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 미디어데이] 작년 여름에도 들었는데... 2023 첫 LCK 우승 후보는?

게임뉴스 | 장민영, 남기백 기자 | 댓글: 1개 |



작년 서머에 이어 올해 스프링도 선수들이 뽑은 우승 후보는 같았다.

2022 LCK 서머 미디어데이에 이어 2023 LCK 스프링 미디어데이에서도 디플러스 기아(DK)가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로 뽑혔다. 그 다음으로 T1이 많은 득표수를 얻었다.

올해 미데어데이에서도 DK는 선수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클리드-영재-리헨즈-버돌-라스칼'까지 LCK 팀별 대표 선수들이 DK를 우승 후보로 뽑았다. T1은 '실비-피넛-쇼메이커-엄티'의 표를 받았다. '페이커' 이상혁은 작년 서머 미디어데이에 이어 다시 한 번 젠지를 우승 후보로 뽑았다.

DK는 팀이 전반적으로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KDF '영재' 고영재는 '캐니언' 김건부의 기량을 이유로 들었다. 작년 DK에서 활동한 '버돌' 노태윤은 "작년에 배운 게 많다. 올해 스크림을 해보니 잘하더라"며 이유를 들었다.







DK를 대표해 나온 선수인 '쇼메이커' 허수는 "다들 라인전이 강하다. 스크림에서 공격적으로 해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 2023 디플러스 기아의 장점은 교전 능력이다"며 자기 생각을 들었다. 최천주 감독은 "선수들이 어떤 역할이 주더라도 잘 수행할 능력이 있다"며 팀원을 높게 평가했다. 동시에 "메타가 바뀌거나 다른 조합을 활용하더라도 소화할 수 있는 팀을 만들고 싶다"는 더 큰 목표를 제시했다.

T1에 관한 평가 역시 좋았다. 가장 큰 이유는 오랫동안 멤버가 바뀌지 않았다는 점이다. '엄티' 엄성현은 "팀 밸런스가 잘 맞고, 3년 정도 멤버 변화가 거의 없어서 팀 합을 맞추는 데 문제가 전혀 없을 것 같다. 메타만 잘 따라가면 될 것으로 보인다"며 T1을 높게 평가했다.

T1 역시 자신감이 있었다. 배성웅 감독은 "기본적으로 선수들의 자신감과 실력이 바탕이 된다. 이번 월드 챔피언십 진출은 자신 있다. 내 역할은 결승전과 같은 큰 무대에 갔을 때, 흔들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T1 '페이커'는 "T1이 로스터 변화가 가장 적다는 게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올해 우리가 어떤 노력을 하는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며 끝까지 방심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