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PL 2017] 기본이 탄탄해야 승리할 수 있다! 8강 A조 경기 전략 분석

게임뉴스 | 전상후 기자 |
4강으로 올라가는 두 팀이 확정되는 8강 A조 경기는 승리를 위해서는 어떠한 플레이를 해야할지 보여주는 교과서같은 경기였다. 승자전에서는 원거리 딜러인 아처가 포함된 조합에서 아처가 어떠한 식으로 자리를 잡아야 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약간의 대미지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안정적인 포지셔닝을 하는 것이 결론적으로 이득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패자전에서는 교전을 개시하는 탱커의 이니시에이팅의 중요성을 볼 수 있었다. 중요한 순간마다 크레스트의 궁극기가 작렬하면서 한타를 승리로 이끄는 모습이 계속해서 나왔다.

마지막으로 4강 진출자를 가른 최종전에서는 펜타스톰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필드 컨트롤 플레이를 볼 수 있었다. 상대방 필드 영웅의 성장을 계속해서 막으면서 스노우볼을 굴려나가는 모습을 보며 필드 컨트롤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경기였다.

■ 8강 A조 승자전 : 딜러의 포지셔닝이 가른 승부

승자전은 양팀의 콘셉트가 확실하게 갈렸다. 1차전에 WILD에서는 2징벌을 선택하면서 오브젝트 컨트롤을 확실히 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KR에서는 교전을 염두에 두고 3 회복을 선택하면서 다대다 교전에 힘을 실은 모습이었다. 2차전은 양팀이 서로 스펠 선택이 갈리며 정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결정적으로 승부를 가른 것은 딜러의 포지셔닝이었다. 1, 2세트에서 모두 바이올렛을 선택한 KR_Archer 선수는 대미지 딜링을 약간 포기하더라도 철저히 생존해서 이득을 보겠다는 포지셔닝을 보였다. 특히 1,2 세트에서 승부를 가른 한타 상황에서 포지셔닝이 빛을 발휘했다.

WILD는 핵심 딜러들이 근접 영웅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붙어서 싸울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KR은 바이올렛이 원거리 딜러인 아쳐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포지셔닝을 쉽게 할 수 있었다. 교전 시작 시점에는 돌아가기 때문에 딜로스가 있었지만, 그만큼 상대 딜러들의 포커싱을 피할 수 있었다. 그 뒤로는 바이올렛이 자유롭게 대미지 딜링을 하면서 교전을 대승으로 이끈 것이다.

분명 승부를 내내 유리하게 이끌어간 것은 WILD였다. 그러나 결정적인 승부처에서 KR의 아처 선택이 빛을 발휘했다. 딜러의 포지셔닝이 KR의 4강 진출의 원동력이 된 셈이다.

▲ KR_Archer 선수의 무빙에 주목하자. (35분 5초부터)



▲ 안정적인 포지션을 찾아 외곽을 도는 Archer 선수



▲ 포지션을 잡고 딜하는 순간의 체력 차이



▲ 상대 딜러의 무빙을 보면서 포지셔닝을 하는 모습


■ 8강 A조 패자전 : 크레스트의 위용이 돋보인 경기!

8강 A조 패자전은 크레스트의 위력을 보여준 경기였다. 실제로 크레스트의 궁극기로 인해 승부가 갈렸다. 우선 1세트에서는 크레스트 + 말록의 연계가 돋보였다. 승부를 가른 마지막 한타에서 SINSA Gaming의 크레스트와 말록의 궁극기 연계가 상대방 영웅 3기를 완벽하게 묶으면서 승리를 이끌었다.

2세트에서는 NC Lions의 크레스트가 단연 빛을 발휘했다. 중요한 순간마다 궁극기의 스턴을 활용해 교전을 유리하게 끌고 갔다. 크레스트의 궁극기는 상태이상에 더해 보호막 효과가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타워 다이브와 같이 강제 교전 진행이 필요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다. 실제로 2세트 경기를 끝낸 마지막 한타에서도 타워 다이브를 시작하면서 크레스트의 궁극기로 2명을 묶어 교전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3세트 역시 2세트와 유사하게 흘러갔다. 3세트에서 NC Lions는 길더를 추가하며 군중 제어 효과를 더욱 보강했다. 크레스트의 궁극기로 한타를 열고 길더의 황금의 무덤과 황금 찬란을 활용해서 교전에서 승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크레스트는 2세트만큼 눈에 돋보이진 않았으나 대규모 교전에서 궁극기로 SINSA Gaming의 주요 영웅들을 묶어주며 쏠쏠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 환상적이었던 궁극기 연계. 25분 32초부터



▲ 크레스트 궁극기와 말록 궁극기의 환상적 연계



▲ 타워 다이브에서도 크레스트 궁극기는 강력했다



▲ 길더와 크레스트의 궁극기 연계도 매서웠다


■ 8강 A조 최종전 : 필드 컨트롤이 승부를 가르다!

WILD와 NC Lions가 4강 진출의 한 자리를 놓고 최종전을 겨루었다. NC Lions는 2징벌에 더해 배트맨까지 투입하는 극단적인 필드 컨트롤 운영을 보여줬다. 필드 사냥을 전담하는 제피스와 드래곤 컨트롤을 담당하는 크레스트가 각자 징벌을 들어서 오브젝트 컨트롤을 맡았고, 배트맨은 처단을 든 상태로 계속해서 상대방 필드를 돌아다니며 적극적인 견제 활동을 보여줬다.

NC Lions의 이러한 필드 컨트롤 운영은 아주 유효한 판단이었다. 배트맨은 상대방 필드 영웅과 이동 중인 라인 영웅들을 계속해서 물었고, 처치하지 못하더라도 강제로 귀환하게끔 만들어 계속해서 스노우볼을 굴렸다. 징벌을 든 크레스트와 제피스는 상대방에게 단 한 번의 드래곤도 허용하지 않으면서 레벨 격차를 벌리는데 성공했다.

WILD가 지난 8강 1일차 경기에서 NC Lions에게 절대 드래곤을 내주지 않는 오브젝트 중심의 운영으로 풀어나갔던 것을 이번엔 반대로 NC Lions가 보여준 셈이다. WILD도 분전했으나 NC Lions의 매끄러운 운영이 좀 더 빛을 발한 경기였다.

이번 8강 A조 경기는 승리를 위해서 무엇을 해야할지 기본을 보여주었다. 팀 전체적으로는 필드 컨트롤을 매끄럽게 진행해야하고 대규모 교전을 확실하게 잡아줄 탱커, 그리고 교전 중 가장 적합한 위치를 잡는 딜러까지 있으면 승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셈이다. 다음 8강 B조에서도 이 승리 공식을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 미니맵에서 배트맨에 주목. 16분 5초부터



▲ 나크로스를 지속적으로 방해하며 필드 장악



▲ 드래곤은 단 한 차례도 내주지 않았다



▲ 성장 격차를 바탕으로 난입하며 경기를 마무리하는 모습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