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오픈AI와 협력해 세계 최대 AI 인프라용 오픈 모델 개발

게임뉴스 | 백승철 기자 |
자료제공 - 엔비디아

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www.nvidia.co.kr)가 오픈AI(OpenAI)의 새로운 오픈 웨이트(open-weight) AI 추론 모델 2종인 gpt-oss-120b와 gpt-oss-20b 개발에 협력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지난 5일(현지 시간), 해당 오픈 웨이트 AI 추론 모델 2종을 공개했다. 이는 최첨단 AI 개발 역량을 전 세계 개발자, 기술 애호가, 기업, 스타트업, 정부 등 모든 이들에게 직접 제공하며, 산업과 규모를 막론한 광범위한 활용을 지원한다.

개방형 모델인 gpt-oss-120b와 gpt-oss-20b에 대한 엔비디아(NVIDIA)와 오픈AI의 협력은 커뮤니티 주도의 혁신이 가진 힘을 보여준다. 또한, AI의 전 세계적 보급을 위한 엔비디아의 기반적 역할을 부각시킨다.

누구나 이 모델들을 활용해 생성형 AI, 추론형 AI, 피지컬 AI는 물론 헬스케어,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아울러 AI가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 혁명이 지속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새로운 산업의 개척도 가능하다.

오픈AI의 새로운 유연한 오픈 웨이트 텍스트 추론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은 엔비디아 H100 GPU에서 훈련됐다. 또한, 전 세계 엔비디아 쿠다(CUDA) 플랫폼을 실행하는 수억 개의 GPU에서 최고의 추론 성능을 발휘한다.

이 모델들은 현재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며, GPU 가속 인프라 어디에서나 유연하게 배포할 수 있고,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플랫폼용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통해 엔비디아 GB200 NVL72 시스템에서 최적의 추론 성능을 구현하며, 초당 150만 개의 토큰 처리라는 뛰어난 효율을 자랑한다.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오픈AI는 엔비디아 AI를 기반으로 무엇을 구축할 수 있는지 세상에 보여줬으며, 이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gpt-oss 모델은 전 세계 개발자들이 최첨단 오픈소스 기반 위에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세계 최대 규모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국의 AI 기술 리더십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gpt-oss와 같은 고급 추론 모델이 생성하는 토큰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추론을 위한 확장성, 효율성, 투자 수익률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아키텍처인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의 특수 목적 AI 팩토리가 필요하다.

엔비디아 블랙웰은 NVFP4 4비트 정밀도와 같은 혁신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기술은 전력과 메모리 요구 사항을 크게 줄이면서도 매우 효율적인 고정밀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수조 개의 파라미터를 갖춘 LLM을 실시간으로 배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한다.

엔비디아 쿠다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컴퓨팅 인프라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강력한 엔비디아 DGX 클라우드(DGX Cloud) 플랫폼부터 엔비디아 지포스 RTX(GeForce RTX), 엔비디아 RTX PRO 기반 PC와 워크스테이션에 이르기까지 어디에서나 AI 모델을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엔비디아 쿠다는 4억 5천만 건이 넘는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이제 이 방대한 쿠다 개발자 커뮤니티는 이미 사용 중인 엔비디아 기술 스택에서 실행되도록 최적화된 최신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엔비디아와 오픈AI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공동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엔비디아 텐서-RT(Tensor-RT) LLM과 기타 라이브러리뿐만 아니라 플래시인퍼(FlashInfer), 허깅 페이스(Hugging Face), 라마.cpp(llama.cpp), 올라마(Ollama), vLLM 등 주요 오픈 프레임워크 제공업체와 협력해 모델 최적화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자신이 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개발할 수 있다.

이번 모델 공개는 엔비디아의 풀스택 접근 방식이 전 세계에서 가장 야심찬 AI 프로젝트를 보다 광범위한 사용자층에 제공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협업의 시작은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의 첫 번째 AI 슈퍼컴퓨터인 DGX-1을 손수 들고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오픈AI 본사에 방문했다.

그 이후로 양사는 대규모 AI 훈련에 필요한 핵심 기술과 전문 지식을 제공하며, AI의 한계를 계속해서 확장해왔다.

또한 엔비디아는 오픈AI의 gpt-oss 모델을 엔비디아 블랙웰과 RTX GPU 그리고 자사의 방대한 소프트웨어 스택에 최적화했다. 이를 통해 250개 국가의 약 650만 명 개발자가 사용하는 900개 이상의 엔비디아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와 AI 모델 기반으로 더욱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AI 혁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