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카드 경험치를 위한 여정, 떠돌이 상인 순회를 더 저렴하게 이용하자

게임뉴스 | 유준수 기자 | 댓글: 32개 |
월드맵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편된 떠돌이 상인
카드 경험치 수급도 좋지만 실링이 증발에 유의
실링 손해 최소화를 위한 1캐릭터 루트 정리


로스트아크 지난 업데이트로 떠돌이 상인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등장 유지 시간이 25분에서 5시간 30분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월드맵에서 위치와 판매 목록 등의 정보 확인도 가능해진 것이다.

별도의 제보 없이도 모든 떠돌이 상인을 만나러 가는 것이 손쉬워지다 보니 카드 구매를 위해 대륙을 순회하는 모험가가 많아졌다. 해당 카드가 필요하다기보다는 카드 경험치를 조금이라도 올리기 위해 모든 떠돌의 상인에서 모든 카드를 구매하는 것이다.

문제는 실링이다. 떠돌이 상인에게 카드를 구매하는 실링과 정기선 비용을 합치면 20만 실링이 넘게 소모되는 경우가 많다. 하루 떠돌이 상인 4타임을 모두 순회하고 전설 카드라도 뜬다면 100만 실링은 우습게 깨지는 것이다. 실링 수급이 어렵지 않다고 하더라도 무시할 만한 수치는 아니다.



▲ 무작정 순회했다가는 실링이 순식간에 바닥나게 된다


가까울 수록 싸지만 예외도 존재! 각 대륙별 정기선 비용
실링을 절약하는 방법은 많이 있다. 아예 무료인 방법은 귀환의 노래와 천공의 노래를 사용한 후 엘가시아에서 알비온을 타고 파푸니카로 이동하는 방법이 있으며, 소소한 실링이 들긴 하지만 여러 캐릭터를 활용해 비프로스트를 사용하면 정기선 대비 매우 비용이 저렴해진다. 또한 아예 배를 타고 이동하여 수리비 정도만 지불하거나 이벤트 기간이라면 타 정기선 대비 상당히 저렴한 마하라카 파라다이스 정기선을 활용해도 된다.

다만 모두가 완벽한 해법은 아니다. 많은 캐릭터가 필요하거나, 비프로스트 슬롯 여분이 부족하거나, 긴 로딩 시간을 견뎌야만 한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손해를 보더라도 하나나 두 개의 캐릭터 정도로 대륙을 순회하는 모험가가 많다.

중요한 것은 똑같은 순회라 하더라도 대륙 이동 순서에 따라 소모되는 실링의 양이 천차만별로 차이 난다는 점이다. 정기선 가격을 감안하여 계획적으로 이동할 경우, 같은 대륙 순회를 돌더라도 실링을 두 배 이상 아낄 수 있다.



▲ 각 대륙의 정기선 가격표. 스퀘어홀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정기선 가격은 대체로 인접한 곳으로 이동하면 싼 편이며, 먼 곳으로 이동할수록 가격이 비싸지는 편이다. 다만 대륙의 물가 때문인지 해당 규칙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프로키온의 바다에 위치한 대륙과 플레체는 기에나의 바다에 위치한 대륙 대비 정기선 승선비가 매우 비싼 편이다. 한 번 들어가면 나갈 때 대량의 실링을 필요로 하므로 루트 계산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 일례로 로웬에서 페이튼으로 이동하는 가격보다 슈샤이어에서 페이튼으로 이동하는 가격이 훨씬 싸다.

특히 베른 남부의 경우 베른 북부 대비 정기선 가격이 매우 높은 편이다. 베른 남부에 위치해 있는 상태더라도 베른 북부 항구를 이용하는 것이 스퀘어홀 비용을 감안해도 훨씬 싸다. 물론 베른 남부에서 로헨델로 가는 루트와 같은 일부 예외가 존재하긴 한다.


이론상 가장 저렴! 로웬 스타트 순회 루트



▲ 로웬 출발부터 페이튼 도착까지, 총 45,100 실링이 소모되는 루트


모든 대륙 일주 시 이론상 가장 저렴한 루트다. 로웬, 슈샤이어, 아르데타인, 베른, 플레체, 애티츠, 토토이크, 루테란, 볼다이크, 파푸니카, 욘, 로헨델, 페이튼, 엘가시아 순으로 진행한다. 모든 대륙을 방문한다고 가정하면 정기선 비용만 45,100 실링이 소모된다. 도중에 방문이 필요한 대륙이 없다면 해당 대륙을 건너뛰고 진행하면 된다.

다만 이론상 가장 저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많은 단점이 있다. 특히 순회 시작이 로웬이라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로웬은 거점으로는 매우 좋지 않은 대륙이기 때문이다. 로웬에서 PVP를 즐기거나 주간 퀘스트를 위해 비프로스트를 설정해 둔 일부 모험가들을 제외하면 접근성이 나쁘다. 게다가 로웬에 떠돌이 상인이 등장하지 않았다면 굳이 로웬으로 비프로스트를 사용하는 것도 실링 손해라 할 수 있다.

베른이 거점이라면 추천! 베른 스타트 순회 루트



▲ 베른 출발부터 볼다이크 도착까지, 총 48,200 실링이 소모되는 루트


베른에 거점을 둔 모험가에게 가장 추천하는 루트다. 베른, 루테란, 토토이크, 애니츠, 플레체, 아르데타인, 로웬, 슈샤이어, 페이튼, 로헨델, 욘, 파푸니카, 볼다이크, 엘가시아 순으로 진행한다. 모든 대륙을 방문한다고 가정하면 정기선 비용만 48,200 실링이 소모된다.

대부분 가까운 대륙으로 이동하는 루트지만, 로웬과 슈샤이어의 순서에는 유의하자. 아르데타인 이후 로웬, 슈샤이어, 페이튼 순으로 진행해야만 많은 실링을 아낄 수 있다. 별다른 비프로스트가 필요하지 않고 엘가시아 직전 마지막 대륙이 볼다이크기 때문에 저레벨 모험가에게 특히 추천된다.



▲ 베른에서 출발하고 엘가시아의 알비온 이용까지, 총 38,700 실링이 소모되는 루트


만약 엘가시아에 떠돌이 상인이 등장했으며, 알비온 탑승까지 고려하고 있다면 위의 루트가 추천된다. 베른, 루테란, 토토이크, 애니츠, 플레체, 아르데타인, 슈샤이어, 로웬까지 이동 후 천공의 노래를 부른다. 이후 알비온을 이용해 파푸니카로 이동하고 볼다이크, 욘, 로헨델, 페이튼 순으로 진행하는 루트다. 슈샤이어와 로웬의 순서가 바뀐 것을 잊지 말자.

모든 대륙을 방문한다고 가정하면 정기선 비용만 38,700 실링이 소모된다. 알비온 탑승이 귀찮기는 하지만, 무려 9,500 실링을 아낄 수 있다. 다만 마지막 도착 대륙이 페이튼이라는 점은 다소 아쉽다고 볼 수 있다.

볼다이크가 거점이라면 추천! 볼다이크 스타트 순회 루트



▲ 볼다이크 출발부터 플레체 도착까지, 총 48,000 실링이 소모되는 루트


볼다이크에 거점을 둔 모험가에게 가장 추천하는 루트다. 볼다이크, 파푸니카, 욘, 로헨델, 페이튼, 로웬, 슈샤이어, 아르데타인, 애니츠, 토토이크, 루테란, 베른, 플레체 순으로 진행한다. 모든 대륙을 방문한다고 가정하면 정기선 비용만 48,000 실링이 소모된다.

만약 토토이크에 떠돌이 상인이 등장했지만 애니츠에 등장하지 않았다면 아르데타인 이후에 플레체로 이동해도 된다. 이후 베른, 루테란, 토토이크 순으로 순회를 마무리 지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실링 소모량은 증가하지만, 여타 루트에서는 굳이 애니츠에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나름의 장점 중 하나다.



▲ 볼다이크에서 출발하고 루테란 비프로스트까지, 총 35,800 실링이 소모되는 루트


만약 비프로스트를 하나 활용할 수 있다면 루테란에 설정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볼다이크, 파푸니카, 욘, 로헨델, 페이튼 이후 루테란으로 비프로스트를 사용하고 토토이크, 애니츠, 아르데타인, 플레체, 베른, 슈샤이어, 로웬, 엘가시아로 끝나는 루트다. 비프로스트 비용을 제외하고 총 35,800 실링이 소모된다.

상기 루트 대비 1만 실링 이상의 이득이 있으며, 루테란 비프로스트의 경우 루테란에는 100% 확률로 떠돌이 상인이 등장하기 때문에 낭비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물론 비프로스트 슬롯 하나가 소모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유가 있는 모험가만 활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로팡 캐릭터를 이용한다면? 2캐릭터를 이용한 순회 루트



▲ 메인 캐릭터로 서쪽 대륙, 로팡 캐릭터로 동쪽 대륙을 담당하여 총 30,000 실링이 소모되는 루트



▲ 토토이크에 떠돌이 상인이 있지만, 애니츠에 없다면 해당 루트를 활용하자


만약 자신이 서브 캐릭터로 로팡 에포나 의뢰를 수행하고 있다면 해당 캐릭터의 비프로스트를 겸사겸사 이용해도 된다. 메인 캐릭터로는 볼다이크에서 파푸니카, 욘, 로헨델, 페이튼, 엘가시아를 방문하며 로팡 캐릭터로 슈샤이어 비프로스트 사용 시 로웬을 함께 방문하면 된다. 아르데타인 택배는 별개로 수행한 후 베른 비프로스트 혹은 귀환의 노래를 사용하여 루테란, 토토이크, 애니츠, 플레체를 방문하는 형태다. 비프로스트 비용을 제외하고 30,000 실링이 소모된다.

특히 토토이크에 떠돌이 상인이 등장했지만 애니츠에 등장하지 않았을 때도 손해가 없다시피 하다. 이 경우 아르데타인 택배 이후 정기선을 활용해 플레체로 이동하고 베른 비프로스트 혹은 귀환의 노래를 사용하여 택배 이후 루테란, 토토이크에서 마무리 지으면 된다. 애니츠에서 플레체 이동 루트에 비해 실링 차이가 200에 불과하므로 이것저것 신경 쓰기 싫다면 아예 아래 루트로 외워도 무방하다.

여기에 더해 다른 서브 캐릭터에 비프로스트를 3개까지 할당할 수 있다면 사실상 정기선 비용은 걱정이 없는 수준이 된다. 볼다이크는 메인 캐릭터로 구매하고 서브 캐릭터 하나에 욘과 로헨델, 파푸니카에 각각 비프로스트를 책정하면 끝이다. 이왕이면 무쇠망치 작업장과 엘조윈의 그늘, 비밀의 숲에 설정해 두자.

페이튼은 떠돌의 상인의 등장 위치상 귀환의 노래가 매우 편리하다. 볼다이크에 귀환의 노래가 필요하다면 파푸니카 대신 페이튼에 비프로스트를 설정하고 파푸니카는 알비온을 이용해도 된다.

주의해야 할 부분은 로팡 캐릭터의 레벨이 낮고 대륙 메인 퀘스트를 진행하지 않았다면 로웬과 플레체 진입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 경우 해당 대륙에 진입할 수 있는 별도의 캐릭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비프로스트를 추가하거나 상술했던 다른 루트를 활용해야 한다.



▲ 서브 캐릭터를 하나 더 활용할 수 있다면 실링도 아끼고 편의성도 높아진다



▲ 캐릭터를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최고의 방법이다. 비프로스트가 남는다면 크로커니스 해변 등도 고려하자

댓글(32)

새로고침
  • 답답히23-08-09 00:11
    신고|공감 확인
    저거 저런식으로 하면 질리고, 적응해버리면 시간에 쫓겨살고 현타 옴 
    OBT시절 전NPC 호감도작한다고 매일 순회해봤고, 최근엔 바르칸 때문에 떠상시간 외우고 클로아 찾아보고 이랬는데... 암만 생각해도 이건 좀 아님

    이번에 떠상패치됐고, 편하게 카경작 하고 싶으면 카드를 해당 대륙에서밖에 못구하는 대륙만 돌면 됨
    나머지 대륙은 비프가 있는 게 아닌 한 시간낭비 오짐

    기억하자. 로웬, 엘가, 플레체, 볼다이크
    최소 카드 3장은 나오고 보라색 카드확률이 꽤나 높음
    답글이동
    비공감0공감 8
  • 한기23-08-08 17:02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나비23-08-08 17:34
    신고|공감 확인
    갓준수..
    답글
    비공감0공감 1
  • 디트로이어23-08-08 17:54
    신고|공감 확인
    고마워요 준수햄!
    답글
    비공감0공감0
  • Dunker23-08-08 17:55
    신고|공감 확인
    와 정성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CPia23-08-08 18:01
    신고|공감 확인
    와 이걸 정리하다니...
    갓준수!!
    답글
    비공감0공감0
  • 카카오t23-08-08 18:03
    신고|공감 확인
    이렇게하면 하루 수급되는 카경은 몇 정도되나요 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Appleple23-08-08 18:05
    신고|공감 확인
    실링이 바닥나기에는 너무나 믾은 실링이여따…
    답글
    비공감0공감 1
  • Suck23-08-08 18:16
    신고|공감 확인
    카경 와드
    답글
    비공감0공감0
  • 라제쉬23-08-08 18:22
    신고|공감 확인
    점프 뿌릴때마다 부캐 하나씩 늘려서 순서대로 방치되는 겜이라
    비프 3개씩 해서 3캐릭 정도 떠상 전용으로 쓰면 좋더군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제피입니다23-08-08 19:03
    신고|공감 확인
    배럭을 활용하자~
    답글
    비공감0공감0
  • 알로시23-08-08 20:12
    신고|공감 확인
    뭐야 내 실링 돌려줘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꾸엠23-08-08 21:27
    신고|공감 확인
    역시 믿고보는 준수님~!!!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나는결말23-08-08 22:21
    신고|공감 확인
    이야 은근 실용적인 팁이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Droncontrol23-08-09 00:11
    신고|공감 확인
    얘네들도 넘 멀어
    루테란 동부 : 라이아 단구
    애니츠 : 거울 계곡
    욘 : 시작의 땅, 무쇠망치 작업장
    로헨델 : 엘조윈의 그늘
    파푸니카 : 비밀의 숲
    답글
    비공감0공감0
  • 답답히23-08-09 00:11
    신고|공감 확인
    저거 저런식으로 하면 질리고, 적응해버리면 시간에 쫓겨살고 현타 옴 
    OBT시절 전NPC 호감도작한다고 매일 순회해봤고, 최근엔 바르칸 때문에 떠상시간 외우고 클로아 찾아보고 이랬는데... 암만 생각해도 이건 좀 아님

    이번에 떠상패치됐고, 편하게 카경작 하고 싶으면 카드를 해당 대륙에서밖에 못구하는 대륙만 돌면 됨
    나머지 대륙은 비프가 있는 게 아닌 한 시간낭비 오짐

    기억하자. 로웬, 엘가, 플레체, 볼다이크
    최소 카드 3장은 나오고 보라색 카드확률이 꽤나 높음
    답글
    비공감0공감 8
  • 답답히23-08-09 17:41
    신고|공감 확인
    추가로 다른 대륙은 1~2장의 카드 나오고 적게 나오다 보니 보라카드 확률이 낮음
    그나마 파푸니카는 3장 넘게 나오기도 하는데, 알비온이 있는게 아닌 한 갈 필요없음
    에버, 바훈, 바르칸, 데런아만, 웨이는 먹으러 갈만함
    답글
    비공감0공감0
  • 배인혁23-08-10 18:25
    신고|공감 확인
    요약 : 희귀 이상 아니면 안가는게 속편
    답글
    비공감0공감0
  • 딥웅디붕23-08-09 00:41
    신고|공감 확인
    피방 유저는 공짜임 히히
    답글
    비공감0공감0
  • 다윤아부지23-08-09 00:50
    신고|공감 확인
    가만보자 하루 100만 실링씩 써도 1,700일 동안 살 수가 있었네?
    답글
    비공감0공감 1
  • 아지르사랑해23-08-09 00:55
    신고|공감 확인
    실링이 몇십억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지르사랑해23-08-09 00:55
    신고|공감 확인
    빛준수
    답글
    비공감0공감0
  • 흑설공주23-08-09 04:54
    신고|공감 확인
    카경 예전에 비하면 한 2/3 수준으로 적게 먹는거긴함
    먹는게 편해진건 맞지만
    답글
    비공감0공감0
  • 바뀐23-08-09 09:12
    신고|공감 확인
    정성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이스케이핀23-08-09 10:04
    신고|공감 확인
    배럭이 18개라서 비프가 남ㄴ . . (죄송)
    답글
    비공감0공감0
  • 뮌헨121323-08-09 11:57
    신고|공감 확인
    걍대충해
    답글
    비공감0공감0
  • Wipes23-08-09 12:08
    신고|공감 확인
    정성
    답글
    비공감0공감0
  • Kulb쿨비23-08-10 05:30
    신고|공감 확인
    멋진 기사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보이는데요.
    이번 떠상 개편으로, 애니츠,유디아 등이 포함된 그룹에 플레체가 포함되었습니다.
    그래서 볼다이크 출발 루트 소개에서
    애니츠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플레체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아르데타인에서 바로 베른 북부로 가고
    이후 루테란 - 토토이크 순서로 가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토토이크 정기선이 루테란과 애니츠밖에 가지 않기 때문에
    아르데→베른→루테란→토토이크 순서와, 토토이크 마무리는 강제될 것 같네요.
    이는 로팡 캐릭터 활용 루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겁니다.

    그리고 애니츠 그룹에 포함된 플레체와 마찬가지로
    엘가시아-베른 그룹에 로웬이 포함되었습니다.
    공략과 루트 짜실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구 1티어, 2티어 대륙들은 동시에 카드를 몇장 안파는 반면
    3티어 대륙들은 한꺼번에 여러장을 팔고 있기 때문에
    저 역시 카경이 엄청나게 필요한 분들이 아니라면
    로웬 이후 대륙 몇군데에서 구매하는 수준으로 만족하시는게
    비용 부담, 시간 부담 적고, 덜 피곤한 부분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건 상황과 취향 따라 선택하시면 될 것 같네요. ^_^
    답글
    비공감0공감0
  • Kulb쿨비23-08-10 05:35
    신고|공감 확인
    떠상 발생 패턴은
    요일별로 고정되는 일주일 주기가 거의 확정인 것 같습니다.
    월요일만 한번 더 보면 될 것 같고요.
    팁과 노하우 게시판의 공략글 통해 꾸준히 수정, 보완중에 있어요.
    월요일날 확인 후 주기 확정시, 주기만 따로 공략글 올릴 예정이고요.

    이제 맵만 켜면 한번에 모든 대륙이 다 보이는데다
    지속시간도 5시간 30분이나 되다보니
    언제 어디가 뜨는지의 정보가 그렇게 중요하진 않아졌습니다만
    그래도 궁금하신 분이 계시다면, 공략글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_^
    답글
    비공감0공감0
  • 죽음의협곡23-08-11 11:14
    신고|공감 확인
    적게는 5000, 많게는 10000이상 먹는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조베니23-08-11 15:31
    신고|공감 확인
    부캐및 배럭들이 로팡은 안돌고 
    떠상을 도는 ㅋ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무노24-02-07 05:11
    신고|공감 확인
    메인캐: 볼다이크(비프)-파푸-로헨델-엘가(비프)
    로팡캐: 슈샤(비프)-아르데(비프)-플레체-애니츠-토토이크-루테란-베른(귀환)
    서브캐: 로웬(비프)-페이튼(비프)-욘(비프)

    이게 꿀인듯

    볼다이크랑 욘이 가깝긴 하지만 실링이 넘 많이 들어서 아예 따로 분리 해도 돔.
    베른남부 떠상 먹으러 가면 정기선 비용이 비싸서 베른은 마지막에 감.
    답글
    비공감0공감0
  • 무노24-02-07 05:13
    신고|공감 확인
    아예 버리는 서브캐릭이라면 페이튼을 귀환설정해도 좋음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