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략] 당신의 상처를 치유하겠어요! 괴밀아 하베트롯 공략

게임뉴스 | 전상후 기자 |
하베트롯은 요정 5시즌 업데이트와 함께 등장한 5성 요정이다. 외형부터 부위의 명칭까지 완벽하게 의료 업계에 종사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베트롯은 본체, 의료 기구, 재활 기구 총 3개 부위로 구성돼있으며, 강력한 물리 공격을 기반으로 플레이어들을 위협한다.

탈위스테그와는 정반대로 모든 공격이 물리 공격으로 구성돼있으며, 각 부위의 공격에 맞을 경우 회복량이 줄어든다. 기본 물리 공격력이 상당히 높지만, 공격력 상승 버프가 없어 물리 공격 감소 디버프와 물리 방어 버프만 제대로 둘러준다면 난이도가 크게 하락한다.

하베트롯 공략에 성공하면 얻을 수 있는 하베트롯은 가희 진영 바람 속성 3코스트 회복용 카드다. 각성 스킬 사용 시 아군 전원의 체력을 4,051만큼 회복시켜주고 사용자의 체력이 50% 미만인 경우 회복량이 늘어난다. 광역 공격을 맞고 체력이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회복량 상승 카드와 함께 사용하면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 하베트롯 기본 정보



▲ 의료 기구 (좌측), 본체 (중앙), 재활 기구 (우측)

하베트롯은 본체, 의료 기구 (좌측), 재활 기구 (우측) 총 3개 부위로 구성된 강적으로, 모든 공격이 물리 공격 기반이다. 따라서 부호와 도적은 물리 공격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본체가 짝수 턴마다 광역 공격을 하므로 물리 공격 감소 디버프를 본체에 걸어두면 생존에 크게 도움이 된다.

의료 기구 (좌측), 재활 기구 (우측) 두 부위는 명칭은 다르지만 사용하는 스킬은 동일하다. 공격을 받으면 해당 부위의 방어를 올려주고, 공격을 받지 않으면 단일 대상에 10,000의 물리 피해를 주고 회복량을 낮춘다. 가희에게 각 부위의 공격이 들어갈 경우 회복량이 낮아져 아군의 체력 관리가 힘들어진다.

공략에 변수가 될 요인이 없어 공략이 굉장히 쉬운 요정이다. 매 턴 마다 양쪽 부위에 피해를 줘서 공격을 봉인하고, 물리 공격 감소 디버프와 물리 방어 버프를 유지하면서 카드를 순환한 뒤 광역 공격으로 일거에 모든 부위 파괴를 하는 식으로 공략이 진행된다.

양쪽 부위를 파괴하더라도 별도의 발악 패턴이 없으므로 안심하고 부위 파괴를 진행하자. 다만 기본 공격력이 높다보니 버프와 디버프가 아예 없는 상황이라면 가희가 아군 체력을 관리하기 버거워진다.


■ 하베트롯 부위별 특징

하베트롯 (본체) : 본체는 2종류의 스킬을 사용한다. 매 홀수 턴에 사용하는 블러드 애널라이즈는 단일 대상에 12,000의 물리 피해를 주고 가한 피해의 1.5배만큼 본체의 체력을 회복한다. 매 짝수 턴에 사용하는 페이탈 어택은 파티원 전원에게 21,600의 물리 피해를 준다.

짝수 턴마다 강력한 광역 공격이 들어오므로 도적은 최대한 물리 공격 감소 디버프를 유지하도록 하자. 로벨을 덱에 포함했다면 짝수 턴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하베트롯은 공격력 버프를 사용하지 않는 강적이라, 도적과 부호가 조금만 방어에 신경쓰면 가희의 회복 부담도 줄어들고 사망할 일이 거의 없다.



▲ 자칫하면 위험한 상황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의료 기구 (좌측) / 재활 기구 (우측) : 의료 기구와 재활 기구는 매 턴마다 단일 대상에 물리 공격을 하는 부위다. 스킬명은 로보토미로, 단일 대상에게 10,000의 물리 피해를 주고 회복량을 낮춘다. 회복을 전담하는 가희가 맞을 경우 아군의 체력 복구가 힘들어진다.

두 부위는 공격을 받을 경우 로보토미 대신 도파민 주입과 엔돌핀 주입이라는 스킬을 사용한다. 도파민 주입은 해당 부위의 물리 방어를 올리는 스킬이고, 엔돌핀 주입은 해당 부위의 마법 방어를 올리는 스킬이다. 물리 공격을 받은 경우 도파민 주입을 사용하며, 마법 공격을 받으면 엔돌핀 주입을 사용한다.

대개 매 턴마다 두 부위를 모두 공격해서 로보토미 스킬을 막는데, 용병이 광역 공격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피해를 단 1만 주더라도 공격을 봉인할 수 있으므로 속성은 신경쓰지 말고 광역 공격 카드를 4장 정도는 준비하자.



▲ 받은 피해와 같은 종류의 방어도가 상승한다


■ 하베트롯 공략법(세력별 정리)

◆ 용병

위에서 언급했듯이 속성 무관 광역 공격 카드를 여러 장 준비하도록 하자. 성배의 엘레인이나 신춘형 오이페, 제2형 온즈레이크 등 3코스트 광역 공격 카드를 준비하고 매 턴마다 사용해주면 좌우의 공격을 억제할 수 있다. 만약 본인이 물리 용병이라면 허무형 이터널 프레임을, 마법검 용병이라면 제2형 온즈레이크를 원기옥에 사용하면 된다.

만약 버프를 누적할 때나 본인의 핸드에 광역 공격 카드가 잡히지 않았다면 빠르게 지원 요청을 해서 부호나 도적이 부위를 공격하도록 하자. 만약 본인이 광역 공격 카드가 없거나 부족하다면 최대한 저코스트의 불 속성 공격용 카드를 많이 준비해서 양쪽 부위 모두를 공격해야 한다.



▲ 신선하게 용병으로 돌아보았습니다



▲ 용무룩..

추천카드 :











◆ 부호

부호는 물리 방어 버프 카드와 불 속성 공격용 카드를 6대4 에서 7대3 정도로 준비하는 것을 권장한다. 공격용 카드는 용병이 도움을 요청할 경우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방어 버프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한다. 만약 화연형 퍼시발을 보유하고 있다면 6~7코스트 (4~5턴)에 용병과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베트롯 전에서 특이형 디트리히는 매우 좋은 카드다. 3턴간 대상의 물리 공격을 낮춰서 짝수 턴에 본체에 사용하면 광역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불 속성 체인 연결도 보조할 수 있다.



▲ 방어 버프는 꾸준히 지속하자

추천카드 :











◆ 도적

도적은 물리 공격 감소 디버프를 최대한 준비하고 나머지 카드는 불 속성 공격 카드로 준비하자. 본체에 계속해서 디버프만 걸어줘도 생존에 큰 도움이 된다. 부위 공격이 필요한데 부호가 지원이 힘든 상황이라면 용병의 요청에 따라서 공격 카드를 사용하자.



▲ 디버프는 좋은 대화 수단이죠

추천카드 :











◆ 가희

하베트롯 전에서는 짝수 턴마다 광역 공격이 계속 들어오므로 광역 회복 카드를 여러 장 지참해야 한다. 가희의 공격력 버프 카드들은 불 속성이라 체인 성립이 쉬우니 6~7코스트 (4~5턴)에 사용해서 아군의 공격력을 끌어올리도록 한다. 체인을 맞추기는 힘들지만 아군 전원 회복과 동시에 물리 방어도를 올려주는 화연형 도적 아서는 하베트롯 상대로 사용하기에 좋은 카드다.

추천카드 :












▲ 꺄륵! 2장 획득

▶ 하베트롯 공략 간단 요약

1) 좌우 부위에 계속해서 공격을 이어주어야 하므로 용병은 광역 공격 카드를 여러 장 준비하자.

2) 짝수 턴에는 광역 공격이 들어오므로 물리 공격 감소 디버프와 물리 방어 버프를 둘러주자.

3) 별도의 발악 패턴이 없으니 부위 파괴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