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디버프 누적과 소모 타이밍이 핵심! 워록 강신 특성 PvE 가이드

게임뉴스 | 송성재 기자 | 댓글: 7개 |
■ 강신 특성의 특징

강신특성은 흑조, 태산, 암살의 3가지 강신술을 사용하여 버프 및 디버프(이하 스택) 중첩으로 피해를 증폭시키거나 확률적으로 발동하는 즉시전 연계스킬을 활용하는 전투스타일이다.

PVE의 경우, 긴 전투시간을 활용하여 최대한 많은 스택을 누적하면서 전투 후반에 폭발적인 딜링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높은 DPS를 달성할 수 있다.

PVP의 경우, 전투시간이 짧으므로 스택 누적에 의한 데미지 증폭 방식보다는 즉시전 연계 스킬을 통해 순간적으로 다량의 피해를 주는 전투방식이 적합하다.


■ 워록 PvE 주요 스킬

아이콘기술 이름기술 설명


공격5미터 안에 있는 적을 무기로 공격하여 공격력의 64%만큼 피해를 준다.


악몽대상에게 즉시 공격력의 24만큼 피해를 주고, 이후 12초 동안 2초마다 공격력의 10.9% 만큼 피해를 주는 저주를 건다.


죽음의 그림자대상에게 세 갈래로 어둠의 힘을 발사해 각각 공격력의 42만큼 피해를 준다.


원혼쐐기무기에 마력을 담아 5미터 안에 있는 적을 찔러 3회의 피해를 준다. 타격마다 공격력의 67% 만큼 피해를 입힌다.


강신술 - 흑조
(강신)
공격속도가 10% 빨라지고 받는 피해가 20% 감소한다. 강신 특성 공격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50% 감소하며, 발동 스킬 사용 시 스킬에 따라 50 또는 80의 마력을 회복한다.


강신술 - 암살
(강신)
치명타 적중력이 10% 만큼 증가하고 받는 피해가 20% 감소한다. 모든 발동 스킬의 발동 확률이 100% 증가하며, 적에게 치명타 적중 시 스킬에 따라 50 또는 80의 마력을 회복한다.


어둠의 징조대상에게 공격력의 124% 만큼 피해를 주고 10초 동안 대상의 방어력을 10% 만큼 감소 시킨다.


공허의 힘영구적으로 치명타 적중력이 10% 만큼 높아지고, 치명타 적중력의 30% 만큼 공격력이 크게 증가한다.


칠흑의 징조어둠의 징조 효과를 적용받는 대상에게 사용 시 50% 피해량이 증가한다.


차원 베기대상에게 빠르게 접근하여 공격력의 104% 만큼 피해를 주고, 10초 동안 대상의 이동 속도를 10% 감소시킨다. 공격을 받는 대상은 1초 동안 이동 불가상태가 된다. 어둠의 창 효과가 있는 대상에게 사용 시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대상을 1초간 기절시킨다.


영혼 붕괴대상에게 공격력의 187% 만큼 피해를 준다.


연옥주변 반경 5미터 안에 있는 모든 적에게 공격력의 94만큼의 피해를 준다.


암흑의 상처대상에게 공격력의 83% 만큼 피해를 주고, 10초 동안 치명타 적중력을 2% 만큼 감소시킨다. 이 효과는 최대 5중첩이 가능하고, 대상이 받는 암흑의 상처 스킬의 피해가 중첩당 30% 씩 증가된다. 이 스킬을 사용하려면 먼저 영혼 붕괴 스킬을 사용해야 한다. 사용 시, 현재 행동을 중단하고 즉시 실행한다.


집혼20초 동안 공격력이 10% 증가하고, 매초 자신의 마력을 10% 회복한다.


상처 심화암흑의 상처 스킬이 치명타로 적중 시, 대상에게 암흑의 상처의 피해 및 효과가 한 번 더 적용된다.


어둠의 창대상에게 공격력의 205% 만큼 피해를 주고, 10초 동안 대상의 이동 속도를 15% 감소시킨다. 공간 왜곡 스킬에 영향을 받고 있는 대상에게 사용 시 공간왜곡 효과가 사라지고 이동 속도를 30% 감소시킨다. 죽음의 그림자 스킬 사용 시 70%의 확룔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시 현재 행동을 중단하고 즉시 실행한다.


암운대상에게 공격력의 117% 마늠 피해를 입히고, 이후 10초 동안 대상의 적중력을 5% 감소시킨다. 공격을 치명타로 적중시킬 때마다 70%의 확률로, 5초에 한 번씩만 발동된다. 사용 시, 현재 행동을 중단하고 즉시 실행한다.


암흑 선고대상에게 공격력의 174% 만큼 피해를 주고, 5초 동안 매초마다 3초간 유지되는 암흑선고 효과를 최대 5중첩 시킨다.


정신 붕괴암운 스킬 사용 시 대상에게 적용되고 있는 암흑의 상처 중첩 수마다 피해량이 30%씩 증가한다.


집행대상에게 공격력의 155% 만큼 피해를 준다. 암흑 선고 스킬 사용 시 50%의 확률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암흑 선고 효과의 중첩 수에 따라 20%씩 데미지가 증가한다. 사용 시, 현재 행동을 중단하고 즉시 실행한다.


영혼 몰수대상에게 공격력의 187% 만큼 피해를 주고, 10초 동안 자신의 공격력을 3% 만큼 상승시킨다. 효과는 최대 5번까지 중첩할 수 있다. 대상에게 암흑의 상처 효과가 있을 경우 1개의 효과를 제거하는 대신 스킬 재사용 시간이 초기화된다.


핏빛 낙인집행 사용 시 3초 동안 모든 공격이 100% 치명타로 적중된다. 이 효과는 60초에 한 번 씩 발동된다.


환원대상에게 공격력의 187% 만큼 피해를 입힌다. 영혼 몰수 효과가 있을 때 사용 가능하며, 영혼 몰수 효과 중첩 수마다 20% 씩 피해량이 증가한다. 사용 시 영혼 몰수 효과를 1개 제거한다.


마력 쇄도강신 특성의 공격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이 즉시 초기화되고, 마력을 전부 회복한다. 이후 15초 동안 스킬을 사용해도 마력이 소모되지 않으며, 강신 특성의 발동 스킬들의 발동 확률이 100% 증가한다.



■ 강신특성의 PVE 전투

강신특성의 PVE 스킬들을 살펴보면 스택 누적형 스킬과 스택에 의한 대미지 증폭형 스킬, 그리고 스택 소모형 스킬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 가지 제약이 있다. 스택의 유지시간이 10초인데 스킬의 쿨타임 역시 10초라는 것이다. 따라서 쿨타임마다 자로 잰 듯 스택 누적형 스킬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스택 유지 및 중첩을 할 수 없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강신술-흑조' 스킬을 활용한다. 강신술-흑조 스킬은 공격속도를 10% 상승시키며, 강신특성의 공격스킬의 쿨타임을 50% 감소시킨다. 따라서 스택을 누적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 강신술-흑조



1. PVE 스킬연계의 특징

1) 암흑 선고-집행

'암흑 선고'를 사용하고 나면 50%의 확률로 '집행'이 발동된다. 그러나 암흑 선고 사용 전에 '마력 쇄도' 스킬을 사용하면 집행의 발동확률이 100%가 된다. 이를 이니시에이트에서 활용하면 집행을 반드시 발동시킬 수 있으며 집행의 부과 효과로 3초 동안 모든 공격이 치명타로 적중하는 '핏빛 낙인'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 암흑 선고 사용 시 50%의 확률로 집행을 사용할 수 있다.



▲ 3초 동안 모든 공격이 치명타로 적중하는 핏빛 낙인 효과, 하지만 60초마다 한 번씩만 발동된다.


또한, 집행 스킬의 데미지는 암흑 선고 디버프의 중첩에 따라 20~100%의 데미지가 증가한다. 암흑 선고 디버프는 암흑선고 스킬 사용 후 1초마다 1개씩 5초 동안 5개가 중첩되기 때문에 집행 스킬이 발동되더라도 시간 간격을 두고 디버프를 최대한 생성한 뒤에 사용하는 것이 높은 데미지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암흑 선고와 집행 사이에 다른 스킬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 암흑 선고 - 평캔 - 영혼 붕괴 - 평캔 - 어둠의 징조 - 평캔 - 5중첩 집행
예) 암흑 선고 - 영혼 붕괴 - 어둠의 징조 - 3중첩 집행



2) 영혼 붕괴-암흑의 상처

'영혼 붕괴'와 '암흑의 상처'는 확률 발동이 아닌 100% 연계 스킬이다. 영혼 붕괴는 특별한 중첩 효과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뒤에 이어지는 암흑의 상처는 최대 5중첩이 가능한 디버프를 가지고 있다. 이 디버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고 있다.




▲ 암흑의 상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혼 붕괴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


 - 1중첩당 치명타적중력 2%씩 감소
 - 1중첩당 암흑의 상처 스킬 데미지 30%씩 증가
 - 1중첩당 암운 스킬 데미지 30%씩 증가
 - 영혼 몰수 사용 시 1중첩을 소모하며 영혼 몰수 쿨타임 삭제



이 디버프는 기본적으로 1사용당 1중첩이 적용되지만, '상처 심화' 패시브 스킬을 배울 경우 암흑의 상처가 치명타로 적중되면 암흑의 상처 공격력만큼 추가 피해를 발생시키며 한번에 2개의 디버프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영혼 몰수를 활용한 딜사이클에도 연관이 있으므로 숙지해 두는 것이 좋다.

특히 이니시에이트 상황에서는 암흑 선고-마력 쇄도-집행 콤보에 의해 3초간 모든 공격을 치명타로 적중시킬 수 있는 핏빛 낙인 효과가 발동된다. 이를 활용하면 암흑의 상처 스킬을 100% 치명타로 적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2중첩 효과를 바로 획득할 수 있다.


3) 암흑의 상처-암운-영혼 몰수-환원

'영혼 몰수' 스킬은 1중첩당 공격력을 3%씩 증가시키는 중요한 버프 스킬이나 기본 쿨타임이 15초, 강신술-흑조상태에서 7.5초나 되는 쿨타임이 긴 스킬이다. 이 버프를 5중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0초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암흑의 상처 스킬을 활용해 짧은 시간에 이 버프 효과를 다량으로 중첩할 수 있다.




▲ 두 스킬의 스택 누적에 따라 강신특성의 위력은 크게 변화한다.


영혼 몰수 스킬은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적용된 대상에게 사용할 시에 쿨타임이 삭제된다.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남아있는 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대신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하나씩 삭제되므로 암흑상처가 남아있지 않은 대상에게 영혼 몰수 스킬을 사용하여 쿨타임이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없을 때에는 영혼 몰수 스킬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이렇게 누적시킨 영혼 몰수 버프 효과를 이용하여 '환원'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환원 스킬은 영혼 몰수 버프 1중첩당 20%씩 최대 100%의 데미지 증폭 효과를 갖는 공격 스킬로 최대 중첩 시 374%나 되는 높은 데미지를 자랑하며 1회 사용시마다 영혼 몰수 버프 효과를 1개씩 소비한다.




▲ 환원을 사용하면 영혼 몰수 버프 효과가 소비되므로 주의하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형성할 수 있다.


암흑의 상처 생성 → 암흑의 상처를 소모하여 영혼 몰수 생성 → 영혼 몰수를 소모하여 환원 사용


암흑의 상처 디버프와 영혼 몰수 버프 효과를 이렇게 계속 소비해버리면 중첩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는 암흑 상처의 강화스킬인 상처 심화 스킬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암흑의 상처 스킬은 치명타로 적중될 시에 2개의 디버프를 생성한다. 이 때마다 영혼 몰수 스킬을 2번씩 사용하고 환원 스킬을 1번씩 사용하면 영혼 몰수 버프 효과가 점점 누적되어간다. 영혼 몰수 효과가 4~5중첩으로 누적이 되고 난 후에는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2개 생성되더라도 영혼 몰수 스킬을 2연속으로 사용하지 않고 1번씩 사용한다. 이렇게 되면 암흑상처 디버프 역시 점점 누적현상이 발생하여 두 스킬 모두 5중첩씩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 상처 심화는 스택을 누적하기 위한 핵심적인 스킬이다.



 - 암흑의 상처 치명타 시 디버프가 2개 생성되었을 경우에는 영혼 몰수를 2연속으로 사용한다.
 - 영혼 몰수 효과가 많이 중첩되어 있다 하더라도 환원을 남발하지 말고 1회씩만 사용한다.
 - 영혼 몰수 5중첩 후, 암흑의 상처 치명타 시 디버프가 2개 생성되어도 영혼 몰수는 1회 사용한다.







▲ 암운 스킬은 스택을 소비하지 않는다.


또한, 모든 공격이 치명타로 적중될 시에 5초마다 1번씩 70% 확률로 발동되는 암운 스킬은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적용되고 있는 대상에게 사용할 경우 중첩마다 30%씩 최대 150%의 데미지가 증가하여 최대 중첩 시 약 292%의 높은 데미지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킬이 발동했을 때 바로 사용하는 것보다 암흑의 상처를 사용하고 나서 영혼 몰수로 디버프를 소비하기 전에 써주는 것이 좋다.



4) 어둠의 징조

어둠의 징조는 사실상 연계 스킬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어둠의 징조 디버프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 한 번 어둠의 징조 스킬을 사용할 경우 피해량이 1.5배가 되기 때문에 디버프가 끊어지지 않게 쿨타임마다 주기적으로 사용한다면 높은 딜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어둠의 징조를 반복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데미지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2. 추천 딜싸이클

앞서 설명한 스킬연계의 특징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기초적인 딜싸이클을 구성해볼 수 있다.

1) 이니시에이트

강신술-암살→ 소울→ 죽음의 그림자→ 악몽→ 어둠의 창→ 강신술-흑조→ 차원 베기

마력쇄도→ 암흑 선고→ 영혼 붕괴→ 어둠의 징조→ 집행→ 암흑의 상처→ 암운
영혼 몰수→ 영혼 몰수→ 환원

영혼 붕괴→ 어둠의 징조→ 암흑의 상처→ 암운
영혼 몰수→ 영혼 몰수→ 환원

암흑 선고→ 영혼 붕괴-어둠의 징조→ 집행→ 암흑의 상처→ 암운
영혼 몰수→ 영혼 몰수→ 환원

영혼 붕괴→ 어둠의 징조→ 암흑의 상처→ 암운
영혼 몰수→ 영혼 몰수→ 환원


※ 강신술-암살 → 죽음의 그림자→ 악몽→ 어둠의 창→ 차원 베기

상대에게 접근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는 원거리 스킬에는 '죽음의 그림자', '악몽', '어둠의 창' 3가지가 있다. 이중 어둠의 창은 죽음의 그림자 사용 시 70% 확률로 활성화가 되는 조건 발동기술로 간혹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작 전에는 '강신술-암살'을 활용하여 100% 확률로 어둠의 창을 발동시킨 후에 돌진 스킬인 '차원 베기'를 사용하면서 강신술-흑조로 변경하는 방법이 좋다. 또한 전부 생략하고 차원 베기만을 사용하여 전투에 돌입하는 방법도 있다.




▲ 돌진스킬은 차원 베기는 무려 20M의 사정거리를 갖고 있다.


※ 마력쇄도→ 암흑 선고→ 집행→ 암운→ 암흑 선고 → 집행

마력쇄도를 통해 집행의 발동률을 100%로 만든 후에 암흑선고를 사용한다. 집행이 발동되고 나면 이후 모든 공격이 치명타로 적중하는 핏빛 낙인 유지 시간 동안 암흑의 상처를 사용하면 한번에 2중첩을 쌓을 수 있고, 마력쇄도의 효과에 의해 암운의 발동확률 또한 100%가 된다. 마력쇄도의 유지시간이 15초이기 때문에 쿨타임이 10초인 다음 암흑선고를 사용 시에도 집행 스킬을 100%로 사용할 수 있다.

※ 암운

녹색으로 표기된 암운은 조건에 따라 발동이 안 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생략하고 다음 스킬로 넘어가거나 평타 또는 원혼쐐기 스킬로 대체할 수 있다. 다만 워록의 경우 평타 데미지가 64%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효율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일반 공격의 데미지가 매우 낮은 편이다.


※ 영혼 몰수

보라색으로 표기된 영혼 몰수는 암흑의 상처가 치명타로 적중하여 한번에 디버프가 2개 중첩되었을 시에만 추가로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1회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암흑의 상처 디버프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영혼몰수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2) 유지구간

암흑선고→ 영혼붕괴→ 어둠의 징조→ 집행→ 암흑의 상처→ 암운
영혼몰수→ 영혼 몰수→ 환원

영혼붕괴→ 어둠의 징조→ 암흑의 상처→ 암운
영혼몰수→ 영혼 몰수→ 환원

암흑 선고를 2싸이클마다 한 번씩 사용하고, 집행암운은 사용 가능 시에만 포함하며, 암흑의 상처 2중첩 시에만 영혼 몰수를 추가로 사용한다는 것 외에는 매우 간단한 딜싸이클이지만, 강신특성으로 발휘할 수 있는 모든 버프 및 디버프가 유지되며 약 5초 간격의 딜싸이클로 스킬 쿨타임과도 잘 맞는 딜싸이클이다.

강신술-흑조 상태에서는 공격 스킬의 쿨타임이 절반이 되는 만큼 스킬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 마력 소비가 상당하기 때문에 전투 시작 1분 만에 마력이 바닥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집혼' 스킬을 활용하여 마력을 회복시켜주면 또다시 1분간 딜링을 할 수 있다.




▲ 최대 마력이 500이므로 20초간 매초 50씩 총 1000을 회복할 수 있다.


1분뒤에는 소울쿨타임과 동시에 이니시에이트 타이밍이 돌아오기 때문에 마력쇄도 스킬에 의해 마력을 보충할 수 있다. 이렇게 마력쇄도와 집혼 스킬을 1분 간격으로 번갈아 사용한다면 마력부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