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의 몰락인가, 30년 만에 영업 적자 기록

게임뉴스 | 김성호 기자 | 댓글: 11개 |
세계 최대 비디오게임 업체 닌텐도가 30년만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닌텐도는 26일 실적공시를 통해 올해 3월로 종료되는 2011회계연도(2011년 4월~2012년 3월) 순손실액을 공개했다. 공개된 순손실액은 650억엔(한화 약 9400억)으로 이는 앞서 내놓았던 전망치 200억엔보다 3배 이상의 규모이며 블룸버그 통신 전문가 예상치인 290억엔까지도 훨씬 웃돈 수치이다.

당해 영업손실 역시 450억엔으로 전망되어 애초 전망치였던 10억엔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11년 4월에서 12월까지의 결산치도 전년 순익 496억엔에서 손실 484억엔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역전되었다.

아직 3월이 되지않아 회계연도가 종료되지는 않았지만 이같은 전망이 사실이 될 경우 닌텐도는 1981년 현재와 같은 회계기준이 적용된 이후 처음으로 영업적자를 기록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닌텐도의 이같은 부진 원인을 세가지로 압축하고 있다. 첫번째는 스마트폰과 타블렛 PC의 약진으로 이로인해 닌텐도의 주력 상품 중 하나인 휴대용 게임기 판매가 적잖게 타격을 입은 것. 소비자들이 게임기보다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추세라는 것이다.

닌텐도의 주 시장인 미국과 유럽의 경기 침체도 부진의 이유로 꼽히고 있다.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인해 전체 소비 시장이 줄어들며 여가 생활인 게임 역시 소비가 확연히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사상 최고를 기록 중인 엔화 가치 상승도 가격 경쟁률을 떨어트려 닌텐도의 부진을 이끈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같은 부진에 닌텐도는 콘솔 게임기인 위(Wii)의 연간 판매 전망치를 1200만대에서 1000만대로 하향조정하고 3DS의 판매 예상치도 1600만대에서 1400만대로 낮췄다. 닌텐도는 지난해 8월 3DS의 가격을 40% 가량 인하하여 연말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기업의 전체적인 하락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닌텐도의 이와타 사토루 사장은 "시간은 다소 걸리겠지만 2012년은 닌텐도가 다시 수익성을 회복하고 일어서는 해가 될 것이다. 온라인으로 게임 타이틀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력 타이틀의 지속적인 출시에 힘입어 3DS의 잠재력을 키우겠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가 전망하는 닌텐도의 앞날은 그리 밝지 않다. 전세계 스마트폰 및 타블렛 PC 시장을 장악한 애플의 4분기 실적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아이폰 판매량도 전년동기대비 160%가 성장, 3700만대를 판매했다. 과거 닌텐도와 소니가 독점하던 휴대용 게임기기 시장이 점차 스마트폰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다.

도쿄 이치요시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아키노 미츠시게 펀드매니저는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타블렛 PC로 여가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도 닌텐도는 구체적인 성장 전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닌텐도는 대규모 손실을 입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