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양발 ST 티어리스트 - 요즘 스트라이커에는 양발이 필수?

게임뉴스 | 김필재 기자 | 댓글: 32개 |
피파 온라인4에서 골을 결정짓는 최전방 공격수에게 양발의 중요성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특히 LN-셰우첸코, 지놀라 및 다양한 양발 선수들이 나오면서, 이제 짝발 ST를 사용한다고 하면 핸디캡을 안고 가겠다는 말과 비슷하게 들릴 정도다.

결국 공식 경기에서 이기고 싶다면 양발 ST를 먼저 생각하고 스쿼드를 짤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 접근성이 좋은 선수들과 해당 카드들의 절대적인 성능을 확실히 파악한다면, 본인에게 맞는 팀을 구성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는 5카로 티어 선정. 5카 가격이 100억 이하일 시 6카 기준으로 티어를 매김.
※ 대신 한 선수를 대상으로 시즌이 다르더라도 결정적인 차이가 없을시, 웬만하면 동일한 티어에 랭크.
※ 특정 카드의 강화 단계가 7~8카 정도로 높을 경우 티어를 더 높게 생각해도 무방함.
※ 전반적으로 가성비 및 급성비를 고려하지 않으나 너무 안 좋을 시 감점.
※ 너무 비싸서 가격 접근성이 떨어지는 카드들은 명단에서 제외.








SSS급
만능이거나 한 부분이 압도적이거나

스트라이커에게 필요한 부분들을 모두 높은 수준으로 갖추고 있거나 한 부분이 유독 특출나게 높은 수준이면, 최상위 등급인 SSS티어에 랭크했다.

22TOTS-호날두, 22TOTY-레반도프스키, LN-셰우첸코, 22TOTS-케인 모두 의심의 여지 없는 만능형 ST. 기본적인 침투는 물론 슈팅, 체감, 피지컬 심지어 연계까지 좋은 카드들이다. 특히 22TOTS-호날두의 경우, 이번 2022 FECC 드래프트에서 2순위로 뽑힐 정도로 성능을 인정받았다.

22TOTS, 22TOTY-손흥민의 경우 헤딩 플레이가 안 된다는 것이 아쉽다. 대신 매우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한 침투 플레이가 어떤 선수보다도 매섭고 중거리, 단거리, D, D~D, ZD 슈팅 모두 끝판왕급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때문에 해당 티어에 랭크했다. 22TOTS가 스탯상으로는 더 좋지만 22TOTY를 써도 큰 상관없다.



▲ 10월 18일, 상위 10,000명 기준 ST 사용률 순위.
가격이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SSS급 공격수들의 사용률이 매우 높다.
(출처 : 공식 홈페이지 데일리 차트)




SS급
매우 좋은건 맞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는

아주 뛰어난 수준인 것은 맞으나 SSS급에 비해서 확실히 아쉬운 부분이 있으면 해당 티어에 랭크했다.

12KH-박주영, 지동원이 물론 좋은 카드인 것은 맞다. 하지만 가성비적으로는 뛰어날지 몰라도 절대적인 기준에서는 매우 높게 평가하기는 어렵다. 박주영은 스피드가 빠르고 감아차기 능력은 좋으나 피지컬적인 능력이 조금 아쉽고 결정적인 찬스도 은근 많이 놓친다. 지동원은 피지컬적인 능력은 좋으나 체감, 연계, 밸런스 부분에서 부족하다.

요즘 LN-굴리트의 ST기용이 유행을 타고 있다. 나쁘진 않으나 최적화된 방법은 아니다. 기본적인 피지컬 및 스탯은 전혀 부족함이 없어 보이지만, 최전방에서 보여주는 오프더볼이 ST와 거리감이 꽤 있다.

22TOTS-레반도프스키의 경우, 온더볼에서의 퍼포먼스는 완벽에 가깝다. 체감 준수하고 특히 슈팅은 '이게 들어가?'라는 말이 자주 나올 정도. 다만 22TOTY시즌의 수준 높은 움직임을 보여주진 못해 해당 티어에 랭크했다.

LN-차범근이 ST 사용률 상위 10위안에 꾸준히 들 정도로 인기다. 신체조건이 큰 편은 아니고 중거리 감아차기가 조금 아쉽다는 점 제외하고는 높은 레벨의 카드라고 볼 수 있다.



▲ 박주영을 활용한 아스널 스쿼드.
그래도 가성비만 놓고 본다면 12KH-박주영이 1등이 아닐까.
(감독명 : 리바이브이원희)




S급
조금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좋은 선수들

아쉬운 부분이 있긴하지만 그래도 여러 부분에서 나름 괜찮은 퍼포먼스를 보여준다면 S급에 랭크했다.

21UCL-호날두는 급성비로 따지면 조금 아쉽긴 하나 성능만 본다면 충분히 만능형 ST의 역할을 해준다고 판단을 해서 해당 티어에 넣었다. 체감이 조금 둔하긴 하지만 양발 슈팅 매우 강력하면서 정확하고 헤더도 곧잘 해주는 편.

상위시즌 벤제마 2개를 해당 티어에 랭크했다. 벤제마가 물론 좋은 선수인 것은 맞지만 CAM한정으로 그렇지, 최전방 공격수로는 최적화되어있진 않다. 스피드도 침투형 공격수의 느낌이 나지 않으며 헤딩도 애매하다. 만약 쓴다면 중앙 공미에 기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에우제비우는 예전에 좋았던 선수이지 지금은 트렌드에 많이 뒤처진 선수다. 빠른 주력과 강력한 슈팅이 인상적이지만 원톱에는 버거운 피지컬, 아쉬운 감아차기 능력, 헤딩 경합 능력 부족 등과 같은 단점들이 존재한다.

지놀라가 은근 쓸만하다. 파리 생제르맹은 물론 프랑스 스쿼드에서도 CAM 내지 ST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큰 신체조건과 강력한 슈팅 한방이 매우 인상적이라 대회에서도 은근 자주 보이는 선수. 추천할만하다.



▲ 지놀라와 벤제마를 동시 기용한 프랑스 스쿼드.
(감독명 : 방배우)




A급
나름의 장점은 있지만 원톱 기용 부적합 및 급성비, 가성비가 안 좋은 경우

ST로서 나름의 장점은 있지만 대중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거나 급성비, 가성비가 많이 안 좋을 경우 해당 티어에 랭크했다.

FA-에토는 첼시 팀케미에 양발 메리트 덕분에 인기 있는 것은 알겠으나 S급 이상으로 점수를 주기에는 부족한 부분들이 많다. 일단 피지컬이 아쉽고 슈팅도 위협적이지 않아 양발 메리트를 살리기 꽤 힘들다. 게다가 이상하게 빠르다는 느낌이 나지 않고 체감도 좋지 않다. BTB시즌과 비교해봐도 양발인 점 제외하면 모든 부분에서 밀린다.

네덜란드 공격수 자원인 LN, BTB-크루이프와 ICON-클라위베르트 모두 A급에 랭크했다. 크루이프는 움직임이 매우 좋고 체감 및 골 결정력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나 피지컬 및 슛 파워가 약하다는 점이 매우 아쉽다. 콘클라위는 보여지는 신체 조건 및 스탯과는 다르게 쓰기가 매우 까다롭다. 기본적으로 첫 터치나 드리블이 매우 투박하며 움직임도 위협적이지 않아 쓰기 꽤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SPL-히샤를리송의 경우 토트넘 프리미엄 때문에 가성비가 좋지 않다. 21UCL-제코는 강화단계가 높으면 높아질수록 만능형에 가까워 지는 선수다. 5카 기준으로는 아쉬운 것이 사실. 22TOTS-데 토마스는 D슛 한정으로는 유사 레반도프스키 느낌난다. 하지만 특유의 투박한 체감과 아쉬운 감아차기 능력 때문에 보편적으로 추천하기는 어렵다.

LN-라이트, 달글리시, 22TOTS-조타, SPL-마네 각자의 장점이 있다. 라이트는 감아차기가 예술이고 달글리시와 조타, 마네 모두 침투가 위협적인 선수들이다. 하지만 모두 신체조건 때문에 투톱 한정으로 기용 가능하다는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 크루이프를 활용한 네덜란드 스쿼드.
크루이프를 활용하려면 LS, RS 또는 ST, CF활용으로 약한 피지컬 부담을 덜어줘야한다.
(감독명 : Envy새우왕)




B급
ST로 쓸만은 하지만 공격 옵션이 매우 제한적

최전방 공격수로 쓸만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공격 옵션이 매우 제한적일 경우 B급에 랭크했다. 현 메타는 특정한 방법이 잘 통한다는 것 없이 대부분의 공격 루트가 위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해당 특징은 큰 감점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21TOTS-바디는 침투는 좋지만 중거리 슛 및 감아차기가 안된다는 것이 아쉽다. 21TOTS-뱀포드, 폴란트 모두 나쁘진 않으나 둘 다 투톱으로 한정된 자원이다. 스탯도 그렇게 높은 수준도 아니다.

부트라게뇨는 스탯은 정말 좋으나 역시 제일 걸리는 부분은 피지컬. 최전방 공격수로 쓰기에는 휴지컬 수준이여서 원톱은커녕 투톱으로도 불안불안할 정도다. 톱보다는 윙으로 더 많이 쓰는 편.

21UCL-마네 톱 기용이 한 때 유행이었는데 추천하진 않는다. 스피드가 빠르다는 점 제외하고는 ST로서 적합한 부분이 딱히 없다. 슛 파워도 높지 않고 중거리도 아쉬우며 제공권도 안되고 감아차기도 절대 좋은 수준은 아니다.

팔카오나 제코같은 경우 5, 6강으로는 아쉽고 7, 8강 정도 되어야 좋게 쓸 수 있는 자원들이다. LH-차범근도 이와 비슷하다.



▲ MC-제코 8카를 활용한 인테르 스쿼드.
제코는 금카를 써줘야 빛이나는 선수다.
(감독명 : 생즉상공)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