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강력한 빙한기공의 소유자, 좌냉선을 물리쳐라! 87레벨 던전 숭산 정상

게임뉴스 | 정민재 기자 |
숭산 정상은 앞서 숭산가는 길에 이어 숭산파를 습격해 중앙 주탑에 있는 장문인 좌냉선을 처치하는 것이 목표인 던전이다. 숭산파 대전과 동쪽, 서쪽 보조탑에 있는 적들을 물리친 뒤 마지막으로 주탑으로 올라가 좌냉선과 전투를 벌이게 된다.


숭산 정상의 난이도는 일반, 협객, 영웅, 맹주까지 총 네 가지다. 일반 난이도는 최소 1명의 파티원과 14의 원기로 입장이 가능하며 협객 난이도는 1명의 파티원과 17의 원기, 영웅 난이도는 4명의 파티원과 20의 원기, 맹주 난이도는 6명의 파티원과 56의 원기가 필요하다. 협객 난이도부터는 이전 난이도를 클리어해야만 입장할 수 있다.


던전 클리어시 얻는 보상으로는 기본적으로 80레벨 4성 아이템과 교환 가능한 6품 영웅패와 각종 80급 재료 아이템이 있다. 또한 협객 난이도 이상에선 80레벨 문파 세트 장비나 6성 이상의 천하 등급 장비를 얻을 수도 있다.











■ 화려한 채찍 공격의 향연! 첫 번째 보스 등팔공

던전 숭산가는 길에 이어 숭산파 정문에서부터 진행되는 숭산 정상은 악후를 쓰러뜨렸던 비무장 아래에서 시작하게 된다. 비무장으로 올라가면 숭산단검제자 무리가 나타나 공격을 시작하는데 숭산가는 길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연속해서 검기를 날리면서 강력한 공격을 퍼붓는 모습을 보여준다.


단검제자 무리는 공격을 피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입을 정도로 매우 강력해졌으나 체력은 여전히 적은 편이기 때문에 거리를 벌리고 공격을 유도한 뒤 다시 준비자세를 취할 때 광역 공격으로 한꺼번에 처리하면 어렵지 않게 마무리할 수 있다.


건물 내부로 들어가면 방문 암기제자와 숭산 거검제자들이 기다리고 있다. 거검제자 또한 넓은 범위의 광역 공격과 돌진 공격을 사용하는 등 바뀐 공격패턴을 보여주는데, 특히 돌진 공격의 경우 대상에게 근접하며 한빙 상태로 만들어 이동속도를 느리게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암기제자는 대상 주변 일정범위에 그물을 날려 이동을 멈추게 하거나 연속 사격으로 공격을 퍼붓는다. 그물은 떨어지는 위치가 빛나기 때문에 쉽게 확인할 수 있지만 거검제자의 돌진 공격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피하기 다소 어려운 편이다. 그러므로 무기막기를 활용해 피해를 줄이면서 거검제자를 빠르게 처치한 뒤 암기제자를 처치하는 것이 좋다.




▲ 숭산가는 길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단검제자




▲ 바닥이 빛나는 위치에 암기제자의 그물이 떨어진다


암기제자와 거검제자를 쓰러뜨리고 계단 위로 올라가면 첫 번째 보스 등팔공과 만나게 된다. 등팔공은 '신편'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채찍을 이용해 빠른 속도로 공격하는 보스 몬스터로 격도, 끌어당기기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 공격 패턴을 보여준다.


등팔공의 공격 중 주의해야 할 것으로는 주변에 채찍을 크게 휘둘러 격도 상태로 만드는 공격, 채찍을 앞으로 길게 뻗어 닿은 대상을 자신의 앞으로 끌어당기는 공격, 채찍으로 사방을 내려치는 공격, 땅을 채찍으로 강하게 내려쳐 큰 피해를 주는 공격까지 총 네 가지가 존재한다.


휘두르기는 세 번 가량 채찍을 크게 돌리면서 범위 내의 대상에게 피해를 주고 격도 상태로 만드는 공격이다. 대미지는 그리 강하지 않으나 연타로 들어오는데다 격도 효과까지 있어 막기를 활용해 대처해주는 것이 좋다.




▲ 채찍의 달인, 첫 번째 보스 등팔공




▲ 휘두르기는 격도 효과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끌어당기기는 채찍을 앞으로 길게 뻗으면서 맞은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으로 대미지가 매우 강력하며 잠시 동안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후속 공격에 노출되므로 매우 위협적인 공격이라 할 수 있다. 무기 막기를 사용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끌어당겨지는 것은 막을 수 없으므로 회피를 사용해 피해야한다.


사방 내려치기는 대상에게 가까이 다가간 뒤 네 방향으로 연속해서 채찍을 내려치는 공격으로 무기막기를 사용하기 까다로운 공격판정을 보여준다. 사방 내려치기를 사용할 때 무기막기를 사용해 대처하기 위해선 각 방향마다 머리를 돌려 다시 무기막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대미지가 강한 편은 아니여서 방향을 잘못 돌려 맞게 되더라도 큰 피해를 입지는 않는다.


내려찍기는 대상을 향해 빠르게 채찍을 내려찍는 단순한 공격이지만 시전 속도가 빠른 위협적인 공격 패턴이다.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 자칫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러나 무기막기로 막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려찍기를 대비해 기력을 아껴두고 무기막기를 사용하면 쉽게 대처할 수 있다.




▲ 공격을 막더라도 강제로 등팔공에게 끌어당겨진다




▲ 사방 내려치기는 방향에 맞춰 무기막기를 사용하면 된다



■ 안개 속에서 이루어지는 기습 공격, 구곡검 종진

등팔공을 쓰러뜨리고 우측 계단으로 올라가 대전 2층에 도착하면 숭산단검제자와 방문 전륜제자가 습격해온다. 전륜제자 또한 화염륜을 세로로 날려 닿은 대상을 뒤로 밀어내면서 연속해서 피해를 주는 새로운 공격 패턴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화염륜은 대미지는 강력하지만 공격 범위가 좁아 피하기는 어렵지 않은 편이므로 공격을 주시하면서 단검제자를 빠르게 처치하고 전륜제자를 광역공격으로 마무리하면 큰 피해 없이 처리할 수 있다.


전륜제자 무리를 처치한 뒤 계단 위로 올라가면 다시 거검제자와 암기제자가 등장한다. 여기서부터 암기제자는 그물과 함께 마비 함정이라는 새로운 공격을 보여준다.


암기제자가 땅을 향해 무기를 발사하면 마비 함정이 깔리게 되는데, 이에 닿을 경우 잠시 동안 행동이 불가능해져 공격에 그대로 노출된다. 다만 범위는 좁은 편이기 때문에 함정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하면서 적을 처치하도록 하자.




▲ 화염륜은 대미지가 강력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 마비 함정에 당하면 잠시 동안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계단을 올라 2층 옥상에 있는 동쪽 보조탑으로 이동하면 두 번째 보스 종진을 만나게 된다. 종진은 구곡검법이라는 사검을 이용한 독특한 공격을 사용하는 보스로 연속적인 돌진 찌르기와 주변을 안개로 가득차게 만든 뒤 기습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종진의 공격은 크게 검진과 연속 돌진, 기습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검진은 바닥에 불타는 사검 여러 자루를 계속해서 회전하게 만들면서 범위 내의 대상에게 피해를 주고 한빙 상태로 만드는 공격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오랜 시간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대미지가 강력하며 한빙 효과로 인해 종진의 후속 공격을 피하기 어렵게 만들어 주의해야 하는 공격으로, 사용하기 전 여러 자루의 사검을 자신의 주변에 소환하는 모션을 취하기 때문에 이를 확인했다면 곧바로 거리를 벌려 피해야 한다.




▲ 안개를 펼쳐 기습 공격을 하는 두 번째 보스, 종진




▲ 여러 자루의 사검이 회전할 때 검진이 펼쳐진다


연속 돌진은 앞 뒤를 번갈아가며 찌르는 공격으로 시전 속도가 빨라 피하기 매우 어렵다. 다만 공격 방향이 정해져 있어 머리를 돌리면서 무기막기를 사용해주면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을 수 있다.


동쪽 보조탑이 안개에 휩싸이면 종진이 기습 공격을 사용하려는 것이다. 기습 공격은 대상에게 매우 큰 피해를 주면서 격도 상태로 만드는 특징을 갖고 있다.


대미지가 강력해 위협적인 공격이지만 대처 방법은 생각보다 쉬운 편이다. 기습을 사용하기 직전 종진이 '소실……'이라는 대사를 할 때 뒤로 약간만 이동하면 공격 범위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기습은 연속해서 세네 번 가량 사용하므로 대사가 나오면 이동한 뒤 종진의 모습이 나타나면 공격을 퍼붓고 다시 대사가 나오면 이동하는 것을 반복하면 오히려 공격하기 좋은 타이밍이 되는 것이다.




▲ 연속 돌진은 대미지는 낮으나 시전속도가 매우 빠르다




▲ 기습에 당할 경우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



■ 환상과 흡착의 쉴 틈 없는 연계! 부장문 탕영악

종진을 처치한 뒤 들어왔던 입구로 돌아나와 서쪽 보조탑을 향해 이동하면 단검제자, 거검제자, 암기제자 무리가 나타나 일제히 공격을 시작한다. 그리고 방문 권투제자라는 새로운 몬스터도 나타나 함께 공격을 해오는데, 빠른 돌진 공격을 사용하지만 대미지가 그리 강하지 않아 위협적이지는 않다.


제자 30인을 쓰러뜨리고 서쪽 보조탑으로 들어가면 숭산파 부장문 탕영악과 마주하게 된다. 진숭보탑의 최종보스로 등장했던 탕영악은 환상과 함께 강력한 공격을 퍼붓는 등 기존과는 다른 패턴을 보여준다.


탕영악은 전방의 대상을 끌어당기는 내려찍기 공격과 흡착 공격, 넓은 범위를 베는 회전 공격을 기본으로 계속해서 환상을 소환하면서 함께 공격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내려찍기 공격은 검을 밑으로 휘두르면서 넓은 범위에 걸쳐 폭발을 일으키는 공격이다. 범위는 넓으나 사전동작이 긴 편이어서 회피를 사용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 서쪽 보조탑으로 가는 길에는 숭산 제자들이 기다리고 있다




▲ 진숭보탑에 이어 다시 등장한 숭산파 부장문 탕영악


붉은색 원 모양의 기가 탕영악에게 모여들면 흡착을 시전하는 것이다. 흡착은 전방에 있는 대상이 탕영악에게 끌려간 뒤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는 공격으로 대미지는 강하지 않지만 대상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때문에 환상 소환과 연계되어 사용될 경우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회피를 사용해 탕영악의 등 뒤로 이동하면 흡착에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끌려들어갔다면 곧바로 앞으로 피해주는 것이 좋다.


회전 베기는 탕영악이 몸을 오른쪽으로 돌리고 기를 모은 뒤 주변 대상을 크게 베는 공격이다. 대미지는 높은 편이지만 기를 모으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탕영악이 오른쪽으로 몸을 돌렸을 때 거리를 벌리는 것으로 쉽게 피할 수 있다.




▲ 흡착 공격을 사용하면 탕영악의 등 뒤로 회피하자




▲ 회전베기는 대미지가 강력하므로 맞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탕영악이 남색으로 빛나면서 땅을 내려찍는다면 환상을 소환하려는 것이다. 환상은 한 번에 8개 가량이 나타나며 이후 하나씩 공격을 시작한다. 환상의 공격 패턴은 높게 점프해서 내려찍기, 검기 날리기까지 두 가지가 존재한다.


내려찍기는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탕영악의 흡착 공격이 함께 시전될 경우 피하기 상당히 까다로운 공격이다. 회피를 사용해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어려운 편이므로 무기막기를 사용해서 대미지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환상이 검을 올려베는 자세를 취하면 검기를 날리려는 것이다. 검기는 투사체 속도가 빠르고 대미지가 강력하지만 공격 범위가 좁아 피하기는 어렵지 않은 편이다.




▲ 환상을 소환하는 탕영악의 모습




▲ 환상의 내려찍기는 화려한 이펙트에 걸맞는 강력한 공격이다



■ 결빙 공격을 조심! 최종 보스 숭산파 장문 좌냉선

탕영악을 처치하면 중앙 주탑으로 가는 계단이 열리고, 올라가면 영상을 통해 탑 꼭대기로 이동한 뒤 숭산파 장문 좌냉선과 마주하게 된다. 강력한 빙한기공을 사용하는 좌냉선은 한빙 효과가 있는 공격으로 이동속도를 느리게 할 뿐만 아니라 전방의 대상에게 기파를 날려 결빙 상태로 만드는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또한 한 번 처치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벽과 천장이 박살나면서 더욱 강해지고 새로운 패턴이 추가된 좌냉선과 두 번째 전투를 하게 되는 등 숭산파의 최종 보스다운 면모를 보여준다.


첫 번째 페이즈의 좌냉선은 전방을 두번 빠르게 베는 공격을 기본으로 주변 360도 범위의 적을 공격하는 베기, 몸을 회전시키며 주변에 냉기를 내뿜어 공격하는 회전 공격, 전방 부채꼴 모양으로 냉기를 쏘아보내 맞은 대상을 모두 결빙 상태로 만들어버리는 기파 공격까지 세 가지 패턴을 사용한다.




▲ 중앙 주탑 꼭대기에서 기다리고 있는 최종 보스 좌냉선


베기 공격은 시전 속도가 빠르고 범위가 넓어 피하기 어려운 공격이다. 대미지 또한 높고 두세번 가량 연달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칫하면 체력이 크게 소모될 수 있다. 하지만 무기막기로 방어가 가능해 이를 활용하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회전 공격은 좌냉선이 화산의 금안횡공과 흡사한 모습의 공격이다. 다만 좌냉선의 빙한기공에 어울리게 냉기를 뿜으면서 수 차례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금안횡공이 회전 중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처럼 좌냉선도 대상을 향해 회전 공격을 하면서 느린 속도로 다가오는데, 공격에 맞을 경우 큰 피해를 입게되므로 거리를 벌려 피해주는 것이 좋다.


좌냉선이 검을 휘두르면서 앞으로 향한다면 기파 공격을 사용하려는 것이다. 전방 부채꼴 긴 범위의 대상을 모두 결빙 상태로 만드는 기파 공격은 시전 속도가 빠르고 검을 휘두를 때 공격 판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하기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좌냉선은 결빙 상태가 된 대상에게 베기 공격을 연계하는 경우가 많아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다만 기파 공격은 방어가 가능하므로 좌냉선이 검을 들고 휘두르려는 모션을 취할 때 무기막기를 사용하면 결빙 효과를 막아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좌냉선을 처치하면 탑 꼭대기가 파괴되면서 더욱 강력해진 좌냉선이 나타나 다시 전투를 시작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패턴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공격이 더욱 강화되고 한빙진기 라는 새로운 공격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회전 공격의 이동 속도는 느리므로 쉽게 피할 수 있다




▲ 좌냉선의 앞에 공기가 일그러지는 모습이 나올 때 결빙 상태가 된다




▲ 좌냉선을 처치하면 탑이 파괴되고 두 번째 페이즈로 넘어간다


첫 페이즈의 두 번 베기 대신 올려베기를 기본 공격으로 사용하고 회전 공격이 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네 방향으로 얼음 회오리를 날려 추가적인 대미지를 주게 된다. 이동 속도 또한 빨라지고 한빙 효과로 인해 피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므로 좌냉선의 위치에 맞춰 고개를 돌리면서 무기막기를 사용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좌냉선이 손 위에 검을 띄우면서 '한빙진기!'라고 외치면 곧바로 무기막기를 사용해야 한다. 한빙진기는 넓은 범위에 걸쳐 모든 대상에게 큰 피해를 주고 결빙 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냉기가 폭발할 때에 맞춰 회피를 사용해야지만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피하기 어려운 공격이다.


다만 무기막기로 결빙효과를 막아내고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좌냉선이 한빙진기를 사용할 때에 맞춰 막기를 사용하면 어렵지 않게 넘길 수 있다. 이 외에도 기파 공격 등 첫 페이즈에 나왔던 공격들을 사용하는 좌냉선을 처치하면 던전이 마무리된다.


던전을 클리어하면 보상으로 맛있는 조미료 등 각종 재료 아이템과 함께 6품 영웅패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협객 난이도 이상에선 80레벨 문파 세트 장비를 획득할 수 있으며 맹주 난이도에선 7성의 천하 등급 명품 장비를 얻을 수 있다.




▲ 회전 공격에 얼음 회오리가 추가되어 더욱 강력해진 모습




▲ 한빙진기에 당할 경우 결빙 상태가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