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해결한다! 충분히 밥값하는 R등급 식신 추천

게임뉴스 | 이문길 기자 | 댓글: 5개 |
음양사에서는 희귀도 N등급부터 SSR등급까지 많은 수의 식신들이 존재한다. 당연히 높은 등급으로 가면 갈수록 성능이 좋은 편이지만, 모두가 SSR이나 SR을 원하는대로 뽑을 수 있지는 않다.

다만 높은 희귀도의 식신을 뽑지 못하더라도 R등급 내에서도 어느정도 쓸만한 전력을 보유한 식신들이 있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뽑기로 뽑을 확률이 SSR이나 SR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각성이나 스킬 레벨업 상승은 훨씬 빨리 끝마칠수도 있다. 육성에 따라서는 갓 뽑은 SR등급의 식신 정도는 개의치 않을 정도로 강해질 수 있는 셈이다.




▲ 음양사의 엄친아 다이텐구. 하지만 모두가 그를 뽑을 수 있는것은 아니다





■ 각성까지 고려해도 좋다! S급 식신

■ 좌부동자 - 도깨비불 수급에 한해서는 SSR도 따라올 수 없다!



▲ 도깨비불 수급에 한해서는 SSR등급의 식신도 따라올 수 없다!


좌부동자는 도깨비불을 수급해주는 보조형 식신으로 도깨비불은 식신들이 스킬을 쓰기 위해 필요한 소모값이다. 즉, 좌부동자는 아군의 다른 딜러나 회복 식신들이 스킬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도록 연료를 수급해주는 연료 탱크라 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조합은 스토리나 탐색에 쓰이는 조합보다 5마리를 사용하는 어혼, 각성 던전, 결계 돌파 등이며, 필수는 아니더라도 가급적 힐러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좌부동자가 도깨비불을 공급하는 주요 스킬인 [전화위복]은 자신의 체력의 30%를 소모하는 것으로, 아무 피해를 받지 않더라도 스킬을 3번만 사용하면 빈사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힐러가 없다면 단순히 1회용 도깨비불 연료 탱크 역할밖에 할 수 없으므로, 지속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힐러와 함께 사용해야한다.

이외에도 일반 공격 역시 50% 확률로 도깨비불을 하나 추가해주며, 각성을 하게되면 생기는 [복운번영] 스킬은 패시브 스킬로서 전투 시작 시 자동으로 도깨비불을 추가로 획득한다. PvE나 PvP 모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셈으로 특별히 좋은 식신을 얻지 못했다면 우선 순위로 육성해도 무방하다.

단점은 체력과 방어력에 치중되고 나머지 스탯이 최하급인 식신이라 공격적인면은 전혀 기대할 수 없고, 스킬 자체의 위험 부담이 있기 때문에 탱킹을 해주기에도 부족한데, 이는 방어 어혼을 착용하거나 피해 감소 옵션 등으로 보충해주자.


■ 산토끼 - 아군 전체의 속도 UP! PvP의 에이스


▲ 각성이 그리 어렵지 않을뿐더러 성능도 매우 뛰어난 산토끼. 무엇보다 귀엽다!


산토끼는 아군 전체의 속도를 올려주는 버퍼이자, 적 1명을 확률적으로 행동 불능으로 만드는 디버퍼 딜러다. 공격적인 스탯을 지니고 있으나 떡두꺼비(?)의 장갑 덕인지 은근히 잘 버티는 편이며, 범용성도 좋다.

우선 핵심 스킬인 [토끼춤]은 각성 효과로 등장하는 스킬로 아군 전체의 행동 게이지 30% 증가 공격력 10% 증가 등 상대보다 먼저 공격할 수 있게 한다.

선타 필승이라 할 수 있는 PvP에서 아군 식신들이 먼저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것만으로도 강력한데, 추가로 공격력까지 올려주기 때문에 실제 효과는 엄청나다.

행운의 고리 스킬은 단일 대상 공격 스킬로 10%의 확률이지만 적을 행동 불능 상태로 만드는 강력한 디버프를 시전한다. PvP에서 변수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장의 카드라 생각하면 된다.

단점이라면 핵심 스킬인 토끼춤은 각성 후 쓸 수 있으므로, 키울 거라면 각성까지 생각하고 확실히 키워야 하며 어중간하게 키울거라면 처음부터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각성을 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유용하다! A급 식신


■ 반디풀 - R등급 힐러의 꿈과 희망!



▲ 반디풀이라도 있고 없고가 엄청나게 차이난다



힐러가 없어 고통받는 유저에게 빛과 소금과도 같은 식신이다. 에비스나 모모카 등 유명한 힐러 식신을 얻기 전까지 충분히 써먹을 수 있는 식신으로 무엇보다 각성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밥값을 한다는 것이 장점이다.

각성 없이도 쓸 수 있는 광역 힐링 스킬인 치유의 빛이 있으며, 반디풀 본체 자체도 흡혈과 피격 회복 등 든든하게 버틸 수단이 갖춰져 있다.

다만 회복 스킬인 치유의 빛은 특이하게 체력 계수가 아닌 공격력 계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즉, 회복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회복형 식신과 달리 체력을 높이는게 아니라 공격력을 높여야 한다.

이점은 가끔 재미있게 작용되어, PvP에서 반디풀이의 공격력을 얕보다가 생각보다 높은 평타 대미지에 화들짝 놀라기도 한다.

물론 제일 좋은 세팅은 역시 모든 치유 효과를 20% 상승시켜주는 나무요괴 세팅이지만, 자신이 특이한 것을 좋아한다면 극 공격형 식신으로 키워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 꽃조개 - 힐러 대체용이자 PvP의 두 번째 에이스!


▲ 어혼 던전에서 유저에게 짜증을 선사해주는 식신인 꽃조개



꽃조개는 디버프 겸 유사 힐러로 아군을 강화시키고 지키는데 유용한 식신이다. 역시 반디풀과 마찬가지로 각성을 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우선 일반 공격부터가 상대의 속도를 떨어뜨리는 감속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패시브 스킬로 자신이 피해를 받으면 아군 전체의 치명 피해를 상승시킨다.

핵심 스킬인 생명 연결은 아군 모두의 생명을 공유하여, 피해를 균등하게 나눠받게 하는 것이다. PvE나 PvP 모두 유용한 스킬로 일점사를 방지해주며, 적이 원하는대로 공격할 수 없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힐러가 없더라도 아군 모두의 체력이 균등하게 유지되며, 빠르게 승부를 펼쳐야하는 PvP에서는 평범한 힐러보다 더 고효율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상대의 공격력이 압도적인 던전이라면 오히려 일점사보다 더 독이 될 수 있으며, 생명 연결에 꾸준히 도깨비불을 소모하기 때문에 연비가 좋지 않은 편이다.



■ 잉어요정 - 세이메이와 영혼의 듀오


▲ 스테이지 공략과 초중반까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식신


잉어요정은 공격과 체력, 그리고 속도가 빠른 보조형 식신으로 적 한 명을 속박하거나 혹은 아군을 보호하는데 특화된 식신이다. 특징으로 주요 스킬들이 모두 미니 세이메이라고 해도 좋을만큼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방울 보호막의 경우 세이메이의 [언령-수호] 스킬과 똑같이 아군 전체를 지키는 보호막을 생성하는 스킬이다. 음양사 캐릭터를 세이메이로 쓰고 있다면 이중 보호막을 사용하여 힐러 없이도 아군을 든든하게 보호할 수 있다.

추가로 물방울 감옥은 역시 세이메이의 언령-속박술과 흡사한 스킬로 적 1인을 2턴 동안 물방울 감옥으로 가두며 지속 피해를 입히는 스킬이다. 역시 세이메이와 함께 한다면 적 2명을 동시에 바보로 만들 수 있다.

식신 자체의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PvP에서도 먼저 상대의 주요 식신 한 명을 묶고 시작할 수 있고, 초중반까지 세이메이와 스킬 시너지를 노려 노힐러 조합의 선봉장으로 활약할 수 있다. 육성에 따라서는 철벽에 가까운 보호막과 감옥을 생성하는 수준에 이르기도 한다.

단점은 물방울 보호막과 감옥 모두 도깨비불을 3개나 소모하기 때문에 아군의 도깨비불 운영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며, 준수한 스탯을 지니고 있으나 공격이나 방어 모두 어중간한 느낌으로 특별히 애정이 없지 않은 이상 오래 붙들고 키우기는 애매한 편이다.


■ 갓파 - 외모와는 다른 강력한 광역 딜러



▲ 생긴건 정말 N등급으로 오해받게 생겼지만 의외로 강력한 딜러다



외모와는 달리 상급의 성능을 지니고 있는 광역 딜러다. 생긴것은 N등급 식신이라고 불려도 할 말이 없을 정도지만, 매턴 공격력이 상승하는 패시브 스킬과 100%에 달하는 광역 공격으로 캐리 머신으로 활약하는 식신이다.

첫 번째 스킬인 [맑은 물]은 공격력이 매턴 15%씩 최대 60%까지 증가하는 패시브 스킬이며, 스킬 레벨이 상승할수록 5%씩 증가하여 최종적으로는 120%의 공격력 상승율을 지니게 된다.

두 번째 스킬 강의 노래는 적 전체에게 물폭탄을 던져 96%의 피해를 입히는 광역 스킬로 패시브 스택이 어느정도 중첩된 후 사용하면 설녀의 어중간한 딜링을 싹 잊게 만들만큼 강력한 대미지를 볼 수 있다.

단점은 스택이 중첩되기 전까지는 평범한 딜러1에 가까우며, 광역 딜링이 들어갈때쯤이면 아군이 이미 적을 다 정리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우녀 - PvP 및 결계 돌파에서 활약하는 디버프 식신


▲ 탐색보다는 PvP에 어울리는 식신이다.



PvP용에 가까운 식신으로 탐색에서는 그다지 큰 효과를 볼 수 없다. 다만 PvP로 가면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상태 이상 스킬과 속도가 중요한 PvP에서 광역 디버프를 걸 수 있는데다, 상대의 버프를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무척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정화의 비]는 패시브 스킬로 자신에게 걸린 디버프는 매턴 제거하고, 주력 스킬이라 할 수 있는 하늘의 눈물은 상대에게는 속도 감소 디버프를 광역으로 시전하는 것과 동시에 상대의 버프를 제거한다.

즉, 한 턴 한 턴 누가 더 빨리 공격하느냐가 중요한 PvP 대전에서는 속도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인데,속도를 올려주는 산토끼와는 반대되는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거기다 적군의 버프 및 아군의 디버프까지 제거하므로, 상대가 단순 버프 식신을 사용한다면 상성상 지속 싸움에서 우위에 설 수 있다.

물론 자신은 PvP 콘텐츠보다 탐색 및 육성 콘텐츠를 주력으로 삼겠다면 딱히 키울 이유는 없다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 갑옷무사 - 전형적인 도발 탱커!



▲ N등급 아니다. R등급 식신이다



갑옷무사는 게임에서 희귀한 축에 속한 도발 스킬을 광역으로 시전하는 탱킹형 식신이다. 일반 스테이지를 진행하다보면 만날 수 있는데, 도발의 위용에 많은 유저들을 당혹시키는 식신이기도 하다.

일반 공격부터가 방어력의 160%로 피해를 주는만큼 방어 어혼 세팅이 요구되며, HP가 일정 수치 깎이면 패시브 효과로 방어력이 상승하기도 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스킬은 세 번째 스킬인 [철벽 방어]인데, 시전 즉시 적 전체를 도발하며 자신의 받는 피해를 감소 시킨다. 도발당한 적은 60%의 확률로 다음 행동 시 강제로 갑옷 무사를 공격하게 되는데, PvP에서는 아군 주요 식신을 지키기에 더할나위 없는 스킬이다.

스킬 레벨이 올라가면 받는 피해가 점점 줄어들어 최대 25%까지 경감시킬 수 있는데, 추가로 회복형 힐러가 있다면 무한 도발을 시전하여 상대의 멘탈을 박살낼 수 있다. 속도도 S등급이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 빠른 턴을 잡을 수 있어 도발 스킬을 시전할 수 없으리란 걱정도 필요없다.

단점은 역시 스킬 레벨을 비롯하여 육성이 보장되어야 제 성능을 발휘한다느 점으로 기본적인 성능면에서는 아쉽지만 잘만 육성한다면 PvP나 일반 탐색에서나 맹활약을 펼칠 수 있다.



■ 나는 지금 당장의 성능보다 더 큰 그림을 그리겠다! 육성형 식신


■ 토리코 - 자신의 체력을 태워 아군을 살린다!



▲ 사실상 힐러의 마지노선격이라 할 수 있는 식신 토리코



토리코는 회복형 식신으로 자신의 체력을 소모하여 다른 아군의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독특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사실상 힐러가 없는 초보의 마지노선격인 식신으로 초반에는 자신이 회복시키는 체력보다 소모되는 HP가 더 높다.

생명의 제물 스킬의 레벨이 상승할수록 회복 효율이 높아지며, 자신의 소모되는 HP도 줄어든다. 진가를 보기 위해서는 참을성을 가지고 오랫동안 육성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스킬 레벨을 올리면 는 것이 단점으로 실제 그렇게까지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식신은 아니다. 힐러가 상당히 희귀한 게임이니만큼 초반에 힐러가 없다면 아쉬운대로 사용하는 용도라 할 수 있다.




■ 엽전생쥐 - 나는 부우-자가 될거야!



▲ 자신이 큰 그림을 그린다면 한 마리 정도 키워보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추천할 R등급 식신은 엽전생쥐다. 성능만 보자면 그리 특출난 것 없이 평범한 편이다. 일반 공격은 적중한 상대의 치명타 확률을 20% 깎는 디버프기라는 점이 특이하며, 두 번째 스킬인 돈벼락은 약간의 운이 따라워야 제 위력이 나오는 광역 스킬이다.

다만 각성까지 오게 된다면 제물신의 축복이라는 새로운 스킬이 생기게 되는데, 이 스킬은 전투 승리 상황에서 금화 획득량을 8% 증가시켜주는 패시브 효과가 엄청난(?) 효과가 달려있다.

초반부에는 그다지 금화가 필요할 일이 없고, 주는 양도 적지만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금화의 소모량이 많아지므로 큰 그림을 그리는 유저라면 한 마리 정도 육성해보길 바란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