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오림학박사 수료를 위한 오림 시즌7 가이드

게임뉴스 | 장요한 기자 | 댓글: 9개 |
오림 7번째 시즌은 직전 시즌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6시즌에서 대세가 된 '경험치 메타'가 유지되기에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테크를 타면 됩니다. 초반 빠른 경험치 패시브 스킬업의 핵심은 후반에서 뒷심을 발휘하기 위함이며 최소 3개의 빠른 스킬 마스터를 통해 2마리의 보스를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더 많은 재화와 박사 업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 직전 시즌 3개 캐릭터 오림학박사를 수료한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경험치 패시브 "3레벨에서 타협"


경험치의 효율이 높다고 스킬 구성이 좋지 못함에도 스킬 패시브부터 마스터하는 우를 범하면 안 됩니다. 가장 효율이 좋은 경험치 패시브의 레벨은 초반 2, 중반 3레벨입니다. 안정적인 클리어를 위해 첫 번째 보스가 등장하는 3분 40초 전에 액티브 스킬 1개는 무조건 마스터해야 합니다. 2분 20초에 나오는 2번째 스킬 2개 선택에서 경험치 패시브 마스터를 찍어도 충분합니다. 또한, 경험치 패시브가 없어도 상관없으니 무리하게 리롤(재뽑)을 하지 마세요!



▲ 스킬 구성도 좋지 못한데 경험치 패시브 먼저 집중하면 이렇게 됩니다


이벤트 타임을 기억하세요!


초반에 경험치 패시브를 빠르게 2레벨을 찍는 건 '자연스럽게' 이뤄져야 합니다. 무리하게 다이아를 쓰지 말고 웨이브가 밀리지 않도록 상황을 고려하여 레벨을 올리세요. 습득한 액티브 스킬의 시너지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면 됩니다. 보통 안정적인 경험치 패시브 스킬업은 5분까지 2~3레벨, 4분 15초 스킬 선택 2회에서 3~4레벨, 마지막 2분 20초 스킬 선택 2회 때 5레벨을 달성하는 겁니다. 이렇게 해도 최소 3개 스킬을 마스터하여 보스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5분 10초 : 증표 상자 (증표 x500)
4분 15초 : 스킬 선택 2회
3분 40초 : 첫 번째 보스 등장
2분 20초 : 스킬 선택 2회
2분 05초 : 두 번째 보스 등장


스킬 선택 우선순위와 요령


일단 어떤 캐릭터가 선택되었느냐가 중요합니다. 다이아 세이브를 전제로 본인 스타일에 맞는 액티브 스킬부터 슬롯에 채웁니다. 이 과정에서 슬롯을 채우지 않았는데 최애 스킬의 중복 선택을 통한 스킬업이 무조건 1순위입니다. 최애 스킬을 먼저 마스터하는 게 중요합니다.

패시브는 천천히 세팅해도 됩니다. 액티브 구성을 보고 대미지 증가, 쿨타임 감소나 고스트 바디, 앱솔루트 배리어 중에 선택합니다. 가령 에너지 볼트 마스터의 디스인티그레이트는 자체 대미지가 높기 때문에 쿨타임 감소가 효과적이며, 스태틱 필드 마스터의 템페스트는 대미지 증가 패시브 선택 시 굉장한 화력을 갖습니다.

마지막으로 애매하게 스킬 레벨을 올리지 말고 확실하게 1개부터 마스터할 것을 목표로 삼고, 모든 스킬 슬롯을 꽉 채워야 합니다. 슬롯이 꽉 차면 먼저 마스터할 스킬이 나올 확률을 3/8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빈 슬롯이 1개라도 있으면 3개의 스킬 선택 중 1~2개의 스킬이 획득하지 않은 스킬이 뜨기 때문입니다.

1순위 : 주력(최애) 스킬 선마
2순위 : 뱀파이어릭 터치
3순위 : 경험치 패시브
3순위 : 서브 액티브 스킬 (단일 or 광역)
4순위 : 액티브 조합에 따른 패시브 (댐증, 쿨감 or 고바디, 앱솔)



▲ 디스인티그레이트 + 다크스타 + 쿨타임 감소 = 최고의 조합 예시


캐릭터 HP에 따른 스킬 조합 방향


박사 업적 때문에 캐릭터를 랜덤으로 고르는 게 보편적입니다. 하여 랜덤 시작일 때는 어떤 캐릭터가 나왔냐에 따라 스킬 선택의 방향이 달라지는데, 이 기준은 캐릭터의 스타팅 스킬이 아닌 'HP 수치'를 기준으로 삼아야 안전하게 클리어할 수 있습니다.

가령 HP 450 캐릭터는 뱀파이어릭 터치 없이 높은 화력을 바탕으로 극후반 2보스 처치 후 방치까지 가능한 극화력 조합이 좋습니다. 굳이 다이아를 써가며 조합을 갖출 필요가 없고, 히든 스킬이 없어도 충분합니다. 패시브도 쿨타임 감소, 대미지 증가 등 액티브 화력 강화에 신경을 쓰는 게 좋습니다.

추천 패시브 : 경험치 획득량 증가 + 대미지 증가 + 쿨타임 감소

HP 250 캐릭터는 어떻게 해서든 뱀파이어릭 터치를 띄우거나 최소 헬 사이드(사신의 심판)를 들고 시작해야 안전합니다. 다이아를 적극 사용하는 게 좋고, 패시브는 쿨타임 감소 + 앱솔루트 배리어 조합이나 고스트 바디 + 앱솔루트 배리어를 추천합니다. 경험치 패시브 없이 쿨타임 감소 + 앱솔루트 배리어 + 고스트 바디도 좋습니다. 히든 스킬 바다의 분노, 슬로우 오라도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토탈 리커버리는 HP가 낮아 추천하지 않으며, 피해를 나눠 입히는 액티브 스킬도 추천하지 않습니다.

추천 패시브 A : 경험치 획득량 증가 + 고스트 바디 + 앱솔루트 배리어
추천 패시브 B : 쿨타임 감소 + 고스트 바디 + 앱솔루트 배리어

비추천 : 토탈 리커버리, 토네이도, 어스 재일, 펜타즘


강력 추천하는 액티브 스킬


①에너지 볼트 (디스인티그레이트) : 마스터했을 때 파괴력이 압도적 1티어입니다. 박사 업적을 위해 하드 모드의 모든 보스를 모두 처치해야 하기에 1순위로 추천합니다. 3레벨까지는 웨이브 처리가 어렵지만, 4레벨부터 발사체 개수가 늘어나 엘리트(HP 높은 웨이브) 처리도 수월합니다. 무엇보다 8~10단계 던전에서 엘리트에 의한 피격 모션 발생, 이로 인해 2~3칸 몬스터에게 피격, 피격 모션 반복으로 보스에게 큰 피해를 받는 상황 자체를 줄여 줍니다.

②블리자드 (다크스타) : 마스터하지 않아도 쿨타임 감소 패시브, 에너지 볼트와의 궁합이 좋습니다. 정말 운이 좋지 못해 보스가 등장했지만, 다스크타가 아닌 상황에서도 웨이브 대다수에 꾸준한 피해 및 에너지 볼트로 길을 뚫으며 무빙할 수 있는 진로를 만들어 줍니다. 마스터하여 웨이브 처리를 맡고, 디스인티그레이트로로 보스를 처치하면 됩니다.

③스태틱 필드 (템페스트) : 초중반에 마스터 시 웨이브 자체를 밀리지 않고 싹 청소가 가능하며, 6단계까지 원 스킬로 보스킬이 가능합니다. 허나 7단계부터는 2번째 등장 보스딜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미지 증가 패시브를 섞어줘야 진가가 발휘됩니다. 쿨타임 감소도 좋지만, DPS를 위해 대미지 증가가 더 좋은 시너지를 발휘합니다.

④뱀파이어릭 터치 (데모닉 터치) : 뱀파가 4순위인 이유는 경험치 메타로 인해 스킬업의 우선순위가 꼬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경험치 증가 3레벨에 뱀파 3레벨, 다른 액티브 스킬 3레벨 등 애매한 상황에 첫 보스가 등장하면 웨이브가 밀리게 되고, 온몸 비틀기로 버텨냈음에도 2번째 스킬 2회 선택이 망하면 진짜 위험한 상황이 연출됩니다. 고바디, 앱솔 여부의 문제가 아니므로 경험치와 뱀파의 함정에 빠지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뱀파의 레벨업은 최소 액티브 스킬 1개 먼저 마스터한 이후에 진행하는 게 좋습니다.

⑤헬 사이드 (사신의 심판) : 뱀파 대용으로 3번째로 마스터할 액티브 스킬로 추천합니다. 또는 마지막 슬롯을 채워둘 목적으로도 좋습니다. 2개의 액티브 마스터 이후 헬 사이드를 올려두면 극후반 박쥐떼에 의한 억까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소한 HP 회복을 노릴 수 있습니다. HP 회복 성능은 마스터했을 때 오히려 감소합니다. 쿨타임 감소 패시브와 궁합이 좋은데 고바디 + 앱솔 조합이나 대미지 증가 패시브를 선택했다면 상황에 따라 다른 스킬을 올리는 게 나을 수 있으니 잘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2번째 마스터 스킬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광역 스킬과 궁합이 좋지 못합니다. 후반부 2개의 광역 스킬이 거의 동시에 시전될 때 웨이브 처치에 구멍이 생겨 순식간에 사망할 위험이 높습니다.

⑥엑스칼리버 (라그나로크) : 4레벨까진 고통받지만, 마스터하면 CC와 함께 준수한 대미지로 보스딜까지 가능합니다. 1순위로 마스터할 스킬은 아니며, 2~3 순위로 마스터했을 때 먼저 마스터한 스킬과의 시너지가 좋게 발휘됩니다. 광역 스킬을 먼저 마스터했다면 2순위로 올리는 게 좋습니다.



▲ 파이어 볼, 어스 퀘이크도 첫 번째 마스터 스킬로 좋습니다


선택은 하되 마스터하면 안 되는 액티브 스킬


①토마호크 : 초반에 3개의 도끼 대미지가 뛰어나 중반까진 쏠쏠합니다. 마스터했을 때 광역 대미지도 압도적입니다. 10단계 웨이브를 단번에 처리가 가능하니까요. 허나 쿨타임 감소를 마스터해도 무려 7.8초로 재사용 대기 시간이 깁니다. 3~4번째로 마스터한다면 모를까 주력 스킬로는 부적합합니다.

②체인 라이트닝 : 마스터하기 전에는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지만, 토마호크처럼 마스터했을 때 재사용 대기 시간이 너무 깁니다. 토마호크처럼 6초 이상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갖습니다. 만약 박사 업적이 10단계 던전에서 토마호크와 체인 라이트닝을 마스터 후 클리어하는 거였다면 아무도 달성하지 못할 겁니다.

이 외 폭탄 골렘, 서먼 몬스터 3종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으니 생략하겠습니다.



▲ 디스인티그레이트가 두 사이클이 돌아갈 때 종말의 번개는 1회...


다소 애매한 포지션의 액티브 스킬


①혼돈의 검 : 마스터하면 보스딜에 매우 좋은 스킬입니다. 디스인티그레이트만큼은 아니지만 공격력이 준수합니다. 허나 웨이브 처리가 힘들어 마스터하는 과정이 고통이라 1~2번째 마스터할 스킬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보통 슬롯 채우기로 습득하여 극후반 의미 없이 3~4번째 마스터하는 경우에나 올리게 됩니다.

②인탱글, 토네이도, 펜타즘 : HP 450 캐릭터가 쓰면 괜찮지만, 해당 스킬의 문제는 7~10단계에서 보스킬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2번째 스킬로 마스터했을 때 생존에 도움이 되고, 웨이브 처리는 괜찮은 편이나 박사 업적 달성 시에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 빛의 심판도 7~10단계 던전에서 좋지 못하므로 되도록 봉인하거나 3번째로 올리세요!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