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설 단검 아버지의 송곳니, 이제는 한국에서도 볼 수 있다!!

팽수형 기자 | 댓글: 278개 |
4.3 패치가 적용되고 8주차에 접어든 지금,
도적 전용 전설급 단검 "아버지의 송곳니" 제작 퀘스트가 완료되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지난 13일, 러시아 Exorsus의 임보스가 세계 최초로 제작한 이후, 국내에서도 완성된 것.


세나리우스 서버에서 최초로 제작 된 직후, 알렉스트라자 서버, 아즈샤라 서버에서도
아버지의 송곳니 제작이 완료되며 현재까지 3자루의 아버지의 송곳니가 등장했다.


국내에서 최초로 아버지의 송곳니를 지니게 된 주인공은
세나리우스 서버 호드 진영의 도적 도살신 님.
매주 25인 공격대를 꾸리면서 빠르게 제작을 완료할 수 있었다고 한다.







19일 오후 10시경, 데스윙의 등을 처치하면서 엘레멘티움 보석 덩어리 60개 반납 퀘스트를 완료
오후 10시 30분경에 데스윙의 광기를 처치하면서 제작 퀘스트를 최종 완료하면서
국내 최초로 아버지의 송곳니 제작을 마쳤다.


7주차까지 엘레멘티움 덩어리를 46개 획득한 상황이었기에 8주차에서 제작을 완료하려면
데스윙의 등까지 엘레멘티움 덩어리가 평균 2개씩 나와야 했던 상황이라 더욱 긴장됐다고...

※ 3차 제작 퀘스트는 엘레멘티움 보석 덩어리 60개 반납 퀘스트 후
 데스윙의 광기를 처치하고 데스윙의 턱을 획득해야 한다.


도적 전용 전설급 단검 제작 퀘스트를 완료한 도살신과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해보았다.


Q. 우선 전설 단검 제작 완료한 것을 축하한다. 간단한 자기 소개를 부탁한다.

A. 세나리우스 호드의 도살신이라고 한다. 원래는 흑마법사 영혼의어활을 키웠는데
 불의 땅에서 타렉고사를 늦게 제작하는 바람에 이번에는 빨리 만들고 싶어서 도적으로 전향했다.

 원래는 군 전역 후 학교 다니면서 시간날때마다 짬짬이 플레이했는데
 지금은 G딜 막공(25인)을 꾸리며 레이드 70% PvP 30% 의 비율로 게임을 즐기고 있다.









Q. G딜 막공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면?

A. 군대 가기 전에는 리치왕에서 15% 버프 당시에 11하드를 완료했었다.
 군대에 가면서 해체되었다가 제대 후 다시 운영한 25인 반고정 막공이다.

 불의 땅에서도 25인 6하드 팟을 구성해서 다니다보니 타렉고사도 제법 만들었던 것 같다.
 20자루 정도? 유명하지는 않지만 서버 내에서 고정으로도 많이 오시고 인기가 많은 편....인가? (웃음)

 아마 다음주에 퀘스트가 완료될 것으로 보이는 인원이 2명있다.
 매주 25인 공대를 여러개 꾸리다보니...




Q. 국내 최초 제작으로 추정되는데 지금 기분은 어떤가?

A. 지금은 그냥 얼떨떨하다. 방금 만든 따끈따끈한 전설템이다 보니.. (웃음)




Q. 8주차만에 제작을 완료했다. 어떤 것이 제일 어려웠는지 궁금하다.

A. 개인적으로는 오늘이 제일 힘들었던 것 같다.
 엘레멘티움 덩어리가 14개 남은 상황이라 1넴부터 데스윙의 등까지
 평균 2개 이상의 엘레멘티움 덩어리가 드랍되어야 했던 상황이었다.

 그러지 못한다면 다음주로 밀리는 상황이었던지라...
 네임드를 잡고 룻을 할때마다 엄청나게 빌었다. (웃음)

 데스윙의 등까지 처치하면서 엘레멘티움 덩어리 60개를 모두 모았고,
 공대원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반납 퀘스트를 완료했다.

 반납 퀘스트를 완료하고 나면 데스윙을 처치하고 데스윙의 턱조각을 구해야 하는데
 한번에 가능해서 다행이었다.










Q. 테스트 서버에서 제작하셨던 라그레자갈님은 2차 퀘스트가 제일 어려웠다고 하던데.

A. 그림자 보석을 333개 모으는 2차 퀘스트는 나오는대로 모아서 그럭저럭 괜찮았던 것 같다.

 그러고보니 1차 잠입퀘스트는 1시간 정도 혼자 고생했다.
 2차 잠입 퀘스트는 30분 정도만에 잡았던 것 같고.




Q. 전설 단검 제작시 노하우가 있다면?

A. 그냥 보석과 엘레멘티움 덩어리가 많이 드랍되기를 비는 것 밖에 할 것이 없을 것 같다.
 오늘도 하나만 적게 나왔다면 제작이 다음 주로 밀리는 상황이었다보니 더 그랬을 것 같다.
 다음주로 밀렸다면... 아 상상하기도 싫다. 정말 X줄이 바짝바짝 타는 기분이었다. (웃음)




엘레멘티움 보석 덩어리
획득 시 귀속
직업: 도적
사용 효과: 엘레멘티움 덩어리를 부숴 그 안에 있는 그림자를 꺼내십시오!





Q. 제작 과정에서 특별한 에피소드가 있었는지 궁금하다.

A. 개인적으로 조금 바빠서 중간 한 주는 용의 영혼 레이드를 못 갈 뻔 했는데
 화요일 무렵에 파티를 6시간동안 겨우겨우 모아서 출발했던 기억이 있다.
 그때 블랙혼까지는 어떻게 진행했는데, 데스윙의 등을 잡지 못했다.

 그래서 결국 수요일에 등, 광기 팟을 5시간동안 모아서 잡은 기억이 난다.
 그때가 정말 힘들었다.




Q. 아직 사용해보지는 않았을테니 체감 효과는 아직 알기 어려울 것 같다.

A. 차후 영웅 던전이나 레이드 던전에서 사용해보고 도적 게시판에 후기를 올리도록 하겠다.







국내 최초로 전설급 단검이 제작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고 몇시간 후,
알렉스트라자 서버 호드진영의 도적칠야 님과
아즈샤라 서버 호드 진영의 공격대 그라운드 제로 소속의 도적 Mikasa님도
아버지의 송곳니 제작을 마쳤다는 소식이 차례대로 알려졌다.

먼저 제작을 완료한 칠야 님의 제작시 에피소드는 아직 알려지지는 않았다.
Mikasa 님은 데스윙의 등까지 처치한 후 3차 반납 퀘스트를 완료했고,
이후 데스윙의 광기를 처치하면서 최종 완료할 수 있었다고...












Mikasa 님이 남긴 간략 후기에 따르면 아버지의 송곳니 사용시
파괴자의 그림자 30중첩을 쌓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분 30초 ~ 2분 정도라고.
자세한 딜링 후기는 다음주가 되어야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바로가기 : 아버지의 송곳니 완성!! + 전투트리 허수아비 간단 후기 by Mikasa



8주차에 접어들면서 25인 공격대의 도적들이 차례차례 전설급 단검 제작을 완료하고 있다.
아버지의 송곳니의 위력을 체감하게 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 아버지의 송곳니 제작을 완료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골라드 - 위상의 황혼
획득 시 귀속
주장비단검
공격력 990 - 1840속도 1.80
(초당 공격력 786.3)
민첩성 +229
체력 +373


붉은색 보석 홈
보석 장착 보너스: 민첩성 +10
최소 요구 레벨: 85
아이템 레벨: 416
착용 효과: 치명타 및 극대화도가 156만큼 증가합니다.
착용 효과: 가속도가 150만큼 증가합니다.
착용 효과: 적중도가 148만큼 증가합니다.
사용 효과: 15초 동안 낙하 속도가 감소합니다. (5분 후 재사용 가능)
착용 효과: 사악한 일격과 약점 공격의 공격력이 45%만큼 증가합니다.
아버지의 송곳니 (0/2)
골라드 - 위상의 황혼
티리오쉬 - 세기의 악몽
(2) 세트 효과: 근접 공격 시 일정 확률로 파괴자의 그림자 효과를 얻어, 민첩성이 17만큼 증가합니다. 최대 50번까지 중첩됩니다. 중첩 수가 30번을 초과하면, 초과한 만큼 파괴자의 분노가 발동할 확률이 증가합니다. 파괴자의 분노가 발동하면, 파괴자의 그림자 효과를 모두 소모하여 즉시 5의 연계 점수를 얻고 마무리 일격 시 5의 연계 점수를 얻습니다. 6초 동안 지속됩니다.




티리오쉬 - 세기의 악몽
획득 시 귀속
보조장비단검
공격력 770 - 1431속도 1.40
(초당 공격력 786.3)
민첩성 +229
체력 +373


붉은색 보석 홈
보석 장착 보너스: 민첩성 +10
최소 요구 레벨: 85
아이템 레벨: 416
착용 효과: 가속도가 154만큼 증가합니다.
착용 효과: 특화도가 150만큼 증가합니다.
착용 효과: 숙련도가 149만큼 증가합니다.
사용 효과: 15초 동안 낙하 속도가 감소합니다. (5분 후 재사용 가능)
아버지의 송곳니 (0/2)
골라드 - 위상의 황혼
티리오쉬 - 세기의 악몽
(2) 세트 효과: 근접 공격 시 일정 확률로 파괴자의 그림자 효과를 얻어, 민첩성이 17만큼 증가합니다. 최대 50번까지 중첩됩니다. 중첩 수가 30번을 초과하면, 초과한 만큼 파괴자의 분노가 발동할 확률이 증가합니다. 파괴자의 분노가 발동하면, 파괴자의 그림자 효과를 모두 소모하여 즉시 5의 연계 점수를 얻고 마무리 일격 시 5의 연계 점수를 얻습니다. 6초 동안 지속됩니다.




Inven Voder - 팽수형 기자
(Voder@inven.co.kr)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검색