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의 게임 플랫폼(ESD) 스팀이 지난해 자체 녹화 기능을 추가한데 이어 오랜만에 편의성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스팀은 금일(1일), 스팀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면서 자체 '성능 모니터링' 기능을 공식으로 추가했다. 이를 통해 게이머들의 시스템 활용도 및 분석 편의성 역시 대폭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새롭게 추가된 성능 모니터링 기능은 ▲ 프레임 레이트(FPS) 실시간 표시는 물론, DLSS 또는 FSR을 통해 생성된 프레임과 실제 게임 프레임의 상세 분석 ▲ 최소 및 최대 단일 프레임 값 ▲ 시간 경과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 그래프 등을 제공한다. 또한, ▲ CPU 및 GPU 성능 정보 ▲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 등 핵심 하드웨어 지표까지 포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단일 FPS 값'부터 'FPS, CPU, GPU 및 RAM 전체 세부 정보'까지 총 네 가지 상세 수준을 지원하며, 인게임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정보 표시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설정 옵션으로는 단일 FPS 값으로 화면을 작게 유지하거나, 색상 채도, 텍스트 크기, 배경 불투명도 조절이 가능하며, 시간별 FPS 그래프 및 코어별 CPU 사용량 표시 기능도 제공되어 게이머들이 자신의 시스템 성능을 더욱 면밀하게 파악하고 최적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자체 '성능 모니터링' 기능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스팀 게임 내 성능 모니터링 업데이트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밸브는 해당 기능에 대해 "오늘 출시한 업데이트는 스팀 사용자가 게임과 시스템 성능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첫 번째 단계"라면서, "향후 성능 오버레이에 일부 데이터를 추가하여 일반적인 하드웨어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상황을 감지하고 Shift + Tab 키를 누르면 오버레이 자체에 게임 성능에 대한 더 자세한 요약이 표시되는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