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우물에 와드를? 장신구 버그 이용한 유령 포로 룬 유행 중!

게임뉴스 | 원유식 기자 | 댓글: 37개 |
최근, 우물에 다수의 와드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한 개도 아닌 여러 개가 박혀 있는 만큼, 실수가 아닌 건 분명하다. 또한, 날이 갈수록 더 많은 유저가 우물에 와드를 박고 있는데, 시야 확보에 전혀 도움이 안되는 우물에 와드를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 우물에서 다수의 와드와 유령 포로가 목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우물 와드'는 장신구 재사용 대기시간을 이용한 일종의 버그 플레이다. 해당 플레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배 룬의 '유령 포로' 효과인 적응형 능력치를 얻기 위함에 있다. 기존대로라면 와드 토템의 긴 재사용 대기시간으로 유령 포로의 10 중첩을 쌓는 꽤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을 이용하면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다.

지배 빌드의 '유령 포로' 룬은 설치한 와드의 지속 시간이 끝나면 유령 포로 와드가 남아 60초 동안 시야를 밝힌다. 유령 포로 와드가 생성되면 최대 10회까지 중첩되는 적응형 능력치를 얻을 수 있는데,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적응형 능력치는 공격력 18과 주문력 30이다. 이러한 능력치를 더 빠르게 당겨서 쓸 수 있는 만큼, 많은 유저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0중첩 시, 공격력 18/주문력 30을 챙실 수 있는 '유령 포로'


그렇다면, 어떤 방법을 이용해 유령 포로의 중첩을 빠르게 쌓을 수 있는 걸까?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와드 토템을 사용한 후 예언자의 렌즈로 교체한다. 이후 재사용 대기시간인 90초가 지난 뒤(예언자의 렌즈 사용 가능), 와드 토템으로 교체하면 와드 토템의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장신구는 상점에서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한데, 각 장신구마다 효과 및 재사용 대기시간이 다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와드 토템은 1레벨 24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지고 있고, 예언자의 렌즈는 90초의 짧은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재사용 대기시간이 짧은 예언자의 렌즈로 와드 토템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초기화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 위의 매커니즘을 이용해 90초에 와드를 2개 씩 설치해 중첩을 쌓을 수 있다


원래대로라면 2개의 와드 설치에 필요한 시간은 480초지만, 예언자의 렌즈를 이용할 경우 90초에 2개의 와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단, 와드 2개를 이용하기 위해선 인게임 시간으로 4분이 지나야 한다. 4분 이전에는 예언자의 렌즈에서 와드 토템으로 교체해도 1개의 와드만 충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라인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귀환 및 복귀가 조금 더 자유로운 정글 포지션에서의 활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예언자의 렌즈로 교체 후 90초 이후에 바로 사용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만큼, 자유로운 귀환 및 복귀가 가능한 라인에서 활용하는 것의 효율이 더 높다.

때문에 초반에 정글링 위주로 게임을 풀어가는 이블린 등의 챔피언들과는 더 잘 어울리는 전략인데, 리 신처럼 특별한 경우 이러한 전략을 이용하긴 어렵다. 리 신은 와드를 공격과 생존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잘 어울리는 챔피언이 있는 반면, 어울리지 않는 챔피언도 있다


단, 이는 라이엇에서 의도한 플레이가 아닌 일종의 버그를 이용한 방법이기에 언제든 핫픽스나 패치를 통해 사용이 막힐 수 있다. 장신구의 재사용 대기시간 버그를 이용해 극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방법인 만큼, 악용되고 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기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지만, 사실상 정상적인 방법이라고 보긴 어렵다.

또한, 원래 장신구의 사용 목적인 시야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없는 만큼, 시야 싸움에서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우물에서 와드를 설치하고 예언자의 렌즈로 빠르게 교체해야 한다. 만약, 와드를 시야 확보에 사용한다면, 그만큼 엄청난 동선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해당 전략은 버그를 이용한다는 점을 빼면 상당히 매력적인 전략이다. 이 전략으로 얻을 수 있는 능력치를 골드로 환산해 보면, 평균적으로 600골드 이상의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이러한 버그성 플레이에 대해서 라이엇의 따금한 제재 조치는 따로 없었다. 또한, 해당 버그가 게임의 판도를 엎어버릴 만큼, 치명적인 버그라고 생각하기엔 편법의 느낌이 강한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해당 버그가 수정되기 전까지는 많은 유저들이 이러한 전략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장신구를 이용한 유령 포로의 활용에 대한 내용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개되고 화제가 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핫픽스나 패치를 통한 조정에 대한 공식적인 내용이 발표되진 않은 상태이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