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코어 공격 연사로 강렬한 화력 투사! 풍속성 딜브레이커 '소연'

게임뉴스 | 이동현 기자 |
i-dle 콜라보 헌터, 소연은 풍속성 레인저로 우기와 비슷하게 딜 성능이 부각된 브레이커로 출시됐다. 코어 공격을 주력으로 활용하며, 정형화된 사이클을 사용해야 굴러가도록 설계되어 있어 스킬 순서에 신경을 써줘야 하는 것이 특징이다.

※ i-dle 헌터 및 진화 재료 획득처
- i-dle 헌터 선택권 (무료 1장)
└특별 접속 보상 1일차에 1장 지급

- 영원 전용 보조 데이터(무료 1장, 유료 3장)
└특별 접속 보상 1일차에 1장
└i-dle 콘서트 패스 디럭스(유료) 보상에서 2장(2, 4레벨)
└특별 무대 스텝업 풀구매 최종 보상(유료)으로 1장

- 헌터별 진화 재료(무료 각 1장씩 3장, 진화 보상 각 1장씩 3장)
└i-dle 콘서트 패스 일반(무료) 보상에서 각 1장
└민니/소연/우기 특별 진화 이벤트에서 각 1장(5진화 필요)





소연 기본 특징
소연은 일반 스킬을 사용해 중앙에 표시되는 고유 스택 '매그넘'을 확보하고 이를 코어 공격으로 쏟아내어 높은 피해량과 브레이크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헌터다. 매커니즘 자체가 엄청 어렵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지만 순서를 정확히 지켜야 버프 효과가 발동되면서 제대로 된 사이클이 굴러가기 때문에 아무렇게나 막 누르면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본 공격과 일반 스킬 각각의 사거리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총을 사용하는 캐릭터라 멀리서 싸우겠다고 뒤로 빠져있는 경우 특히 Q스킬이 적중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이외 풍속성이 현재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는 만큼 고토 류지를 대체하는지 여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데, 결론부터 말해 둘은 쓰임새와 장점이 조금 다르다. 먼저 고토 류지는 초기 출시 시점 대비 화력은 많이 애매해졌지만 뛰어난 브레이크 성능과 더불어 일반 스킬 연사 기믹으로 레나트 니어만과 강력한 시너지를 내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소연은 기본적으로는 코어 공격을 주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니어만에게 파워 게이지와 마력 회복 효과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진화 단계에 따라 궁극기 피해량과 파워게이지 회복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긴 하지만, 마력 회복 효과까지 완전히 커버할 수는 없어 장기전에선 니어만의 마력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일반 스킬로 매그넘 탄환을 얻고 강화 코어로 쏟아내는 것이 기본 매커니즘



▲ 소연은 코어 공격이 메인 딜링 수단이라는 점에서 고토 류지와는 계열이 다르다


반드시 E부터 사용하고 Q로 마무리! - 소연 기본 운영법
앞서 언급했 듯, 소연은 스킬의 사용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요점만 간단히 짚자면 첫 E로 '비트 메이커' 버프를 활성화하고, 이어서 강화 E나 Q를 쓰면 비트 메이커가 사라진다. 여기서 비트 메이커 버프 삭제 후 20초 이내에 Q를 사용하면 드랍 더 비트 효과가 켜지면서 강화 코어 연사가 가능해진다.

때문에 소연의 기본 사이클은 EQQ 또는 EEQ 후 코어 연사가 기본이다. 여기서 첫 E를 사용하기 전에 Q를 실수로 사용했다고 가정해보자. 이러면 사이클이 Q-E-E(강) 또는 Q-E-Q(강)으로 강화 스킬 사용에서 멈춘 뒤 마지막 Q가 쿨타임에 걸린다. 앞서 설명했 듯 강화 코어 공격 연사를 위한 '드랍 더 비트'는 활성화 트리거가 일반 Q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킬 순서가 바뀌면 강화 코어 공격 자체가 나가지 않는다.

기본 흐름을 이해했다면 이제 심화 단계다. 기본적으로 소연은 일반 스킬들을 사용하면 매그넘이 1발씩 장전된다. 즉, EEQ나 EQQ를 하면 총알 세 발이 장전되며 이를 드랍 더 비트 효과 하에 연사할 수 있는 셈이다. 이때 매그넘 탄환을 사용한 강화 코어 스킬은 일반 코어 대비 피해량이 50% 증가하며, 추가로 매 탄환 발사 시 마다 코어 공격 피해량 15%, 마력 8 회복, 파워 게이지 1.2% 회복 효과를 지닌 매그넘 체인 버프가 발동되어 최종 탄환이 가장 강력한 피해를 주게 된다.

궁극기의 경우엔 아주 쉽다. 진화 단계에 관계 없이 아무런 연계 효과가 없는 강력한 대미지+브레이크 스킬이므로 그냥 게이지가 가득 차면 타이밍을 봐서 사용해주면 된다. 상대적으로 일반 스킬 쪽에 제약이 있는만큼 궁극기는 여유로운 사용이 가능하게 설계된 느낌이다.



▲ EQQ 또는 EEQ로 마지막에 일반 Q를 사용해줘야 드랍 더 비트가 활성화되어 코어 연사가 가능하다



▲ 매그넘 체인 효과로 마지막 탄환에 가까워질수록 화력이 증가한다



▲ 궁극기는 진화 단계가 높아져도 아무런 연계 효과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사용하면 된다


1진화 필수, 고진화 시 화력&시너지 상승 - 추천 진화
소연은 1진화가 압도적으로 중요하다. 스킬 사용 시 충전되는 매그넘 탄환이 1개에서 2개로 늘어나는데 이로 인해 강화 코어 연사 횟수가 3연속에서 6연속으로 늘어난다. 단순 화력 외에도 매그넘 체인 버프의 누적량이 높아짐에 따라 최종 탄환 피해량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1진화 여부에 따른 화력 차이가 상당히 크다. 여기에 브레이크 지속 시간 3초 증가와 받는 피해량/풍속성 받는 피해량 증가 디버프를 걸어주는 '디스 배틀'까지 더해지므로 1진화는 반드시 해주자.

3진화는 스테이지 입장 시 아군에게 무한 유지되는 '비트 부스트' 버프가 제공되며, 이는 궁극기 스킬 피해량 15%와 풍속성 피해량 10%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매그넘 장전 시 팀원 중 세 번째 헌터가 풍속성 팀원이면 대상의 파워 게이지를 10% 회복 시켜준다.

5진화는 매그넘 체인과 디스 배틀이 강화된다. 매그넘 체인은 코어 공격 피해량이 중첩당 15%에서 30% 증가로 변경되고, 디스 배틀은 스택당 피해량 증가치는 동일하게 1%지만 최대 중첩치가 5에서 10으로 증가한다. 효과 자체는 다른 최신 헌터들에 비해 단순하지만 코어 공격에 화력이 몰려있는 소연이기에 화력 상승을 체감할 수 있다.



▲ 매그넘 탄환이 곧 딜량인 소연에게 탄이 2발씩 장전되는 1진화는 매우 중요하다



▲ 3진화 시 3번째 팀원의 파워 게이지 회복과 궁극기/풍속성 피해량 버프를 제공한다



▲ 5진화는 소연 본인의 피해량이 상승하고 파티 디버프도 강화된다


딜을 높이겠다면 욕망, 치확 시너지를 노린다면 탐욕 - 아티팩트 추천
소연 역시 딜 브레이커로서 혼돈의 욕망이 가장 기본이다. 특히 코어 공격을 빵빵 터뜨릴 때의 화력은 상당히 뛰어나 모든 헌터들이 계속 필드에 나와있는 길드 보스전이나 파멸의 권좌에서 기용하려면 되도록 욕망 세트를 채워주는 것을 추천한다.

고토 류지가 그러하듯 레나트 니어만과 편성할 요량이라면 부족한 치명타 확률 보정을 위해 불타는 탐욕 시리즈를 착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자체 화력은 다소 떨어지겠지만 소연 본인도 자체 치명타 확률 보정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의 화력을 보정하는데 있어 나름의 효율을 볼 수 있다.

이외 소연은 오랜만에 출시된 공격력 기반의 브레이커로, 장비를 공유해서 사용하겠다면 에실 라디르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 소연 역시 딜 브레이커이므로 욕망 세트가 기본, 치확 버프를 챙기겠다면 탐욕을 쓰자


시대는 레나트 니어만 - 파티 조합
풍속성 브레이커인 소연은 당연히 현재 가장 인기있는 조합인 성진아-레나트 니어만과 조합하는 것이 베스트다. 다만 일반 스킬의 사용 빈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레나트 니어만과 함께 조합을 짜기 위해서는 반드시 3진화 이상을 해주어야 한다.

아마미야 미레이와 조합도 가능하다. 미레이 자체가 브레이커를 크게 가리지 않기 때문에 누구를 사용해도 무방한만큼 파트너로 기용하기 좋다.

이외 화력이 뛰어난 딜 브레이커라는 설계 상 고건희나 우기 등의 헌터들과 마찬가지로 세컨드 딜러의 포지션을 가져갈 수 있다. 다만 헌터가 이제 막 출시된 시점이고 권좌에 풍속성 약점이 없어 제대로 된 테스트까진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 3진화 이상이면 고토 류지 자리에 사용할 수 있으나 완벽한 대체픽은 아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