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제프와 루크로 강해진 세레브로! 마블스냅 '세레브로 덱' 소개

게임뉴스 | 지민호 기자 |
마블스냅에서 쓰이는 덱 중에는 '세레브로'를 주축으로 하는 세레브로 덱이 있다. 세레브로는 '파워가 가장 높은 내 카드에 +2 파워를 부여'하는 지속 효과를 지닌 카드다. 그리고 모든 카드의 파워를 같게 맞추면 모든 카드에 세레브로의 효과가 적용된다. 이런 세레브로의 특징을 이용해 구성하는 것이 바로 세레브로 덱이다.

다만, 세레브로 덱은 메타 카드이자 카운터 카드인 '인챈트리스'의 채용률이 높아지기도 했고, 점점 세레브로 덱보다 고점이 높은 덱이 늘어나면서 사용하는 유저가 줄어드는 추세였다. 그런데 지나 시즌에 추가된 '아기 땅상어 제프(이하 '제프')'와 최근 밸런스 패치로 파워 2로 상향된 '루크 케이지' 덕분에 세레브로 덱을 활용할 여지가 늘어났다.



▲ 세레브로 덱에 힘을 실어주는 루크 케이지와 아기 땅상어 제프



▣ 2공 세레브로 덱




◎ 2공 세레브로 덱 리스트 예시

비용 1 - 아이스맨 / 나이트크롤러 / 욘두
비용 2 - 비스트 / 구스 / 해즈맷 / 루크 케이지 / 미스터 시니스터
비용 3 - 세레브로 / 미스틱 / 브루드 / 스톰

대체 카드 후보 - 옐로재킷 / 코르그 / 음바쿠 / 스콜피온 / 나키아 / 미스터 판타스틱 / 블루 마블

최근 부활한 2공 세레브로 덱의 핵심은 '루크 케이지'와 '해즈맷'이라고 할 수 있다. 해즈맷은 자신과 상대를 가리지 않고 모든 카드의 파워를 1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루크 케이지는 아군 카드의 파워가 감소하지 않도록 막는 효과가 있다. 이 둘을 조합하면 내 파워는 유지하면서 상대의 파워만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2공 세레브로 덱은 고점 자체가 낮은 덱이기 때문에 승리를 위한 다른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여기에 필요한 것이 '구스'와 '스톰'이다. 구스는 해당 구역에 비용 4~6 카드를 내지 못하도록 차단해 고비용 고파워 카드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다. 세레브로, 미스틱 등의 카운터 카드인 '인챈트리스'도 비용 4 카드이기 때문에 구스 뒤에 세레브로와 미스틱을 숨길 수도 있다.

스톰은 세레브로 덱에게 치명적인 파워 변동 구역을 수몰지로 만들어 세레브로의 효과를 유지시키고, 상대가 카드 내는 것을 제한해 낮은 파워로도 구역을 점령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특히, 스톰 이후에 브루드로 구역을 가득 채우거나, 나중에 나이트크롤러로 이동해서 들어가는 방법이 유효하다.



▲ 루크 케이지와 해즈맷을 조합하면 아군 파워는 유지하면서 상대 파워만 감소시킬 수 있다.



▲ 구스와 스톰은 고점이 낮은 2공 세레브로 덱의 승리를 위한 핵심 카드


위의 덱 리스트 예시에서는 비스트를 넣어 아이스맨, 욘두, 해즈맷 등의 카드를 재활용하는 방식을 채용했다. 만약 비스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코르그, 음바쿠, 스콜피온 등을 넣어 저비용 카드를 보충하거나 미스터 판타스틱, 블루 마블 등을 채용해 자신의 고점을 높이는 것도 나쁘지 않다.

또한, 나키아를 채용해 손에 있는 세레브로와 미스틱의 파워를 2 증가시키면 세레브로의 효과가 자신과 미스틱에게도 적용되므로 덱의 고점이 더 높아진다. 다만, 나키아의 효과는 손패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카드 2장에게 적용되므로 사용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도 루크 케이지의 효과를 믿고 비용 0 카드인 옐로재킷을 넣거나, 마지막까지 덱에 있으면 무작위 구역에 등장하는 음바쿠도 채용 가능하다.



▲ 스톰으로 구역을 수몰시켜 상대의 플레이를 제한시킨 후 세레브로 미스틱으로 마무리



▣ 3공 세레브로 덱




◎ 3공 세레브로 덱 리스트 예시

비용 0 - 와스프
비용 1 - 바스트
비용 2 - 루크 케이지 / 아기 땅상어 제프 / 스칼렛 위치 / 센티널
비용 3 - 세레브로 / 미스틱 / 코스모 / 데브리
비용 5 - 프로페서 X / 발키리

대체 카드 후보 - 콜로서스 / 라이노 / 저거너트 / 킬몽거 / 샹치 / 아이언맨 / 매직 / 리치

제프의 등장은 프로페서 X를 사용하는 3공 세레브로 덱에게 힘을 실어주었다. 프로페서 X가 봉쇄한 구역에는 어떤 카드도 들어올 수 없지만, 제프는 예외적으로 세레브로가 봉쇄한 구역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로페서 X로 구역 점거를 시도했을 때, 상대가 같은 구역에 카드를 내더라도 나중에 제프를 내거나 이동시켜서 모자란 파워를 보충할 수 있다.

바스트와 발키리도 3공 세레브로 덱에서 활약하고 있다. 바스트의 경우 파워가 0인 세레브로, 미스틱의 파워를 3으로 만들어 덱의 고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비용 0 카드인 와스프나 파워 감소를 막아주는 루크 케이지 등을 채용해 바스트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발키리는 3공 세레브로 덱의 필살기라고 할 수 있다. 같은 구역에 있는 자신과 상대의 카드 파워를 모두 3으로 만들어 상대의 파워는 낮추고, 자신의 카드는 세레브로 효과가 적용되도록 만든다. 특히, 데브리로 생성한 바위 카드를 포함해 와스프, 바스트, 루크 케이지, 세레브로, 미스틱 등의 카드도 파워 3으로 만들 수 있어 마지막 턴에 상대의 파워 계산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기도 하다.



▲ 프로페서 X가 봉쇄한 구역에도 진입이 가능한 제프



▲ 카드의 파워를 3으로 만드는 바스트와 발키리는 3공 세레브로 덱의 승리 플랜을 늘려준다.


위의 덱 리스트 예시에서는 바스트나 발키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본 파워가 3이 아닌 카드를 상당수 채용했다. 그러나 바스트와 발키리가 손에 들어오지 않거나 사용 타이밍이 엇갈리면 파워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이런 단점을 감수하기 싫다면 기본 파워가 3인 다른 카드를 더 채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파워 변동 구역에 대처하기 위해 넣은 스칼렛 위치는 가끔 더 위험한 구역을 만들어 내기도 하므로 구역 자체를 파괴하는 라이노를 넣기도 한다. 혹은 저거너트를 채용해 구역 컨트롤에 힘을 실어주거나 최근에 자주 나오는 비용 1 카드인 네뷸라를 포함해 여러 비용 1 카드를 저격하는 킬몽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만약 바스트의 효율을 높이고 싶다면 아이언맨을 채용해도 좋다. 바스트로 아이언맨의 파워를 높이면 상대가 예상치 못한 엄청난 파워를 만들어낼 수도 있고, 아이언맨+미스틱 콤보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메타 카드로 자주 쓰이는 샹치와 리치 역시 파워 3 카드이므로 3공 세레브로 덱에 채용할 수 있다.



▲ 바스트의 효과로 파워 3인 된 세레브로 덕분에 최종 파워가 상당히 높아졌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