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 엔픽셀 "웹3 게임, 코인 필수 아니야"

게임뉴스 | 윤홍만 기자 |



블록체인을 도입한 웹3 게임이라고 하면 대부분 은연중에 한 가지를 떠오르곤 한다. 토큰(코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웹3 게임은 자체적으로 토큰을 지원하며, P2E 요소를 웹3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삼곤 한다. 그렇다면 토큰이야말로 블록체인의 핵심이자 웹3 게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까.

27일, 이러한 의문에 엔픽셀의 고정환 본부장이 답했다. 한국게임미디어협회가 주최하고 지디넷코리아가 주관한 '대한민국 NFT /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에서 고정환 본부장은 블록체인의 핵심은 토큰이 아닌 새로운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이라면서 그들이 개발 중인 '그랑사가 언리미티드'의 사례를 통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랑사가 언리미티드'는 풀리 온체인 웹3 MMORPG를 목표로 한 게임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상에서는 언제, 얼마나, 어디로 토큰이 이동했는지가 모두 기록되며, 이를 트랜잭션(거래내역)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들을 통칭해서 온체인 데이터라고 한다. 즉, 풀리 온체인이라는 건 아이템을 비롯해 게임 내 모든 데이터가 온체인에 기록된다는 걸 의미한다.

이렇게만 보면 좀 더 블록체인의 영역이 확장됐을 뿐 기존의 웹3 게임과 크게 다를 게 없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큰 차이가 있다. 바로 토큰 여부다. 장르를 떠나서 크고 작건 간에 대부분의 웹3 게임은 어떤 식으로든 토큰을 지원했지만, '그랑사가 언리미티드'는 정반대다. 자체적인 토큰을 발행하지 않을뿐더러 그 역할을 인게임에서의 골드가 대신한다.

실제로 '그랑사가 언리미티드'의 골드는 기존 게임의 토큰과 유사한 부분이 더러 있다. 일단 기본적으로 발행량이 정해져 있다. 블록으로 구성된 골드는 10년에 걸쳐서 발행되며, 이후에는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다. 10년이 지나면 유저 간 거래로만 얻을 수 있다.




얼핏 이름만 바꾼 게 아니냐고 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그랑사가 언리미티드'의 골드는 인게임 내에서만 존재하기에 수익화가 불가능하다. 즉, '그랑사가 언리미티드'의 블록체인은 그간 웹3 게임의 핵심으로 여겨지던 코인과 그에 따른 P2E, 수익화를 배제한 순수 기술로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랑사가 언리미티드'에 도입된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어떤 식으로 게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까. 고정환 본부장은 "지금까지 많은 게임사가 게임에 대한 정보를 숨겨왔다. 하지만 블록체인상에서는 그럴 수 없다. 아이템과 골드 모두 온체인에 기록되며, 유저가 언제든 해당 데이터를 살펴보고 아이템 획득 확률 등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데이터를 숨기는 기존의 게임과 비교했을 때 신뢰를 구축하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장점으로는 영속성을 들었다. 골드 발행량을 조절함으로써 게임 내 인플레이션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저 간 거래를 활성화함으로써 라이프 사이클을 더 오래 가져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고정환 본부장은 "게임이 재미있다면 유저들은 더 늘어날 테고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유저 간 거래 역시 더 활발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유저들은 자산의 가치가 유지되니 좋고 게임사는 유저 간 거래에서 수수료와 더불어 라이프 사이클을 더 오래 이어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고정환 본부장은 웹3 게임에 대해 "진정한 웹3 게임이란 유저와 게임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더 나은 생태계와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이라면서 앞으로 블록체인을 잘 쓰는 게임이 미래의 게임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연을 끝마쳤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