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백련재료로 최소 5성 장비 제작 가능! 새로워진 제작 시스템

게임소개 | 송철기 기자 | 댓글: 2개 |
기존 장비 제작을 위해선 폭염주괴, 강철비단, 백은원석 등 각각 능력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필요했다. 하지만 개편된 제작 시스템에 의해 50~60레벨 장비 제작에는 새롭게 백련재료만 필요로 한다.

백련재료는 마을 장비 강화사에게 백련재료 합성을 통해서 제작할 수 있는데, 등급은 랜덤 설정되고, 비단, 정철, 현수정 세 종류가 있다. 제작하려는 장비에 따라 무기, 목걸이 흉갑에는 정철, 무릎아대, 허리띠, 하의, 금낭에는 비단, 호신부, 반지, 손목아대, 완갑에는 현수정을 요구한다.

현재 하나의 장비 제작 시, 50레벨 장비는 백련재료 5개, 60레벨 장비는 7개가 소모되는데, 같은 등급의 백련재료가 5~7개씩 필요한 것이므로 결과적으로는 제작을 위해 소모되는 하위 재료가 많아진 셈이다. 하지만 장비 제작 시, 소모한 백련재료의 등급에 맞춰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기존 제작보다 안정적으로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 장비 강화사가 이젠 백련재료를 요구한다.




▣ 새로운 제작 재료, 백련재료 알아보기!


개편된 제작 시스템으로 인해 많은 유저가 애용하는 50~60레벨 제작 장비의 재료로 백련재료가 새롭게 등장했다. 반면, 기존 장비를 만들기 위한 재료였던 원석, 비단, 주괴는 더 이상 50레벨 이상 제작 재료로 사용되지 않고 30~40 장비 제작에만 사용된다. 즉, 이제 상위 장비 제작에는 도안과 함께 백련재료만 소모된다.

백련재료는 백련정철 조각, 백련무명 조각, 백련현수정 조각 세 종류가 있고, 마을 장비 강화사에게 백련재료 합성을 통해서 제작할 수 있다. 백련정철은 수정조각 25개와 3급 주괴 제련제[낱개] 1개, 백련무명은 무명실 25개와 3급 비단 염색제[낱개] 1개, 백련현수정은 수정조각 25개와 3급 원석 정제약[낱개] 1개를 소모해서 만들 수 있다.

만들어진 백련재료는 5성~7성중 한 가지 등급과 귀속 여부가 랜덤으로 선택되고, 비귀속 상태의 백련재료는 유저간 거래가 가능하다.




▲ 장비 강화사를 통해서 백련재료 합성을 할 수 있다.



▲ 백련재료는 종류별 세 가지 등급이 존재한다.




▣ 개편된 제작 시스템을 이해하자!


장비 제작을 위해서 각 장비에 맞는 도안과 재료가 필요한 것은 여전하다. 하지만 기존 제작에 재료가 한 개씩 소모됐다면 백련재료는 50레벨 장비에는 5개, 60레벨 장비에는 7개, 65레벨 장비에는 10개가 소모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소모되는 백련재료의 등급이 모두 같아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60레벨 무기 제작에 필요한 7개의 백련정철이 모두 같은 등급이어야 한다는말. 즉, 등급을 섞어서 소모할 수 없다는 것인데, 5성 등급 3개, 6성 등급 3개, 7성 등급 1개씩 7개의 백련정철을 지니고 있다면 무기를 제작할 수 없고, 5성, 6성, 7성 백련정철 중 하나의 등급을 7개 지니고 있어야 무기를 제작할 수 있다.




▲ 장비 제작에 백련재료가 소모되는 걸 볼 수 있다.



기존에 장비를 제작하면 2~7성 중 한 가지 등급이 랜덤으로 선택되서 높은 등급 결과물을 얻기가 힘들었다. 높은 등급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이기 위해선 1급에서 3급까지 나뉘어 있는 제작 재료 중 높은 등급의 재료를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백련재료 제작의 가장 큰 특징은 장비 제작 시, 결과물이 소모된 백련재료의 등급에 맞춰서 제작된다는 점이다. 즉, 백련재료 합성으로 백련재료를 만들때 최소 5성에서 7성까지 등급이 랜덤 선택되므로 결과물의 등급이 최소 5성인 안정적인 제작과 원하는 등급의 결과물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7성 백련재료를 사용해서 제작하면 확실하게 7성 장비를 만들 수 있다. 단, 백련재료의 등급은 백련재료 합성 시 랜덤 선택되므로 7성 백련재료를 제작에 필요한 만큼 여러 개 모으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 재료의 등급에 맞춰서 제작 장비의 등급이 결정된다.



또한, 소모되는 재료가 백련재료로 바뀌면서 결과물의 속성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기존의 장비는 제작 시, 추가할 속성을 선택할 수 있었다면, 백련재료로 장비를 제작할 땐 속성을 선택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기존 제작 무기를 만들 땐 물리 최대 피해를 증가시키는 폭염주괴, 생명력을 추가하는 강철주괴, 최대 마법피해를 증가시키는 빙결주괴 중 하나를 선택해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최대 생명을 추가하는 백련정철만 사용할 수 있다.

즉, 폭염주괴, 강철주괴, 빙결주괴 세 종류던 주괴재료가 제작 시 백련정철 한 종류만 사용할 수 있게 교체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천해비단, 강철비단, 진홍비단 세 종류의 비단재료는 백련무명으로, 원석재료 금빛원석, 피빛원석, 백은원석은 백련현수정으로 대체됐다.

각 부위에 따라 명중이 상승하는 백련현수정은 호신부, 반지, 손목아대, 완갑 제작에 사용되고, 최대 생명이 오르는 백련정철은 목걸이, 흉갑, 무기, 저항이 오르는 백련비단은 무릎아대, 허리띠, 하의, 금낭 제작에 필요하다.




▲ 주괴는 백련정철, 비단은 백련무명, 원석은 백련현수정으로 대체됐다.




▣ 제작 시스템, 전·후 차이점 및 비교


기존 제작에는 결과물이 2성에서 7성까지 폭넓게 랜덤 선택됐고, 필요했던 재료는 1급에서 3급까지 나뉘어 있어서 장비 강화사에게 재료 강화를 통해 높은 등급 재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높은 등급의 재료일수록 좋은 결과물을 얻을 확률이 올라갔는데, 확률 획득인 만큼, 좋은 결과물을 얻기가 힘들었다. 대신, 제작에 필요한 재료는 등급 상관없이 한 개이므로 비교적 부담 없이 여러 번 제작을 시도할 수 있었다.

반면, 백련재료 제작은 재료 제작부터 5성에서 7성까지 랜덤으로 등급이 선정되고, 한 번 제작에 50레벨 장비는 5개, 60레벨 장비에는 7개의 같은 등급의 백련재료가 소모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장비 제작을 위한 백련재료합성에 소모되는 하위 재료들 꽤 많다는 것이다.

대신, 백련재료 제작은 결과물이 소모된 재료의 등급에 맞춰서 나오므로 최소 5성 이상을 획득할 수 있고, 더 높은 등급의 장비도 재료에 따라 확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 제작된 장비는 미감정 상태인데, 감정 시, 사용 재료의 등급에 맞게 제작된걸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기존 재료와 백련재료 제작에 필요한 하위 재료들은 얼마나 소모될까? 60레벨 무기를 제작하기 위해 재료를 만든다고 하면, 기존에는 1급 강철주괴 제작에 정철 원석 5개 강철석 1개가 필요하다.

더 높은 등급의 결과물을 위해 상위 강철 주괴를 제작한다면 2급 강철주괴는 1급 강철주괴 5개 (정철 원석 25개, 강철석 5개), 2급 주괴 제련제 1개, 3급 강철주괴 제작에는 2급 강철주괴 5개 (정철 원석 125개, 강철석 25개), 3급 주괴 제련제 1개가 소모된다.

반면, 백련정철은 정철 원석 25개, 3급 주괴 제련제 낱개 1개로 만들 수 있는데, 60레벨 장비에는 같은 등급의 백련정철 7개가 필요하므로 정철 원석 175개, 3급 주괴 제련제 낱개 7개가 소모된다.

하지만 백련재료의 등급은 랜덤 선택이므로 같은 등급 백련정철 7개를 얻기 위해선 실질적으로 들어가는 하위 재료가 훨씬 많아질 것이다. 즉, 기존 제작보다 많은 양의 하위 재료가 소모된다는 것.

그래서 현재 많은 유저들이 백련재료합성 후 자신이 원하는 등급의 백련재료가 나오지 않았다면 다른 유저에게 팔거나, 원하는 것과 교환하는 추세다.




▲ 현재 장터에서 백련재료가 활발히 거래중이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