최고일 것이라는 판단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그런데 돈이 계속 애매하게 1000원 이하로 모인다면 마나무네를 가는 쪽이 오히려 나을테니
맘편히 마나무네 올리시고 존버하시면 됩니다.
이후에는 진화를 위해서 곡괭이를 산 뒤 구인수까지 업그레이드를 해주시고 나서 필요한 아이템에 따라, 챔피언 구성에 따라 AD 치명타 빌드나 AP빌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AD 빌드는 한타에서 광역딜이 AP에 비해 훨씬 높은 것과 시미터를 가도 딜로스가 없다는 것이 장점이고
AP 빌드는 E진화가 빠르다는 것, W 진화가 된다는 것, 그리고 존야/밴시를 가도 딜로스가 없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라인 / 정글 운영법
초반 운영법
중반 운영법
후반 운영법
팀파이트시 역할
챔피언별 대응법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